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기후・환경 변화, 농경지감소, 다국적 FTA, 농촌 생산인구의 노령화, 농가소득 정체 등. 농업이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종, 생산・관리, 수확, 가공・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에 ICT기술을 도입하여 지능형 생육관리가 가능한 스마트농업을 가장 강력한 대안으로 육성방안을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도 지난해 1258만㎡ 수준의 스마트농업 시설을 갖춘 원예 경작지를 2017년에는 4000만㎡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시설재배농가의 재배환경을 정밀 관리하는 영역에서의 스마트농업은 농장관리, 병해충 예찰·진단 및 관리방법, 생력화에서 방제까지 기계화와 첨단화로 국제 경쟁시대에 진입했다.
미래 농업기술은 무인기를 활용한 원격 예찰, 진단, 자동화에 의한 생력화, 빅데이터 자동분석 알고리즘에 의한 의사결정의 편리성 등으로 연구 분야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그리하여 스마트농업 확산 및 첨단장비를 이용한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원예·작물·축산·작물환경 분야에 대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진보된 스마트농업 기술을 개발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ICT기술을 농업에 접목한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하여 농촌 경쟁력이 확보되고 스마트농업 관련 산업생태계 육성, 일자리 창출,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까지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스마트농업/스마트팜 분야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를 토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스마트농업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차세대 식물공장/축산분야 R&D전략」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스마트농장 산업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ICT기반 스마트농업 정책 및 주요기술, 식물공장, 축산분야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1장 스마트농업 국내외 분야별 활용 및 정책실태와 R&D 방안
1. 스마트농업 개요 및 정책 추진 현황
1) 스마트농업 현황과 시사점
(1) 농업 분야의 ICT 융복합의 필요성
가. 농업의 지속성장의 한계
나. ICT 기술의 농업 접목 필요성 증대
(2) 스마트 팜의 개념과 기대효과
가. 스마트 팜의 개념
나. 스마트 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3) 스마트 팜 현황과 사례
가. 농협의 사례
나. 정부부문의 사례
다. 민간부문의 사례
(4) 스마트 팜의 전망과 시사점
가. 스마트 팜의 전망
나. 스마트 팜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2) 스마트 농업 정책 및 산업 현황
(1) 국내외 스마트 팜 정책 동향
가. 해외정책 동향
나. 우리나라 스마트 팜 정책의 추진 경과
(2) 국내외 산업 동향
가. 해외산업 동향
나. 국내 산업 동향
(3) 스마트 팜 시장의 미래
가. 스마트 팜 관련 국내 정책 로드맵
나. 주요국의 스마트 팜 관련 정책 계획 및 미래 방향성
⒜ 미국
⒝ EU
⒞ 일본
다. 스마트 팜 글로벌 투자 동향으로 본 미래 유망 기술
라. 시사점 및 기업의 대응 전략
2. 스마트 농업의 실태와 성공요인 및 R&D 개선 방안
1) 스마트 농업 부문별 보급 실태
(1) 스마트 팜 보급 현황 및 실태
가. 스마트 팜 보급현황
나. 부문별 보급 실태
⒜ 시설원예 부문
⒝ 과수 및 축산 부문
(2) 스마트 팜 참여기업 현황 및 보급농가 수
가. 스마트 팜 참여기업 현황
나. 부문별 시설원예 부문 참여기업 및 보급현황
⒜ 시설원예 부문 참여기업 및 보급현황
⒝ 과수 부문 참여기업 및 보급 현황
⒞ 축산 부문 참여기업 및 보급 현황
2) 스마트 농업 성과 및 성공요인
(1) 스마트 팜 선도농가의 성과 분석
가. 조사개요 및 일반 현황
나. 스마트 팜 도입 요인과 만족도
다. 스마트 팜 교육 습득 및 ICT 활용 수준
라. 유통 및 조직화
마. 스마트 팜 선도농가의 ICT 도입 성과
(2) 스마트 팜 성공요인
가. 공통요인
나. 부문별 요인
(3) 시사점 및 발전 방향
가. 부문별 시사점
⒜ 원예 부문
⒝ 축산 부문
나. 스마트 팜 발전 방향 검토
⒜ 철저한 ICT 컨설팅과 기술지원 체계 구축
⒝ 시스템의 표준화 및 사용자의 데이터 마인드 구축
⒞ 신뢰성 높은 전문업체 육성
⒟ 적절한 정부 지원방안 마련
3) ICT 융복합 스마트 농업 사업실태분석 및 평가
(1) ICT 융복합 R&D 사업 평가
가. 스마트 팜 R&D 추진 현황
나. R&D기획 조정ㆍ협력 미흡
다. R&D성과의 사업화 연계 부족
라. 시설장비 표준화 및 시험·인증 지원 미흡
⒜ 스마트 팜 시설장비 표준화 지원 필요
⒝ 효율적인 시설장비 시험·인증 지원체계 필요
(2) ICT 융복합 시설보급 사업 평가
가. 시설보급 사업시행지침 부적정
나. 시설보급 경제성 분석 미흡
다. 사업예산집행 부진 및 성과 저조
⒜ 농축산 ICT 융복합 예산집행 부진
⒝ 농축산 ICT 융복합 성과 저조
(3) ICT 융복합 교육 및 컨설팅 지원 실태분석
4) ICT 융복합 스마트 농업 R&D 개선 방안
(1) 정책-R&D-현장 연계성 및 재정투자의 민간 확산 기능 강화
가. 스마트 팜 R&D 혁신플랫폼 구축 운영
나. 실용화 기술 및 표준화 촉진 등 사업화지원체계 쇄신
(2) 농축산 ICT 융복합 재정투입 방식 최적화
가. R&D·시설보급·교육분야 재정투입 비율 및 연계성 강화
나. 시설원예 및 축산 분야의 예산사업 통합성 제고
다. 데이터기반 구축을 위한 시설농가 실증자료 인센티브 마련
(3) 농축산 ICT 융복합 교육지원 활성화 필요
3. 국내외 스마트 농업 사례 및 주요과제
1) 해외 스마트 농업 사례
(1) 시설원예 분야
가. 시설채소 재배 현황
나. 네덜란드
다. 일본
라. 대만
마. 스페인
(2) 축산분야
가. EU
나. 일본
다. 이스라엘
(3) 노지재배분야
가. 이탈리아
나. 이스라엘
다. 일본
2) 한국의 스마트 농업 현황과 주요 과제
(1) 스마트농업의 전개과정과 및 특성
가. 스마트농업과 관련된 정책 현황
나. 스마트농업 관련 과학기술 추진 현황
다. 통합 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 현황
(2) 스마트농업의 유형별 단계별 현황과 및 수요 기반
가. 스마트농업의 유형별 사례
나. 스마트농업의 단계별 현황
다. 스마트농업의 성과와 수요 특성
(3) 스마트농업 육성을 위한 주요 과제
가. 플랫폼 서비스를 통한 스마트농업 생태계 구현
나. 표준화를 통한 기반 경쟁력 확보
다. 민관 협업체계 강화 및 민간참여 활성화
제2장 스마트농업 플랫폼 주요기술 및 빅데이터 활용사례와 SWOT 분석
1. 농업의 첨단산업 및 기술 주요이슈
1) 농업, 첨단산업 도약 현황
(1) 높아지는 농업에 대한 관심
(2) 녹색혁명, 그 이후
(3) BT, IT 기술로 새롭게 열리고 있는 가능성
가. DNA 마커, 유전자 가위
나. 정밀농업
⒜ 정밀농업의 과정
⒝ 기술의 적용
(4) 농업, 첨단 산업으로의 진화
2) 농업현대화의 필요성 및 기술 주요이슈
(1) 농업 현대화 필요성
가. 경제・사회적 필요성
⒜ 식량 위험 대비
⒝ 온실가스 배출 감소
⒞ 농촌 인구의 고령화
⒟ 생산성 증대의 한계
나. 산업적 필요성
⒜ 대규모 생산 실현
⒝ 정밀농업 가능
⒞ 농작업 위험성 감소
(2) 농업 현대화 기술 주요이슈
가. 농업용 로봇
⒜ 농업용 로봇 시장 동향
⒝ 분야별 연구동향
나. 농업 ICT
⒜ 국내 농업 ICT 서비스 트렌드
⒝ 농업 ICT 인프라
⒞ 농업 ICT 도입 분야 유형
⒟ 주요유형별 도입현황 및 진단
다. 빅데이터 기반 예측시스템
⒜ 농업 빅데이터 활용 앱 및 기술
⒝ 농업 분야에 실제 활용되는 빅데이터 사례
⒞ 미국의 처방(Prescription)농법
라. 농업용 무인항공기(드론)
⒜ 해외 무인항공기 시장
⒝ 국내 무인항공기 시장
⒞ 농업분야 활용사례
(3) 주요 현황요약
가. 농업 현대화 필요성
나. 농업 현대화 기술 주요이슈
다. 빅데이터 기반 예측시스템
라. 농업용 무인항공기(드론)
3) ICT융복합 기술의 농업적용 동향 및 전망
(1) ICT융복합의 개념 및 농업 적용 범위
가. ICT융복합의 개념
나. 농업 적용 범위
(2) 산업 일반 동향
가. 일반분야 동향
나. 농업분야 동향
(3) 기술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정책
나. 국내・외 기술개발 비교
다. 국외와 비교 시 국내 기술의 강점과 약점
(4) 기술 개발 및 발전 저해 요소
가. 제도적 관점
나. 법적 관점
다. 정책적, 기술개발적 관점
(5) 기술 수준 향상 방안
가. 집중개발해야 할 세부기술
나. ICT융복합 정밀농업 국내 도입 우선 순위
(6) ICT융복합 기술의 발전 전망
가. 공학 기술 측면에서 미래 농업 전망
나. 정부 정책 방향 제안
2. 스마트농업 플랫폼 및 R&D 현황
1) 한국형 스마트농업 시스템 모델링
(1) 한국형 스마트 팜 시스템 개요
(2) 한국형 스마트 팜의 중요성과 기대효과
(3) 실시간 컨설팅 및 공동판매 시스템
2) 스마트농업 팩토리를 위한 IoT 플랫폼 연구
(1) 스마트농업 팩토리
(2) IoT 플랫폼
(3) 스마트 팜 팩토리를 위한 IoT 플랫폼 적용 방안
3)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시나리오 기반 접근
(1) 서비스 개요
가. 스마트농업 서비스
나. 서비스 제공구조
(2) 서비스 수행 과정
가. 파종/수확 자문 서비스
나. 데이터수집 서비스
다. 원격 경작관리 서비스
(3) 국제 표준 반영
가. ICT 표준화 로드맵 필요성
나. 스마트 농업 표준 기능모델
⒜ 스마트농업 표준기능 모델
⒝ 스마트 농업 서비스 표준화 항목
4) 스마트 농업 SW융합 R&D 현황
(1) CAN 통신 기반 농기계 및 농경상황 통합 모니터링 기술 개발
(2) 스마트 영농지원을 위한 지식정보서비스 개발
(3) 지역단위 한우개량을 위한 맞춤형 종합관리 시스템
(4) IoT기반 온실 내 작물 생육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기본 플랫폼 개발
5) 한국 농업의 가치혁신을 위한 전략
(1) 가치혁신의 기본 구도
가. 가치의 창출
나. 농업혁신
(2) 과학기술을 통한 농업 가치혁신의 가능성
가. 농업분야에서 ICT 융합기술의 활용
나. 축산분야에서 ICT 융합기술의 활용
(3) 6차 산업화와 가치혁신
가. 지역자원과 농가의 창의적 아이디어 결합
나. 로컬푸드 사업과 생산 조직화
다. 그린 비즈니스로 가치창출
3. 빅데이터 이용 스마트농업 활용사례 및 SWOT 분석
1) 농생명산업의 빅데이터 실용사례에 대한 분석과 활용 방안
(1) 국외 농생명산업의 빅데이터 실용사례
가. 미국 몬산토의 필드스크립트(FieldScripts)
나. 미국 존디어(JohnDeere)의 시드스타 모바일(SeedStar Mobile)
다. 미국 듀퐁 파이오니어(DuPont Pioneer)의 Pioneer Field360 Select
라. 이스라엘 Phytech의 소프트웨어
마. 스코틀랜드 Silent herdsman의 Cattle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바. 일본 후지쯔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인 우보(牛步)시스템
사. 일본의 인공위성을 이용한 벼 재배
(2) 국내 농생명산업의 빅데이터 실용사례
가. 스마트 그린하우스 시스템
나. 종합정보망 원스톱 정보 서비스
다. 국립농업생명공학센터의 National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formation Center(NABIC)
(3) 국외 농생명산업의 빅데이터 SWOT 분석
(4) 국내 농생명산업의 빅데이터 SWOT 분석 및 향후 추진 전략
2) 미래 농업 시스템과 빅데이터 활용
(1) 개요
(2) 장소에 따른 시스템 구성 내용
(3) 사용 방안
(4) 빅데이터 사용 방안 및 실용 가능성 자료
3) 빅데이터 활용 기상융합서비스 현황
(1) 기후변화시나리오 활용 농업 기상 과학 융합 전략
가. 기후 변화에서의 상세화
나. 상세화 관련 국제프로그램
⒜ CORDEX
⒝ TGICA
⒞ CLIM-RUN(지중해지역 국지기후정보포털)
다. 상세화 활용사례
⒜ 국내
⒝ 해외
(2) 농업가뭄 대응 ICT-WSN,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응용 방안
가. 무선센서네트워크
나. 빅데이터
다. 사물인터넷
(3) 기상·농업가뭄지수와 빅데이터 농업가뭄지표 특성비교
가. 연구방법
⒜ 수문기상 가뭄지수 산정방법
⒝ 빅데이터 가뭄지표 산정방법
나. 결과 및 고찰
⒜ 가뭄지수 산정결과
⒝ 빅데이터 농업가뭄지표 산정결과
⒞ 기상 및 농업가뭄지수와 빅데이터 농업가뭄 지표 비교
(4) 농산물 생산량 예측에 기상 거대자료(빅데이터) 활용
제3장 차세대 식물공장 정부정책과 산업실태 및 R&D 동향 1. 차세대 식물공장의 현황과 전망
1) 식물공장 개요
(1) 식물공장의 필요성
(2) 발전 과정
가. 구조
⒜ 수평형
⒝ 수직형
⒞ 모듈형
⒟ 아쿠아포닉스(aquaponics)
나. 장소
⒜ 도심, 근교
⒝ 주거 시설 내부
⒞ 극한 환경
다. 빛
⒜ 태양광
⒝ 인공광
⒞ 파장
⒟ 고속 점등
2) 차세대 식물공장 시장현황
(1) 식물공장의 변화, 고기능·고부가가치 식물 생산
(2) 유전자변형식물’, ‘생약식물’, ‘고기능성식물’에 따른 주요 업체 동향
가. 유전자변형식물
나. 생약식물
다. 고기능성식물
(3) 차세대 식물공장 생산 제품의 일본 시장 규모, 2015년 23억 엔 전망
(4) 차세대 식물공장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이업종·이분야와의 연계가 필수
2. 식물공장 정부 정책 및 산업체 활성방안
1)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 및 제도 정립
(1) 식물공장 육성 추진 배경과 필요성
가. 식물공장 육성 제도화 추진 배경
나. 식물공장 육성의 제도화 필요성
(2)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정책 및 제도 현황과 문제점
가. 식물공장 관련 정책 및 제도 현황
나. 식물공장 정책 및 제도적 문제점
(3) 국외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 현황
가. 일본 정부의 식물공장 지원 정책
나. 중국 정부의 식물공장 지원 정책
다. 대만 정부의 식물공장 지원 정책
라. 네덜란드 정부의 식물공장 지원 정책
(4) 식물공장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화 방안
가. 추진 방향
나.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제도 정립
다. 식물공장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
2) 식물공장 산업체 활성화, 사업화 및 수출방안
(1) 식물공장 관련 산업 동향
(2) 식물공장 산업체 활성화 방안
가. 식물공장 시장 확대 방안 모색
나. 시설 규격화 및 표준화를 통한 초기비용 저감
다. 식물공장 수출을 위한 관련 업체간의 컨소시엄 지원
라. 성공사례를 통한 귀농 모델 보급
(3) 식물공장 국내 사업화 대상 기술
(4) 식물공장 국내 기술경쟁력 분석
(5) 식물공장 국내 사업화 문제점
가. 식물공장사업 및 기술개발 추진 시 장애요인
나. 국내에서 운영되는 식물공장의 높은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비용으로 인한 경제성 문제
다. 식물공장용 고부가가치 재배작물 선정 문제
라. 식물공장 사업에 적용되는 미흡한 법률 정책에 대한 문제점
마. 식물공장에서 재배된 작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입견
(6) 식물공장 국내 사업화 발전 전망
(7) 식물공장 국내 사업화 발전 방안
(8) 식물공장 해외 수출화 사업 방안
가. 정책지원
나. 식물공장 수출 사례
⒜ 국내사례
⒝ 해외사례
다. 식물공장에서 기술 수출 전략
3. 국내외 식물공장 실태분석 및 추진동향
1) 국내외 식물공장 추진 동향
(1) 미국
(2) 일본
(3) 유럽
(4) 한국
가. 정부/공공기관
나. 대학
다. 기업
2) 국내 식물동장 현황 및 실태분석
(1) 농업회사법인(주)바이오웍스
(2) 미래원
(3) 주식회사 넥스트에이(NEXT A Co., Ltd)
(4) 만나CEA
(5) 애그로닉스(주)
(6) 맥스포
(7) 알가팜텍
(8) 베지텍스
3) 국외 식물공장 현황 및 실태분석
(1) 일본
가. 칸사이철강공업
나. 어드벤스드어그리 주식회사
다. 산신금속
라. M식 수경재배연구소
마. 에스펙, 에스펙믹
바. Green Clocks
사. 닥터 베지터블
아. Green land
자. KiMiDoRi
차. 주식회사 인터내셔널리 로컬(INLOCO)
카. Ichigo company
타. MIRAI
(2) 미국, 유럽
가. Green sense farms
나. Farmed here
다. Urban Produce
라. Growing Underground
마. Deliscious
바. PlantLab
4. 차세대 식물공장 기술개발 현황
1) 식물공장 기술개발 R&D 방향 재정립
(1) 국내 식물공장 R&D의 현황 분석
(2) 국내 식물공장 기술분야별 R&D목표
(3) 식물공장 세부 기술분야별 R&D 중장기 로드맵
가. 시설/자동화, 센싱 및 광원/조명 기술
나. 수경재배, 환경조절 및 광조절 기술
다. 작물/품질관리, 에너지/공조 및 자연광 식물공장 기술
(4) 식물공장 R&D의 미래 방향 설정
가. 식물공장 R&D의 중장기 비전 및 연구필요기술 구분
나. 식물공장 기술의 기간별, 목적별 미션 차별화 및 세부 연구필요 항목 설정
(5) 식물공장 R&D의 산업화 기여를 위한 제언
2) 식물공장 기술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BM) 개발
(1) 도시내 소형 식물공장을 이용한 BM
(2) 새싹삼 생산/판매 식물공장 BM
(3) 아쿠아파밍 기술을 이용한 태양광 이용형 식물공장 BM
(4) 천연물 신의약 소재 약용작물 생산 식물공장 BM
(5)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렌탈 서비스 사업
3) IoF-Cloud 기반 스마트 온실 및 IoT 플랫폼 기술
(1) 차세대 IoF-Cloud 기반 스마트 온실 및 서비스 연구
가. IoF-Cloud 테스트베드 설계
⒜ 한국형 스마트 팜 모델
⒝ IoF-Cloud의 정의 및 설계
나. IoF-Cloud의 프로토타입 실증
⒜ 작물의 생육 관리를 위한 이미지 처리
⒝ 드론 기반의 영상 검색을 위한 분류
(2) 스마트팜 생육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IoT 플랫폼 기술
4) ICT 원격제어 system 이용 식물진단, Phenomics 연구현황 및 전망
(1) 식물기능 remote sensing의 기술적 동향
(2) 환경스트레스 반응해석과 식물
(3) 식물기능 ICT 기반 플랫폼
5) CFD 기반의 순환 팬 배치 및 유속조절에 의한 식물공장의 에너지 효율 향상
(1) 대상공간 모델링 및 경계조건
(2) CFD 시뮬레이션 및 결과 분석
가. 순환 팬의 수량 및 배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나. 순환 팬의 유속변화에 따른 시뮬레이션
6)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IT-융합 식물공장 시스템 설계
(1) 요소기술별 핵심 내용
(2) 식물생장 모니터링 및 제어
가. 생장상태 모니터링 및 분석
나. 재배시설 자동 제어
다. 생육환경 DB 및 이력관리
라. 원격관리
(3) 환경 센서
가. 이기종 융합센서 연계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
나. USN Gateway
다. 식물생장 센서시스템 전체 구성도
(4) LED 조명의 활용
(5) 신재생에너지 활용
7) LED 식물공장에서 산란 유리 이용에 의한 상추의 군락 광분포, 광합성 및 생장 향상
(1) 재료 및 방법
가. 식물 재료 및 재배 환경
나. 산란 유리 및 실험 처리
다. 작물의 군락 광분포 시뮬레이션
라. 작물의 군락 광합성률 및 생장
마. 통계 처리
(2) 결과 및 고찰
가. 군락 광분포 시뮬레이션
나. 군락 광합성과 식물체의 생장
제4장 ICT기반 축산 국내외 산업/정책 및 첨단기술 관리현황
1. ICT기반 축산 미래 메가트렌드 및 시스템
1) ICT기반 미래 축산 현황
(1) ICT가 융합한 미래축산의 모습
(2) 가축개량분야의 ICT 융합기술 현황 및 제안
(3) ICT융합기술에 의한 미래 낙농산업의 전망
(4) 양돈관련 ICT 융복합의 현황과 제안
가. 양돈산업의 현황
나. 축산분야 ICT 산업
다. 양돈분야에서의 ICT 산업
라. 양돈분야에서의 ICT 산업에 대한 제안
(5) ICT를 융합한 한우통합 DB 및 자동화시스템
(6) ICT 접목 축사시설 현대화 현황 및 연구제안
가. 축사시설 현대화 현황
나. ICT 접목 축사시설 연구 분야
2) 축산 미래 메가트렌드와 여건 변화
(1) 시장개방 확대와 관세 Zero 시대 도래
가. FTA 확대로 시장개방 가속화
나. 축산물 관세 Zero 시대 도래
(2) 인구 고령화와 인구절벽 시대 도래
가. 수요 측면 영향
⒜ 축산물 소비 패턴의 변화
⒝ 축산물 구매력 약화
나. 공급 측면 영향
(3) 기후변화 진행과 파급 효과
(4) 글로벌화와 가축질병 발생 위험 증가
(5)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
가. 농촌 경관 보전에 대한 요구 증가
나. 친환경 농업 활동에 대한 요구 증가
⒜ 친환경축산물 인증제도
⒝ 환경친화축산농장 지정
⒞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6) 경제성장 둔화와 파급효과
(7) ICT와 바이오기술의 확대
가. 축산분야 ICT 기술 도입 및 확대 필요성
⒜ 위생수준제고 및 경쟁력 확보
⒝ ICT 기술 접목을 위한 기술 표준화 등의 연구시급
⒞ 축산분야 인력 및 후계자 육성관련 필요성
나. 축산분야 바이오기술 도입 및 확대 필요성
2. 국내외 축산업 현황 및 영향력 전망
1) 국내외 축산업 현황과 미래 전망
(1) 우리나라 축산업 현황
가. 축산업 개황
⒜ 생산과 소비
⒝ 생산액
나. 주요 축종별 현황
⒜ 한육우
⒝ 낙농
⒞ 양돈
⒟ 육계
⒠ 산란계
(2) 해외 주요국가 축산업 현황
가. 주요 축종별 사육 마릿수
나. 주요 축산물 수급 상황
(3) 우리나라 축산업 장기 전망
가. 한육우
나. 젖소
다. 돼지
라. 산란계
바. 육계
2) 국민경제와 축산업 현황
(1) 농업경제와 축산업
가. 농업과 축산업
나. 농가경제와 축산업
⒜ 농가소득 비교
⒝ 농가 생산성 비교
⒞ 주요 축종별 수익 및 소득률
(2)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축산업 영향력 측정
가. 부문 분류
나. 축산 및 연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축산 및 연관산업의 생산 및 투입구조
⒝ 축산 및 연관산업의 산업간 연쇄효과
⒞ 축산 및 연관산업의 부가가치 및 생산유발효과
⒟ 축산 및 연관산업의 취업 및 고용유발효과
⒠ 축산 및 연관산업의 물가파급효과
(3) 요약 및 시사점
3. 미래형 축산업 정책 및 첨단기술 관리 현황
1) 미래 축산정책 우선순위와 제언
(1) 미래 축산정책 목표 설정
(2) 축산정책 우선순위 분석
가. 분석 개요
나. 분석 결과
⒜ 5대 과제(제1계층)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 25개 세부 전략(제2계층)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 종합 평가
다. 현재 정책 방향의 적절성 검토
(3) 미래 축산정책 제언
가. 축산물 경쟁력 강화
⒜ 원산지별 축산물 경쟁력 수준 검토
⒝ 경쟁력 검토 시사점
나. 축산업 생산기반 유지
⒜ 현행 제도 시사점
⒝ 축산업 생산기반 유지를 위한 대응 방안
다. 축산물 안전성과 소비자 안심 확보
⒜ 국내산 축산물의 프리미엄 유지 및 확대
⒝ 친환경 및 동물복지 축산물 공급 확대
⒞ 축산물 위생 및 안전성 강화
⒟ 가축질병 방역 강화
라. 환경친화적 축산업 구축
마. 축산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2) 정부정책, ICT 축산업 현황
(1) 한국형 축산 스마트팜 개선 현황
(2) 경쟁력 있는 선진축산 추진과제
가. 구제역・AI 특별방역 대책추진
나. 가축사육 최적화로 축산경쟁력 강화
다. 청정 경남한우 생산확대 및 명품이미지 구축
라. 가축분뇨 자원화 및 축산환경 청정화 추진
마. 조사료 생산기반 확대로 생산성 향상
바. 가축전염병 상시 방역체계 구축
사. 축산물 유통기반 확충 및 축산식품 안전성 제고
(3) 농축산 ICT 융복합 지원사업 평가
가. 농축산 ICT 융복합 지원사업의 재정투입 규모
나. ICT 융복합 R&D 사업 평가
다. ICT 융복합 시설보급 사업 평가
라. ICT 융복합 교육 사업 평가
3) 축산업 첨단기술 관리 현황
(1) IoT 기반 가축 관리 빅데이터 시스템
가. 빅데이터와 하둡 프레임워크
나. 가축 관리 빅데이터 시스템
(2) BioWishTM 이용한 축산 폐수 처리
가. 결과
나. 성공의 중요 요인
다. 세부 시행 사항
라. 또 다른 결과
통계(도표) 목차
'신간 기술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하는 자원순환과 도시광산 관련 시장 동향과 전망 (0) | 2018.07.30 |
---|---|
스마트그리드/EMSㆍESS 기술/시장현황과 마이크로그리드 국내외 동향 및 구축사례 (0) | 2018.07.25 |
가상현실(VR)ㆍ증강현실(AR)ㆍ혼합현실(MR) 활용분야별 비즈니스 현황과 최근 주요 이슈 종합분석 (0) | 2018.07.09 |
신 제조기반 6대 첨단 뿌리산업 분야별 신기술 융합 동향분석 (0) | 2018.07.09 |
2017 바이오산업 분야별 시장동향과 유망기술 개발전략 (0) | 2018.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