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 기술보고서

ICT융합 재난・재해 분야별 대응방안 -로봇/드론/공간정보/IOT・빅데이터-

by 테크포럼북스 2018. 7. 31.



http://shoppinghub.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129629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788쪽 (A4)
ISBN: 979-11-5862-059-2 93500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재난으로 인한 연평균 재산피해는 약 1조원, 사망자는 7000여명에 달한다. 세월호 참사, 메르스 확산, 경주 지진부터 최근 미세먼지, 랜섬웨어 공격까지 사회의 다양성, 복잡성 증가에 따라 '재해·재난'은 다변화되고 있다. 매년 발생하여 가축 수만 마리가 살 처분되는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독감(AI)은 축산 농가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에도 악영향을 준다. 심지어 예측 불가능한 신종 감염병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전염력 및 치사율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경우도 있어 국민이 체감하는 불안과 피해도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2~3년간 미세먼지 체감오염도가 악화되고 인체유해성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면서 해결이 시급한 환경문제로 대두되었다. 국내의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국 발 미세먼지가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국내적 원인이 되고 있는 에너지와 운송수단에 대한 정책과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2018년 연구개발 중점분야로 재난·재해와 기후변화를 선정하여 부처 간 R&D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특히 가뭄, 폭염 등 최근 현실화되고 있는 기후변화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이상기후 현상 예·경보에 대한 R&D를 확대할 예정이다.

 

 

 

 과거의 '방재'는 사람이 직접 현장에 나가서 행하는 아날로그적인 접근 및 사후 대응 중심이었다. 이제는 빅데이터(Big data),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하여 재난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물적·인적 피해에 대한 선제적, 능동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촘촘한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되는 정형 데이터와 SNS 등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를 축적하고 통합 분석하는 역량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재난·재해 및 환경문제에 선제적, 능동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ICT융합 재난・재해 분야별 대응전략 -로봇/드론/공간정보/IOT・빅데이터」를 발간하였다. 총 6장으로 구성된 본서는 최근 전 세계 이상기후 현황, 신 기후체제 대응 R&D동향, 주요국 자연재난(폭염/가뭄/홍수/지진)과 사회재난(사람/동물전염병) 사례분석과 대응방안, 복합적인 재난·재해를 예측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최신기술동향, 환경유해인자로 야기된 미세먼지 대응기술 등을 수록하였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1장 최근 이상기후 현황과 新기후체제 대응 정책·R&D동향
1. 2016년 국내외 이상기후 현황 및 원인
1) 세계의 이상기후
(1) 개요
가. 2015년 기상재해로 사회·경제적 피해액 증가
나. 2016년 전지구 평균기온 역대 최고 1위
(2) 전지구 이상기후 발생 주요원인
가. 지구온난화 : 전지구 평균기온의 지속적인 증가
나. 엘니뇨 약화
다. 북극해빙면적의 지속적인 감소
라. 유라시아 대륙의 많은 눈덮임
(3) 언론을 통해 본 세계 주요 이상기후 발생현황 및 원인
가. 동아시아 한파 및 미국 폭설
나. 폭염
다. 인도가뭄
라. 미국 루이지애나 폭우
마. 태풍 므란티
2) 국내의 이상기후
(1) 개요
가. 2016년 이상기후 기록
(2) 2016년 우리나라 평균기온 역대 최고 1위
가. 현황
(3) 1월 강한 한파
가. 현황
나. 강한 한파 발생 원인
(4) 4월 이상고온 및 이상강수
가. 현황
나. 원인
(5) 5월 이상고온, 역대 1위
가. 현황 및 원인
(6) 여름철(6~8월) 폭염 및 열대야 발생
가. 현황
나. 폭염 발생 및 지속 원인
다. 여름철 폭염 및 열대야일수
라. 폭염 지속으로 1973년 이래 가장 적었던 8월 강수량
(7) 2016년 장마특성
가. 현황
나. 장마 특성분석
(8) 태풍
가. 현황
나. 여름철 태풍의 영향이 없었던 원인
(9) 10월 이상강수
가. 현황
2. 신기후체제 출범 및 주요내용
1) 신기후체제 배경 및 특징
(1) 신기후체제 배경
(2) 신기후체제 특징
2) 신기후체제를 위한 파리협정의 주요 내용
3) 신기후체제의 출범
3. 주요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및 R&D투자 동향
1) 미국
(1) 정책동향
가. 미국의 교토의정서의 불참 배경
나. 자발적 감축 목표 달성의 난항
다. 환경 예산 삭감 및 GCF 지원 중단
라. 미국의 파리협정 탈퇴 관련 쟁점 검토
마. 기후변화협상의 불확실성 증대
(2) 정부 R&D 투자 동향
(3) 미국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변동 가능성
(4) 시사점
2) 프랑스
(1) 정책 동향
(2) R&D 투자 동향
3) 영국 
(1) 정책 동향
(2) R&D 투자 동향
4) 독일
5) 일본 
(1) 정책동향
(2) 정부 R&D 투자 동향
6) 중국
(1) 정책 동향
(2) R&D 투자 동향
7) 한국 
(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가. 지속가능발전 및 녹색성장
나.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관리
다.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2) R&D 투자 동향
(3) 주요국과의 비교분석 
가. 기후변화 대응 R&D 투자
나. 세부분야별 투자
다. 미션 이노베이션 투자 계획
라. 기술 수준
마. R&D 사업
바. 중점기술 분야
(4) 신기후변화체제에 대비한 도시정책 방향
가. 기후변화 완화 측면
나. 기후변화 적응 측면
다. 탄소시장 및 재원 측면
라. 법제도적 측면
4. 기후변화 대응 R&D 주요동향
1) 기후변화 대응 분야 글로벌 협력
(1) 「유엔기후변화협약 하의 기술개발 및 이전의 향방(2015)」
가. 연구목적 
나. 연구내용
다. 연구결과
(2) 「선진국 국제협력 및 기술이전 체계 분석: 독일 국제협력공사(GIZ)를 중심으로(2015)」 가. 연구목적
나. 연구내용
다. 연구결과
(3) 「기후변화 대응 개도국 지원 사업 가이드라인 연구 (2013)」
가. 연구목적
나. 연구내용
다. 연구결과
(4) 「에너지 협상력 제고를 위한 국가 간 네트워크 활용 전략 연구(2015)」
가. 연구목적
나. 연구내용
다. 연구결과
(5) 「국제협력분야 정부 R&D 전략적 투자를 위한 정책제언(2016)」
가. 연구목적
나. 연구내용
다. 연구결과
(6)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국제협력사업 발전 방안 마련(2013)」
가. 연구목적
나. 연구내용
2) 기후변화 대응 R&D의 현주소(3P 분석)
(1) R&D 분석
가. 총괄 
나. 부처
다. 연구단계
라. 수행주체
마. R&D사업
바. 분야 
사. 수행기관
(2) SCI논문 분석
가. 총괄
나. 국가
다. 연구기관
라. 분야 
마. 국가·분야
(3) 미국등록 삼극특허 분석
가. 총괄
나. 분야
다. 국가・분야
5. 신기후체제하에서의 이슈 진단 
1) 환경규제와 경쟁력
2)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감축수단
3) 신기후체제에 대한 통합적 대응
4) 신기후체제와 무역
6. 분야별 신기후체제의 영향
1) 新기후체제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우리나라 감축목표
가. 신기후체제 하에서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나. 정부 감축목표에 대한 평가
(2) 국내 감축목표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
가. 저비용 감축수단 부재
나. 탄소비용 부담 발생
다.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3) 해외 배출권 사업개발 필요성
가. 해외 배출권확보 방식
나. 해외 감축량 확보 방식별 비용 분석
A) 전량구매 비용
B) 5:5 비율로 확보 시 비용
2)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산업계 기후변화정보 활용현황 분석
(1) 기후변화정보의 필요성
(2) 기후서비스의 필요성
(3) 기후서비스 해외 사례
가. 해외 기후서비스 구축 사례
나. 해외 기후서비스 구축의 시사점
(4) 우리나라의 현황
(5) 정책적 시사점
3) 신(新)기후변화체제의 원자력에 대한 영향
(1) 기회요인
(2) 위기요인 

 

제 2장 주요국 재난관리 체계와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난 대응방안
1. 현대재난의 특징 및 주요국 재난관리 체계
1) 재난환경의 변화 및 현대재난의 특징
(1)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발생 빈도·강도 증가
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발생 강도 증가
나. 재난 동향(발생건수-인명피해-재산피해)
(2) 사회발전에 따른 재난의 복합화 및 재난유형의 변화
가. 사회발전으로 인해 재난발생 시 복합피해 발생
나. 과학기술 발전에 의한 신규 재난 발생의 증가
다. 현대 재난의 미래 재난 시나리오
(3) 재난 발생에 의한 사회적 불안정서 증가
2) 일본의 재난복구체계
(1) 원형복구(통상적 복구)
(2) 개량복구
(3) 격심재해제도
3) 미국의 재난복구체계
(1) 재난복구과정 및 복구조직
(2) 복구지원기능
(3) 재난규모별 복구체계
4) 한국의 재난복구체계
(1) 피해조사체계
(2) 복구계획 수립체계
(3) 복구 실시체계
(4) 특별재난지역
(5) 일반적인 복구체계에 대한 시사점
(6) 대규모 복합재해에 대한 복구체계의 시사점
가. 거액의 재난복구예산 확보방안 마련
나. 대규모 재난복구수행을 위한 조직 구성방안 필요
다. 지역의 재난복구를 위한 중앙의 지도/조정 기능 강화
라. 통상적 재난복구체계와 특별 재난복구체계의 이원화 전략
마. 재난과정에서의 인과관계분석 중요성 대두
바. 재난피해자의 심리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필요
2. 이상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난 사례연구와 대응방안
1) 폭염 
(1) 폭염으로 인한 영향 검토
가. 인체건강의 영향
나. 사회·환경적인 영향
다. 산업의 영향
(2) 국내외 폭염정책
가. 국내
A) 폭염 건강피해 감시시스템
B) 폭염피해 방지 대책
C)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나. 미국
A) 폭염경보체계 
B) 폭염에 대한 계획
다. 영국
A) 폭염 경보 체계
B) 폭염에 대한 계획
라. 프랑스
마. 일본
A) 폭염경보체계
B) 2016년 여름 열사병에 대한 정부 대책
(3) 폭염에 미치는 요인
가. 기후 
나. 강수량
(4) 폭염과 관련한 영향인자 분석
가. 폭염일수 분석
나. 대도시별 폭염일수와 온열질환 특성 비교
A) 폭염일수 비교
B) 온열질환 환자수 비교
다. 대도시별 열대야일수 비교
(5) 폭염으로 인한 국내외 재해재난 사례
가. 국내
나. 미국
다. 영국
라. 일본
(6) 대도시별 폭염의 미래변화 추이분석
가. 서울특별시
나. 인천광역시
다. 부산광역시
라. 울산광역시
마. 광주광역시
바. 대전광역시
(7) 폭염대비 중장기적 개선 대안 
가. 폭염특보기준 및 취약계층별 대응 세분화
나. 중장기개선을 위한 통계 DB관리
다. 지역별 폭염취약성 고려
라. 지역별 맞춤형 대책마련
마. 지역녹화 및 담수시설 등 예방시설 설치
바. 주민 간 유대 및 케어활동 강화
사. 국민과 함께하는 홍보, 국민 인식개선
2) 가뭄
(1) 가뭄판단을 위한 가뭄지수
가. 가뭄지수 개요
나. 가뭄지수의 분류
(2) 국내 최근 가뭄현황 분석
가. 2015년 가뭄현황
나. 2016년 가뭄현황
다. 2017년 가뭄현황
(3) 국내 가뭄 극복을 위한 대책 및 대응방안 
가. 국내 가뭄관리 현황 및 문제점
나. 가뭄대비 댐 운영방안
A) 물공급안전도를 고려한 다목적댐 운영
B) 저수지 용수공급 시스템 구축·활용
C) 홍수기 댐 운영방식 개선
다. 대체수자원 및 4대강 용수의 활용 현황
A) 활용 현황
B) 4대강 용수의 활용 현황
라. 가뭄극복 대책
A) 가뭄 단계별 댐 용수 공급대책
B) 가뭄지역 지원 등 가뭄대응 단기대책
C) 항구적인 중장기 가뭄대책
(4) 해외 가뭄관리 관리체계 및 정책 
가. 미국
A) 가뭄관리 정책
B) 가뭄관리 조직 및 체계
C) 가뭄 모니터링
나. 영국 
A) 가뭄관리 정책
B) 가뭄관리 조직 및 체계
C) 가뭄 모니터링
다. 호주
A) 가뭄관리정책
B) 가뭄관리조직 및 체계
C) 가뭄 모니터링
라. 스페인
A) 가뭄관리대책
B) 가뭄 모니터링
마. 일본
A) 가뭄관리정책
B) 관리조직 및 체계
(5) 가뭄상황관리 통합플랫폼 구축 방안
(6) 수문학적 가뭄 모니터링 방안 
가. 국외 수문학적 가뭄감시 사례 
나. 국내 수문학적 가뭄감시 사례 
A) 한강홍수통제소 갈수정보시스템
B) K-water 가뭄정보시스템
다. 물부족 상황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 모니터링 방안
라. 위성자료 활용을 통한 수문학적 가뭄감시 방법 
(7) 기상가뭄정보 생산기술 및 활용 동향
가. 현업모델 기반의 기상예측정보 생산 기술
나. 기상-수문 연계해석 기술
다. 한반도 및 동아시아 영역 가뭄정보 생산 기술
라. 가뭄전망정보 정확도 향상 기술
마. 실시간 가뭄조기경보시스템 개발
3) 호우, 홍수
(1) 도시홍수의 증가 
가. 지구온난화와 도시홍수의 증가
나. 호우 예·경보 기준과 도시홍수방어 실패 
(2) 방재측면의 홍수 및 환경관련 시스템
가. 국내사례
A) 국민안전처 - 국가 재난관리 시스템(NDMS)
B) 환경부 - 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
C) 한국형 실시간 홍수예측정보시스템(K-AHPS)
D) 한국형 돌발홍수예보시스템(K-FFG)
E) 지자체 홍수정보관리시스템
나. 국외사례
A) 일본의 NOWPHAS
B) 미국의 HAZUS-MH
C) 미국의 NWIS
(3) 도시홍수 관리분야 기술동향
가. ICT활용 - 스마트빅보드
나. 레이더를 이용한 홍수관리 기술동향
A) 미국립해양기상청 산하 수문기상 연구팀(NOAA HMT)
B) 일본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도시홍수감시시스템
C) 미국 CASA-ERC
다. X-밴드 이중편파 소형레이더에 의한 관측 및 해석
A) 3.2 KICT X-밴드 이중편파 소형레이더 설치
B) KICT 수문레이더의 이중편파 관측 변수
C) KICT 수문레이더 기반 홍수 재해 관리 연구
라. KICT 수문레이더의 운영 및 관측사례
A) KICT 수문레이더 운영
B) KICT 수문레이더를 이용한 호우 관측
C) KICT 수문레이더 웹 모바일 시스템
마. 홍수관리를 위한 위성자료 활용사례
(4) 도시홍수 지상·지하공간 통합침수해석모형 기술동향
가. 지상·지하공간 통합침수예측모형의 구성
A) 지표수 거동 모형
B) 우수관망 거동 모형
C) 지하공간 침수거동 모형
나. UFAM 특장점과 개발동향
A) 글로벌 최첨단 모형
B) 다양한 도시유출 영향 요소 반영
C) 강우의 평면적 분포 입력을 고려
D) 우리나라 도시 홍수침수특성 구현
E) 실시간 예경보시스템의 실시간성이 고려된 모형
(5)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홍수피해 모니터링기술과 피해분석을 위한 침수해석모델
가.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홍수피해 모니터링
나. 피해분석을 위한 침수해석모델 
제 3장 지진 재해 대응 기술동향과 대형복합재난 사례분석
1. 지진 재해 대응방안과 내진기술 동향
1) 지진의 특성
2) 국내지진 발생현황
(1) 한반도 지진발생 환경 
(2) 경주지진(9.12 지진) 진원 특성 
(3) 경주지진(9.12 지진) 부지효과 파악
(4) 향후 추진 방향
3) 국외지진 발생현황
4) 지진지역의 산지토사재해 및 사방시설 피해 특성 
(1) 지진지역의 산지토사재해 특성
(2) 지진지역의 사방시설 피해 특성
(3) 지진지역의 사방대책
가. 산지토사재해 위험도 예측
나. 유역관리를 위한 토사수지도 작성
다. 지진사방의 효율적 실시 및 새로운 재해형태별 대응
라. 사방관련 정보 제공 및 피난대책
마. 구체적인 지진사방 기술지침 수립
(4) 국내 경주 지진발생 전후의 산사태 취약지역 현황조사
가. 조사지역 
나. 조사결과
5) 국내 내진기술 현황 및 전망
(1) 국내 내진설계 법적기준
(2) 공학적 설계기준
(3) 국내 건축물 내진현황
(4) 내진설계 개념
(5) 내진설계 기술 및 목표
가. 주요 내진설계기술
나. 국내 건축물의 내진성능
(6) 내진기술 현황 및 건설시장 동향
가. 내진설계
나. 내진보강
다. 면진장치
A) 면진장치의 종류
B) 국내업체 현황
C) 국내동향
D) 해외동향
라. 제진장치
A) 종류
B) 국내업체 현황
C) 국내동향
D) 해외동향
(7) 국내 초고층 내진설계 사례(롯데월드 타워)
가. 개요
나. 내진설계 내용
6) 국내 기존 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정책 방향
(1) 기존 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정부 대책 및 한계
가. 건축물 및 시설물의 내진 성능 실태
A) 공공 시설물
B) 민간 건축물
나. 내진설계 적용 대상의 변천 과정 및 개선 사항
다. 공공 건축물의 내진 보강 관련 제도 및 운용 실태
라. 민간 건축물의 내진 보강 관련 정부 대책 및 한계
(2) 기존 건축물의 내진 보강 기술 동향
가. 내진 개수 공법의 개요
나. 내진 보강 공법의 종류 및 사례
A) 철근콘크리트(RC) 내진벽
B) 날개벽 또는 버트레스(buttress) 증설
C) 철골브레이스(brace) 설치
D) 기둥 보강
E) 구조 슬릿(slit)의 설치
F) 내진 보강 공법의 선택
다. 제진 보강 및 면진 보강
(3) 일본의 내진 보강을 위한 지원 정책 사례 검토
가. 「내진개수촉진법」의 제정 및 개정
나. 내진 진단
다. 내진 개수 촉진을 위한 지원 제도
A) 내진 진단, 내진 개수에 대한 보조금 제도
B) 세제 혜택
C) 대출 제도
D) 행정 지원 제도
(4) 기존 건축물의 내진 보강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향
가. 기본 정책 방향
나. 세부 정책 대안
A) 공공 건축물과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내진 보강 의무 강화
B) 중소 규모 주택의 내진 성능 확보
C) 재난관리기금 등의 활용
D) 민간의 내진 성능 보강 사업에 대한 자금 등 행정 지원
E) 세제 혜택 등을 통한 내진 성능 보강 사업의 유도
F) 노후 건축물의 경우 재건축을 통한 내진 성능 확보 촉진
7) 국내 대형지진 발생가능성 분석
(1) 전 세계 지진발생 추이
(2) 국내 대형지진 발생가능성 분석
가. 우리나라 역사지진
나. 우리나라 계기지진
(3) 대형지진 발생시 건축물 피해액
8) 보험을 통한 지진 리스크 관리 방안
(1) 한국의 지진보험 시장
(2) 외국의 지진보험 관련 제도
9) 경주지진을 통해 본 재난방송의 현황
(1) 재난방송의 현황
가. 재난방송 관련 법률
나. 재난방송의 실시
(2) 재난방송의 평가 및 개선방향
가. 재난방송에 대한 평가
나. 재난방송의 개선과제
2. 대형복합재난 사례분석과 시사점
1) 개요
2) 대형복합재난의 의미와 범위
3) 주요 대형복합재난 사례
(1) 미국 허리케인 카트리나
가. 발생경과 및 피해상황
나. 정부의 재난대응과 평가
다. 재난 후 개선사항
(2)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가. 재난발생 경과 및 피해상황
나. 정부대응 현황 및 평가
다. 재난 후 개선사항
(3) 국내 2011년 7월 국내 중부지방 집중호우
(4) 대형복합재난 사례에 대한 시사점 
4) Natech 위험관리의 국제동향
(1) Natech의 개념 및 특징
(2) Natech 위험의 주요 연구 
(3) Natech 위험의 국제동향
(4) Natech 위험관리의 향후과제
제 4장 사회재난형 동물·사람 감염질환 현황 및 방역정책
1. 재난형 동물감염병의 증가 
1) 개요 
2) AI(조류인플루엔자) 및 구제역의 발병 현황 및 특징
(1) AI, 구제역 발병 지속으로 가축질병에 의한 피해규모 확대
(2) 2013년 이후 AI, 구제역 발병에 따른 세계 살처분 규모, 한국 최대
(3) AI, 구제역 모두 사람, 차량, 분변 등을 매개로 한 전파가 주요 원인
(4) 철새, 빈번한 국제교류 등으로 AI, 구제역 등 상시 발병 가능성 확대
(5) 공장식 축산, 밀집사육 등으로 가축질병이 급속히 인근지역으로 확산
3) AI 및 구제역 방역체계의 문제점
(1) 현행 4단계 방역시스템이 국내 축산업 현황에 맞지 않을 가능성 내재
(2) 매몰지 미확보, 살처분 및 매몰 인력 부족 등으로 매몰 지연 문제 발생
(3) 농가의 농장을 중심으로 한 자체 방역 미흡에 대한 논란 확대
(4) 주요 거점지역에 설치된 차단방역 위주의 방역은 한계성 노출
(5) 살처분 중심의 AI 방역정책의 한계로 인한 백신 도입 필요성 제기
(6) 구제역 백신 정책의 허점 노출
4) AI 및 구제역의 방역체계 개선 방안
(1) “도” 혹은 “거점지역”단위의 강력한 초동대응체계 구축 필요
(2) 농장 중심의 강력한 차단방역 강화
(3) 가축질병 조기신고 강화 및 가축의 적정사육규모 유지 방안 모색 필요
(4) AI 백신 사용은 신중한 접근 필요
(5) 구제역 백신 정책의 근원적 전환 필요
2. 구제역 질병 발생현황과 방역체계 개선방향 
1) 구제역 질병의 개요
(1) 구제역 정의와 질병 특성
가. 구제역 정의
나. 바이러스 특성과 전파경로
다. 주요 임상증상
A) 소
B) 돼지
C) 양과 염소
라. 구제역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2) 가축전염병의 인체 영향
가. 인수공통전염병의 개념과 종류
나. 구제역의 인체감염 가능성
2) 연도별 구제역 발생현황과 사례 
(1) 국내
가. 2010년 구제역 발생 동향
A) 상반기 
B) 하반기 
나. 2014∼2015년 구제역 발생 경과
A) 지역별 구제역 백신 항체형성률
B) 부분 살처분 농장에서 지속적인 바이러스 배출
C) 신고기피·신고지연으로 인한 농장 내·외부 환경에 바이러스 만연
D)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바이러스 활성
다. 2016년 구제역 확산 경과
라. 2017년 구제역 발생 현황
A) 11개월 만에 구제역 발생
B) 구제역 발생에 따른 방역조치 사항
(2) 국외 
3) 국내 구제역 발생 방역조치
(1) 주요 방역조치 비교
(2) 구제역 종식(청정국 회복) 선언 비교
(3) 구제역 발생농장의 방역 사항
가. 구제역 백신 접종
나. 소독 관련 사항
A) 소독실시기록부 비치 및 기록 유지 여부
B) 축사 내·외부 및 주변 소독 실시 현황
C) 차량 및 운전자 소독
D) 방역용품 관련 사항
(4) 2017년 구제역 방역 추진상의 문제점
가. 정부와 농가의 차단 방역 미비
A) 최초 구제역 유입 차단 미흡
나. 구제역 백신 수급 및 접종 문제 발생
A) 2011년부터 살처분 정책에서 백신 접종 정책으로 전환
B) 구제역 백신 수급의 문제점
C) 구제역 백신 접종 및 접종 관리 소홀로 항체형성률 저조
D) 외국의 구제역 백신 정책 사례
4) 해외 구제역 방역정책 현황
(1) 영국
가. 구제역 방역 추진 체계
나. 구제역 발생 대비 사전 준비
A) 인적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B) 구제역 방제에 필요한 물품, 장비 적시 조달체계 마련
C) 구제역 발생 시 대응
다. 보상금 등 농가지원정책
라. 영국 방역체계의 시사점
A) 체계적인 방역 시스템
B) 살처분 정책과 백신 접종의 균형
(2) 네덜란드 
가. 네덜란드 경제농업혁신부(EL&I)
나. 네덜란드 축산·수의 조직
다. 네덜란드 질병 방역 정책
A) 질병 발생 시 연락체계
B) 질병 통제 세부정책
C) 네덜란드의 구역화
D) 네덜란드의 스탠드스틸(Standstill)
(3) 미국 
가. 구제역 방역체계
나. 방역지대 설정 및 해제
다. 살처분 범위 및 폐기방법
라. 보상금 등 농가지원정책
마. 미국 구제역 방역체계의 시사점
(4) 중국
가. 구제역 방역 추진 체계
나. 방역 관련 조직체계
A) 동물방역업무의 조직적인 체계
B) 구제역 방역 긴급 지휘체계와 부처 간 분업
C) 농업부 주요 동물전염병 방역 거점 연계제도
다. 방역예산 체계
A) 필수면역지원
B) 강제 살처분 보조금 지원
C) 지역사회 동물방역업무 경비지원
D) 농장에 대한 살처분 지원
라. 동물 이동제한과 차단방역조치
A) 동물 이동제한조치 시행 조건
B) 동물 이동제한조치 해제 조건
C) 통제 농장의 제한조치
마. 피해농장 보상기준과 방법
바. 중국 구제역 방역체계의 문제점과 시사점
A) 낮은 살처분 보상금과 보상금 수령의 어려움
B) 필수접종 백신의 통합적인 조달 미흡
C) 수의 분야 인력풀 관리 법규 부재
D) 농장주의 책임의식 부재
E) 촌급 방역원 대우와 전문 자질 논란
F) 지역사회 백신 접종 냉장시설 혹은 냉장환경 규정 미달
(5) 대만
가. 구제역 방역체계
A) 구제역 박멸방안의 출범
B) 구제역 박멸방안의 정책목표 및 기대효과
C) 구제역 박멸방안의 단계별 계획
나. 구제역 감시 프로그램
다. 구제역 차단 방역
라. 피해농장에 대한 보상
마. 대만의 구제역 방역에 대한 시사점
A) 백신 접종을 위한 농가 규제
B) 백신 및 동물의약품 보조금 지원
(6) 일본 
가. 구제역 방역 추진 체계
나. 구제역 방역 연습
다. 살처분 및 살처분 보상
A) 살처분
B) 보상금
라. 일본 구제역 방역체계의 시사점
A)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대비
B) 효율적인 방역 조직체계
(7) 덴마크
가. 덴마크 농축산업의 특징
나. 덴마크 방역 조직
다. 덴마크 주요가축전염병 발생 현황
라. 덴마크 가축방역 정책
(8) 칠레 
5) 주요국 구제역 백신정책
(1) 한국 
(2) 영국
가. 백신정책
나. 백신 공급
다. 백신 접종 및 통제
A) 구제역 백신 접종
B) 백신 접종 이후의 통제
라. 영국 백신정책의 시사점
(3) 네덜란드
가. 구제역 예방접종 정책
나. 백신은행 운영
(4) 미국
가. 백신정책
나. 국립항원백신은행 운영
(5) 중국 
가. 백신 종류
나. 백신 선정
다. 백신 수급
A) 중국 국내 현황
B) 수입 현황
C) 수요 
라. 백신 접종
A) 구제역 백신주사
B) 백신 종류와 횟수
C) 백신 접종 부위
마. 백신 접종관리
A) 접종 모니터링
B) 백신효과 평가
바. 백신 접종비용
(6) 대만
가. 백신정책
나. 백신 수급
다. 백신 검증
라. 백신 접종
마. 백신 지원 및 접종 관리
(7) 태국 
(8) 일본
가. 백신정책
나. 백신 접종
(9) 구제역 백신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교육
6) 구제역으로 인한 사람 및 축산식품의 안전성
(1) 구제역이 사람이 감염될 위험은 거의 없는가
(2)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으면 소·돼지를 접촉해도 되는가
(3) 우유나 쇠고기, 돼지고기는 안전한가
(4) 살처분만이 해결 방법인가
(5) 구제역 발병으로 육류와 우유 공급의 유통 가능성 
3.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과 방역체계 개선방안
1) HPAI의 개요
(1) AI의 정의
(2) 바이러스의 특성
(3) 전파 방법
(4) 주요 임상 증상
2) 국내외 AI 발생현황 
(1) 국내
가. 과거 AI 발생 현황
A) 발생상황
B) 국내 유입 및 감염경로
나. 2016/ 2017년 AI 발생 현황
(2) 국외 
3) 선진가축방역체계 
(1) 네덜란드 조류인플루엔자 방역대책
(2) 덴마크 조류인플루엔자 질병관리 정책 
(3) 일본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체계
가. HPAI(AI) 방역 총괄부서
나. 감염증법의 주요 내용
다. 중앙정부 부처 공동명의 AI 만연 대책 내용
A) AI 발생 전 방역조치
B) 양계 사업자·관련 사업자 대책
C)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대응
라. AI 방역 관련 농가 및 지역별 지침
A) 야생 조류 예찰 관련 지침
B) 농장방역 관련 지침
C) 방역 관련 주요 내용
마. AI 방역 관련 연구와 국제 공조
(4) 한국
가. 중앙정부 AI 방역 추진 체계
나. 방역 위기단계
다. 대표적 방역 조치 사항 
4) 국내 AI해결 주요쟁점과 방역 정책 개선 방향
(1) 근본적 해결을 위한 주요 쟁점
가. 살처분 방식의 적절성
나. 철새에 의한 AI 전파
다. 백신 접종
라. 연구개발(R&D)를 통한 해결 방안
(2) AI 방역 정책 개선 방향
가. AI 발생 전 예방 체계 강화
A) 농장차단방역기준 마련 및 준수
B) 소독제 관리 및 R&D 강화
C) 철새 대응 체계 정비
D) AI 조기 발견을 위한 예찰 체계 정비
E) 가금산물 유통 체계 개선
나. AI 발생 시 대응 강화
A) AI 검사 기관 확대 및 질병 신고 기준 강화
B) AI 대응 체계 정비
C) 사전 준비를 통한 신속하고 강력한 방역 조치 실시
다. AI 고위험 지역에 대한 방역 관리 강화
A) 방역 추진에 한계가 있는 농가의 축사 이전 추진
B) 중점방역관리지구의 방역 기준 및 신규 허가 기준 강화
C) 가축 재입식 기준 강화를 통한 방역 소홀 농장 관리 강화
D) 가금 사육 겨울철 휴지기제(가칭) 도입 검토
라. 방역 주체의 책임 강화
A) 살처분 보상금과 방역 비용 분담을 위한 가축방역기금 도입 검토
B) 살처분 보상금 감액 기준 조정을 통한 방역 의식 고취
C) 계열업체의 책임 강화
마. 방역 조직 및 업무 체계 개선
A) 중앙 방역 정책 기능 수행 조직 개편(안)
B)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방역기능 및 역할 확대
C)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조직 재편
D) 지방 방역 조직 강화
4. 국내외 고위험 감염질환 연구 및 대응동향
1) 개요
2) 최근 감염병 위기상황에 대한 국제적 대응 체계와 현황 
(1) 세계보건기구
가. 주요 정책적 대응 및 활동
A) 감염병 R&D 개혁: 「WHO R&D Blueprint」
B)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개혁: 「Emergencies Response Reform」
나. 주요국제기구와의 상호협력 및 전략적 연계
(2) 미국 
가. 미국의 감염병 정책 대응 경과
A) 미국 정부
B) 미국 CDC, 국립보건원(NIH), 및 민간부문의 움직임
나. 질병통제관리본부의 전략 및 조직
A) 미국 CDC의 감염병 대응 전략 및 조직 신설
B) 미국 CDC 내 감염병 담당 주요 조직 및 역할
(3) 유럽 
가. 유럽연합 질병통제관리센터 개요
나. 감염병 전략 및 정책 현황
A) Framework Programme(FP)
B) ECDC의 자체 중장기 전략 발표 
다. 감시 시스템 
(4) 한국 
가. 주요 정책적 대응
A) 특정 감염병에 대한 연구개발 정책수립
B) 대상 감염병 분야의 확대와 연구개발-방역체계의 연계
나. 한국의 감염병 연구개발 현황
(5) 일본 
(6) 캐나다
(7) 쿠바, 스리랑카
(8) 중국
(9) 베트남 
(10) 페루
3) 고위험 감염질환 최신 연구정보 동향
(1) 고위험 감염질환 최신 연구정보 수집 및 해외유입 가능성이 높은 감염성 질환에 대한
   연구네트워크 구축
가. 배경 및 필요성
나. 사업 목표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가. 신변종 감염질환 국제 연구네트워크(GloPID-R)
나. 신변종 감염질환 국내 연구네트워크- 글로벌감염병센터
다. 한국감염병국제협력연구소(KOICID)
라. 고위험성 해외유입 가능성이 높은 감염질환에 대한 국내 감시시스템 현황
마. 고위험성 해외유입 가능성이 높은 감염질환에 대한 국내 주도의 연구네트워크 현황
(3) 사업의 내용 및 범위
가.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연구네트워크
나. 모기매개 감염질환 연구네트워크
다. 국제적 연구공조
라. 고위험성 해외유입 가능성이 높은 감염질환의 발생현황 조사
(4) 정보조사 결과 
가. 제1회 한국감염병국제협력연구소(KOICID) 정례회의
나. 베트남 National Institute of Hygiene and Epidemiology(NIHE)
다. 태국 Chiang Mai University
라. 라오스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마. 피지 Centre for Communicable Disease Control(CDC)
바. International Meeting on Emerging Diseases and Surveillance (IMED)
사.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부(WPRO)
아. 필리핀 Research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RITM)
자. 중국
A) Wuhan University State Key Laboratory of Virology(SKLV)
B) Wuhan Institute of Virology
C) Institute Pasteur of Shanghai
D) Fudan University Key Laboratory of Medical Molecular Virology
차. BIOLATAM, 3rd Annual International Partnering Conference
카. 푸에르토리코 University of Puerto Rico School of Medicine
타. 일본 National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NIID)
파. 브라질 Brazil Oswaldo Cruz Foundation – Fiocruz
하. 과테말라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5) 주요 신변종 감염질환의 전 세계 발생현황
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Jika virus infection)
나.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다.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증(Ebola virus infection)
라. 황열(Yellow fever)
마. 뎅기열(Dengue fever)
바. 말라리아(Malaria)
(6) 네트워크 구축 국내 파급효과 및 애로사항
가. 국내 파급효과
나. 신변종 감염질환 연구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애로사항
다. 신변종 감염질환 연구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가적 지원프로그램
제 5장 분야별 재난재해기술 R&D동향
  -ICT/로봇/드론/공간정보/IoT/빅데이터-
1. ICT 융합형 재난안전 R&D 동향 
1) 재난환경의 변화와 ICT의 역할
(1) 재난환경 변화
(2) ICT의 역할과 사례
2) 재난안전 R&D 기술의 정의 
3) 국내외 정책동향 
(1) 미국 
(2) 일본
(3) 유럽
(4) 한국 
4) 국내 R&D 투자현황
5) 재난안전 기술수준 평가 및 분석
(1) 재난안전 기술의 국가별/기술별 기술 수준 분석
가. 우리나라의 재난안전 분야 기술 수준 분석
나. 국가별 재난안전 기술 수준 분석
(2)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 분석
(3) 기술격차 요인 및 투자 우선영역 분석
가. 기술격차 발생 요인
나. 우선추진 핵심역량
다.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항목 중요도 결정
(4) 기술격차별 요소기술, 필요 정책 도출 등 제언
6) 특허분석
(1) 기술 수준 측정을 위한 특허, 논문지표 변수 도출
가. 특허 변수(출원 건수, 피인용수) 도출
나. 논문 변수 도출(출원 건수, 피인용수) 도출
(2) 논문 수준 및 특허 질적 수준 등 정량적 분석
가. 특허 수준 정량적 분석
나. 논문 수준 정량적 분석
(3) GDP대비 논문 수준 및 특허 질적 수준 정량적 분석
가. GDP대비 논문 분석
나. GDP대비 특허 분석
(4) 기술경쟁력 정량분석 총론
가. 논문분석
나. 특허분석
7) 발전방향 
(1) 기술개발 성과 극대화
(2) 정부-민간 역할분담 명확화
(3) 부처 간 연계 강화
(4) 체계적 관리 방안 마련
2. 재난로봇의 활용사례와 기술동향
1) 정의 및 범위
(1) 지능형 로봇
(2) 재난로봇
2) 국내외 로봇시장 전망 및 투자현황
(1) 시장전망
가. 해외
나. 국내
(2) 투자현황
가. 해외
나. 국내
3) 활용사례
(1) 후쿠시마 원전사고
(2) 세월호 침몰
가. 원격수중탐색로봇, ROV
나. 크랩스터 
다. 하이브리드 타입의 로봇
4)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1) 국외 연구개발 동향
가. 감시·정찰 및 대테러용
나. 소방용
다. 인명탐색·구조 및 재난복구용
(2) 국내 연구개발 동향
가. 감시·정찰 및 대테러용
나. 소방용
다. 인명탐색·구조 및 재난복구용
5) 국내 특허동향
3.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한 재난분야 활용사례 및 기술동향
1) 드론의 개요 및 최근 기술동향 
(1) 드론에 대한 개요 
가. 드론의 용어변화 
나. 드론과 법률관계
다. 드론의 주요 기술
라. 드론의 구성요소
(2) 드론의 국내기술동향
2) 무인항공기 재난안전 운용현황
(1) 해외
가. 재해관측 및 시설안전
나. 인명구조
다. 실종자 탐색
(2) 국내
가. 무인항공기 전파법 이슈
나. 산림보호활동, 화재현장
다. 재난지역에 긴급 구호물자 보급
라. 재난구조용 무인항공기 도입
마. 지역 재난현장에 무인항공기 활용
바. 실종자 수색
사. 실종자 발견 및 구조
(3) 재난 및 안전을 위한 기술개발
3) 국내외 무인항공기 시장동향 
(1) 해외 무인항공기 시장
가. 시장규모 및 성장률
나. 재난안전(민간) 무인항공기 시장규모 및 성장률
(2) 국내 무인항공기 시장
가. 시장규모 및 성장률
나. 재난안전(민간) 무인기 시장
4) 드론을 이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및 환경감시 기술 현황 분석
(1) 드론을 이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기술 현황 분석
(2) 드론을 이용한 대기질 모니터링 기술 현황 분석
(3) 드론을 이용한 수질 모니터링 기술 현황 분석
가. 녹조 및 수질 
나. 다목적 댐 및 수중보 상시 모니터링 등
다. 위험 및 금지구역 상시 모니터링 등
4. 재해·재난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기술 동향
1) 공간정보 활용 패러다임 변화와 주요 사회안전망 구축 사례 
(1) 선진사례 분석 
(2) 국내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가. 개발배경 
나. 추진 과정
다. 정보개방을 통한 공간정보 활용성 강화
라. 건축·도시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 가능성
2) 지적자료를 활용한 재난관리 운영방안 연구 
(1) 지적과 재난관리
(2) 필지기반 재난관리 운영방안
가. 재난관리 조직의 운영방안
나. 재난관리 대상의 운영방안
다. 재난관리 지원의 운영방안
3) ICT 기술의 환경이슈 적용을 통한 환경공간정보 활용 예
(1)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 융합 기반 폭염대응 건강관리 시스템 운영
(2)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 융합 기반 지진 현황 및 대응정보 제공 서비스
4) 재난안전 분야 공간 빅데이터 활용현황 및 제언
(1) 국내외 재난안전 부문 공간 빅데이터 활용 현황
가. 국내
나. 국외
5. IoT 활용 재난관리 기술 및 플랫폼 구축동향
1) IoT 동향 분석 
(1) IoT 시장현황
(2) IoT 핵심기술
(3) IoT 플랫폼 개발 동향
(4) IoT 생태계 현황
가. 서비스
나. 플랫폼
다. 네트워크
라. 디바이스
마. 보안
2) IoT기반 3차원 재난현장정보 관리체계 구축 전략 수립
(1) 개요
(2) 재난분야의 IoT 적용 배경 및 목표
가. 재난분야 IoT 적용배경 및 필요성
A) 강력한 초동대응 시스템 구축 필요성 대두
B) 긴급한 재난상황에서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체계 구축 필요
나. 재난분야 IoT 적용 목표
다. 주요 적용 방안
(3) IoT를 활용한 재난사고 사례 개선 방안
가. 재난사고 사례
A)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2012.09.27.)
B) 사전관리 및 사후대응 문제점
나. IoT를 활용한 개선 방안
(4) IoT기반 재난현장데이터 플랫폼 단계별 구축 방안
(5) 재난시나리오 적용을 통한 재난상황 관리 기술 개발
가. 재난시나리오 상황별 재난상황 관리 IoT기술 적용
나. 재난시나리오 상황별 재난상활 관리 기술 개발
A) 재난발생 상황의 인지기술의 개발
B) 재난발생 상황의 인지를 통한 실시간 현장영상 확인
C) 재난발생 업체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확인
D) 재난안전사고 지역 재난정보 예측, 모니터링 및 상황전파
E) 유관기관 및 방재시설 피해정보 상황전파 및 실시간 영상정보 수집
F) 재난안전 사고지역 안전지역 대피경로 안내
3) 국내외 IoT 기술의 재난관리 사례
(1) 해외 IoT 기술의 재난관리 사례
(2) 국내 IoT 기술의 재난관리 사례
4) 스마트 디바이스의 방재산업 적용사례
5) 재난재해 플랫폼 기술개발 동향 
(1) 개요
(2) 재난콘텐츠 관리표준 수립 및 능동적 GIS표출 기술 개발
가. 재난콘텐츠 관리 표준 수립
나. GIS 능동적 표출 기능
A) 콘텐츠 표출을 위한 응용 서비스 인터페이스
B) 사용자 생성 공간정보 관리 /공유
C) 공간정보(Shape, KML) 데이터 공유
(3) 기상청 실시간 기상정보 연계 처리를 위한 기반 기술 개발
가. 대용량 기상정보 처리 인터페이스, 데이터 관리 기술
A) 기상정보 수집 모듈
B) 레이더 영상 수집 모듈
(4) 스마트빅보드 시스템 연계 콘텐츠 통합 관리 기술 개발
가. 센서 통합 관리
A) 센서 그룹 관리
B) 단일 센서 관리
C) 센서 통합 표출
나. CCTV 통합 관리
다. 다중 콘텐츠 메뉴 구성/즐겨찾기
6) 도시 재해 취약성 분석을 위한 지원 플랫폼 구축방안
(1) 재해 취약성 분석 제도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지원 플랫폼의 필요성
(2)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의 개념 및 효과
가.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의 개념
나.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의 효과
(3)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 기본구상
(4)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 구축방안
가.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의 필수 기능 구축방안
나. 재해 취약성 분석 지원 플랫폼 구축 로드맵
6.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상황 기술관리와 예측기술 분석
1) 빅데이터와 재난관리
2)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기술 
(1) 소셜빅보드(Social Big Board)
가. 일본의 SNS 활용 방재·감재 대책 고도화 
A) SNS 등을 활용한 일본의 사례
B) SNS를 활용한 방재·감재대책의 기능
C) SNS 활용에 대한 인식
나. 소셜미디어 분석기반 재난안전 감성모델 연구
A) 관련연구 및 재난 감성 모델링
B) 감성 모델링
C) 감성도 정량화 및 감성지수 개발
D) 감성지수의 활용 타당성 검토
(2) 스마트빅보드(Smart Big Board) 
(3)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역량강화 
3) 스마트셀 기반 모바일 빅데이터
(1) 개요 9
가. 스마트 셀 개념
나. 모바일 빅데이터 구축
(2) 스마트 셀기반 모바일 빅데이터 특성 및 한계
가. 특성
A) 특성 1: 적용가능 공간위계의 다양성 (공간적 고 해상도)
B) 특성 2: 정보 구축의 상시성 (시간적 고 해상도)
C) 특성 3: 거주인구에서 동적 활동인구로의 대체성
나. 한계
A) 한계 1: 야간시간대 적용
B) 한계 2: 지하, 해상재난 적용
C) 한계 3: 실시간 대응성
(3) 재난관련 모바일 빅데이터의 활용방향
가. 재난 위험의 결정요인
나. 모바일 빅데이터의 신뢰성 및 특성 검토
A) 모바일 빅데이터 적용사례 및 신뢰성
B) 기존 인구자료와 모바일 빅데이터의 활동인구와의 차별성
C) 육하원칙 하에서의 활용가능성
D) 모바일 빅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재난의 유형구분
E) 모바일 빅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재난의 유형구분
다. 재난분야 활용방향
A) 단계별 활용방향
B) 재난영향 변수별 활용방향
(4) 스마트 셀을 활용한 재난관리 사례분석
가. 종로구 정전 및 폭염사태
나. 대형 건물 재난 및 전염병 확산
다. 잠실종합운동장 대피로 계획
4)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재난예측 방법론
(1) 미래재난 연구의 필요성
(2) 외국의 미래재난 예측사례 
(3) 빅데이터와 전문가 집단지성을 활용한 미래재난예측 방법론
가. Weak Signal과 Wild Card
나. 빅데이터 기반 Weak Signal 탐색기술
다. 전문가 집단지성 기반 Wild Card Scenario 작성
제 6장 미세먼지 대응방안 및 환경기술개발 동향
1. 미세먼지 오염현황 및 배출원 분석
1) 개관 
(1) 정의 
(2) 미세먼지의 건강영향
(3) 미세먼지 배출원
(4) 대기오염의 배출원별 기여도 해석
2) 미세먼지 오염도 현황
2. 미세먼지 관리대책
1) 미세먼지 관리체계
(1) 우리나라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수립
가. 대책 수립 배경 및 특징
나. 비전 및 추진체계
다. 특별대책의 주요 내용
A) 국내 배출원의 집중 감축
B) 미세먼지와 CO2를 함께 줄이는 신산업 육성
C) 주변국과의 환경협력
D) 미세먼지 예・경보체계 혁신
(2) 우리나라 미세먼지 법적 관리체계
(3) 미국의 대기환경 관리체계
(4) 유럽연합의 대기환경 관리체계
2) 수송부문 미세먼지 관리대책
(1) 수송부문 미세먼지 배출계수 및 배출량 현황
가. 정부의 미세먼지 전망배출량 및 삭감 목표
나. 수도권의 수송부문 PM10 및 NOx 배출량 및 배출계수
(2) 미세먼지 목표 삭감량 및 농도 달성 가능성 저조
가. 수송부문 대책별 삭감량 추정 결과
나. 미세먼지 목표농도 모델링 결과
(3) 친환경자동차 보급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 미미
가. 친환경자동차 보급 대책의 실현가능성 미흡
나. 친환경자동차 보급의 미세먼지 저감효과 검토 필요
(4) 미세먼지 관리 대책과 온실가스 정책간의 충돌
3) 발전부문 미세먼지 관리대책
(1) 발전부문 미세먼지 배출 기여도 및 배출량 현황
(2) 노후 발전기 폐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 미미
(3) 가동 중인 발전기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설치 및 성능개선 필요
가. 가동 중인 화력발전설비의 미세먼지 배출량 비교
나. 미세먼지저감설비 미설치 발전기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과다
다. 미세먼지저감설비 설치를 위한 발전사 투자여력 및 전력수급상황 검토
라. 발전설비의 미세먼지 배출기준 및 측정설비 누락
(4) 발전원별 가동 우선순위 조정 필요
3.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기술 동향 
1) 미세먼지 관리 기술
(1) 필터
(2) 스크러버
(3) 전기집진기
2) 국내 연구개발 동향
(1) 국내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
가. 미세먼지 대응 중점기술 개발
나. 기술산업화 및 글로벌 협력 강화
다. 정부 R&D 중장기 투자방향
(2) 필터관련 기술
가. 하이필터(HI-FILTER) 시스템 
나. 무필터 제거장치
다. 도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필터 모듈
(3) 공기정화 기술  
가. 지하철 대용량 공기정화기술
나.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기술
(4) 흡입시스템 기술
가. 에어 블로어와 흡입기능을 가진 미세먼지 흡입시스템
나. 고효율 흡입시스템 설계
다. 흡입모듈 해석결과
(5) 자동차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가. 국내동향 
나. 선진국대비 기술수준
A) 핵심 부품 기술
B) 시스템 기술
다. 주요이슈 및 기술개발 방향
A)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촉매 및 최적코팅 기술 개발
B) 대형엔진에서의 PM·NOx 저감 시스템 구현
(6) 센서관련 기술
가. 사물인터넷 기반 초미세먼지(PM2.5) 측정 장치
A) IoT 초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의 구성
B) 초미세먼지 센서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
C) 초미세먼지 측정결과
D) PSD의 보정
E) 습도의 영향
나. 먼지센서 기술동향 
(7) 인공위성을 활용한 초미세먼지 대응기술 
가. 인공위성 관측 예측
나. 초미세먼지와 황사와의 관계 및 인공위성을 통한 예측
3) 해외 연구개발 동향
(1) 주요국 연구개발 
가. 중국 난징시 
나. 독일 베를린
다. 미국
라. 유럽 
마. 일본
(2) 주요 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자동차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나. 대기오염 관리 분야 주요 해외기업 현황
A) Babcock & Wilcoxys
B) Alstom
C) Mitsubushi
D) Siemens
다. 배연탈황/탈질
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 기술
마.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
(3) 먼지센서 연구동향
4) 대기오염 방지설비 주요동향 
(1) 범위 
가. 유해가스 제거 기술 분류
A) 흡수법
B) 흡착법
C) 연소법
D)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저감기술 분류
(2) 산업의 구조
(3) 경쟁환경
(4) 시장환경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5)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출원인 분석
라. 국내 출원인 동향
5) 실내 초미세먼지 필터 기술 개발 동향 및 향후 전망
(1) 실내 공기 오염 물질 및 발생원
(2) 실내 공기 필터 기술 동향
(3) 결론

 

통계(도표)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