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구매: http://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H00&goods_idx=25306
제조사: KIB케이아이비
규격: 432쪽 (A4)
ISBN: 979-11-88593-32-3 (93550)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Ⅰ. 3D 프린터 관련 시장과 기술 동향
1. 3D 프린터
1-1. 3D 프린터 분석
1) 정의
2) 범위 및 분류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5) 기술정책 분석
1-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1) 해외기술동향
(2) 국내기술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 기술개발 로드맵
2. 주요국 3D 프린팅 산업 지원정책 동향
2-1. 서론
2-2. 미국
2-3. 독일
2-4. 중국
2-5. 일본
Ⅱ. 3D 프린팅 기술 시장 현황 분석
1.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1-1.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분석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기술환경 분석
1-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기술로드맵
2. 3D 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2-1. 3D 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분석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기술환경 분석
2-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 기술개발 로드맵
3. 의료영상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 SW
3-1. 의료영상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 SW 분석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기술환경 분석
3-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기술개발 로드맵
4. 3D 프린트용 고분자 소재
4-1. 3D 프린트용 고분자 소재 분석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기술환경 분석
4-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 기술개발 로드맵
5. 3D 프린트용 금속 분말소재
5-1. 3D 프린트용 금속 분말소재 분석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기술환경 분석
5-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 기술개발 로드맵
6. Binder Jetting 3D 프린터
6-1. Binder Jetting 3D 프린터 분석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3) 외부환경분석
4)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기술환경 분석
6-2.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주요 기술개발 로드맵
7. 특허 현황
7-1.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7-2. 3D 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7-3. 의료영상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 SW
7-4. 3D 프린트용 고분자소재
7-5. 3D 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7-6. Binder Jetting 3D 프린터
Ⅲ. 3D 프린팅 기술 활용
1. 3D 프린팅 기반 의료 및 바이오 기술
1-1. 서론
1-2. 기술 정의 및 범위
1-3. 기술 동향
1-4. 산업 동향
1-5. 정책 동향
1-6. R&D 투자 동향
1-7. 결론
2. 이외의 3D 프린팅 활용사례
2-1. 자동차분야
2-2. 항공·우주분야
2-3. 기타분야
2-4. 분석 및 시사점
3.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
3-1. ‘2019년 3D 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1) 추진 배경
2) 2018년 주요 성과
3) 2019년 추진 계획
3-2. ‘2018년 3D 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1) 추진 배경
2) 2017년 주요 성과
3) 2018년 추진 계획
3-3. ‘2017년 3D 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1) 이전의 주요 성과
2) 2017년 추진 계획
4. 3D 프린팅 제조 공정(장비/공정)
4-1. 3D 공정기술의 정의
4-2. 금속 3D 프린팅 주요 공정별 특징 및 주요 공정인자
4-3. 공정기술의 영향
표목차
Ⅰ. 3D 프린터 관련 시장과 기술 동향
<표1-1> 3D 적층제조 시스템 공급망 관점의 범위
<표1-2> 3D 적층제조 시스템 제품분류 관점의 범위
<표1-3> 국내 3D 프린팅 생태계 현황
<표1-4>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1-5> 3D 프린팅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1-6> 국내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규모
<표1-7> 주요국 3D 프린팅 정책동향
<표1-8>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표1-9> 삼차원프린팅법령 체계
<표1-10> 3D 프린팅 제조시스템 기술 분야 주요 연구인력 현황
<표1-11> 첨단 제조업 혁신 연구소(MII) 설립 현황
<표1-12> 중국 적층 제조 산업발전 행동전략의 주요 내용
Ⅱ. 3D 프린팅 기술 시장 현황 분석
<표2-1> 적층제조 기술의 의료분야 활용사례
<표2-2>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표2-3> 개인 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분야 산업구조
<표2-4>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2-5> 글로벌 의료 3D 프린팅 시장 규모 및 전망
<표2-6> 프린팅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2-7> 국내 의료 3D 프린팅 시장 규모
<표2-8> 적층제조 주요기업
<표2-9> 적층제조 의료기기 국내개발 사례
<표2-10>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표2-11>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관련 이전 기술
<표2-12>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기술개발 방향
<표2-13>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분야 요소기술 도출
<표2-14>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분야 핵심요소기술
<표2-15>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표2-16>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표2-17>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2-18> 3D 프린팅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2-19> 국내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규모
<표2-20>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표2-21> 3D 모델의 저작 및 편집 기술 소프트웨어 분야의
주요 해외기업
<표2-22> 3D 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분야 요소기술 도출
<표2-23> 3D 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분야 핵심요소기술
<표2-24>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표2-25>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표2-26>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2-27> 3D 프린팅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2-28> 국내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규모
<표2-29>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게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표2-30> 3D 모델의 저작 및 편집 기술 소프트웨어 분야의
주요 해외기업
<표2-31> 의료영상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
SW 분야 요소기술 도출
<표2-32> 의료영상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
SW 분야 핵심요소기술
<표2-33> 3D 프린트용 고분자소재 분야 산업구조
<표2-34> 소재별 해외 기업 및 국내 기업
<표2-35> 3D 프린팅 분야별 활용 비중 및 사례
<표2-36>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2-37> 3D 프린팅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2-38> 국내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규모
<표2-39>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표2-40> 3D 프린팅 소재의 개발 동향
<표2-41> 3D 프린팅용 고분자소재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표2-42> 3D 프린팅용 고분자소재 관련 이전 기술
<표2-43> 3D 프린팅 폴리머 소재
<표2-44> 3D 프린팅용 고분자소재 분야 요소기술 도출
<표2-45> 3D 프린팅용 고분자소재 분야 핵심요소기술
<표2-46>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2-47> 금속분말 시장 예측
<표2-48> 3D 프린팅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2-49> 국내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규모
<표2-50>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표2-51> 금속분말 주요 해외 제조업체
<표2-52> 금속분말 주요 제조업체
<표2-53> 3D 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표2-54> 3D 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관련 이전 기술
<표2-55> 3D 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분야 요소기술 도출
<표2-56> 3D 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분야 핵심요소기술
<표2-57> 3D 적층제조 시스템 제품분류 관점의 범위
<표2-58> 3D 적층제조 시스템 공급망 관점의 범위
<표2-59> Binder Jetting 3D 프린터 분야 산업구조
<표2-60> 3D 프린팅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표2-61> 3D 프린팅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표2-62> 국내 3D 프린팅 분야별 시장 규모
<표2-63>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표2-64> Binder Jetting 3D 프린터 관련 기술개발 동향
<표2-65> 국내외 중요 기업 동향
<표2-66> Binder Jetting 3D 프린터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표2-67> Binder Jetting 3D 프린터 관련 이전 기술
<표2-68> Binder Jetting 3D 프린터 분야 요소기술 도출
<표2-69> Binder Jetting 3D 프린터 분야 핵심요소기술
Ⅲ. 3D 프린팅 기술 활용
<표3-1> 기술 분류 체계 및 예시
<표3-2>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인공장기 및 신체조직
<표3-3>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순환기 대표 사례
<표3-4>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소화기 대표 사례
<표3-5>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호흡기 대표 사례
<표3-6>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근육/피부 대표 사례
<표3-7>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신경계 대표 사례
<표3-8> 의료용 프린팅으로 제작된 치과보철물 및 인공지지체
<표3-9> 의료용 프린팅으로 제작된 치과보철물 대표 사례
<표3-10> 의료용프린팅으로 기반 인공지지체 대표 사례
<표3-11> 3D 프린팅 의료기기 주요 고분자 소재
<표3-12> 3D 프린팅 의료기기 주요 금속 소재
<표3-13> 글로벌 3D 프린팅 시장
<표3-14> 글로벌 의료·치과 3D 프린팅 시장
<표3-15> 의료·바이오프린팅 해외 주요 기업
<표3-16> 국내 주요 프린팅 의료기기 허가 사례
<표3-17> 의료·바이오프린팅 국내 주요 기업
<표3-18> 미국 의료기기 허가 절차
<표3-19> MDD 주문제작기기의 정의
<표3-20> 식약처 3D 프린팅 의료기기 및 의약품 가이드라인
<표3-21> 의료·바이오기술 분야 부처별 정부 R&D 투자현황
<표3-22> 의료·바이오기술 분야 연구수행
주체별 정부 R&D 투자현황
<표3-23> 의료·바이오기술 분야 연구개발 단계별
정부 R&D 투자현황
<표3-24> 의료·바이오기술 분야 협력 유형별
정부 R&D 투자현황
<표3-25> 의료·바이오기술 분야별 정부 R&D 투자현황
<표3-26> 3D 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정책과제
그림목차
Ⅰ. 3D 프린터 관련 시장과 기술 동향
<그림1-1> 3D 프린팅의 개념 및 프로세스
<그림1-2> 3D 프린팅 국가별 시장 점유율
<그림1-3>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별 협업 현황
<그림1-4>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별 핵심사업
<그림1-5> 지역별 K-ICT 디바이스랩
<그림1-6> 3D 프린팅 기술개발 시나리오
<그림1-7> Mobility goes Additive 멤버사
Ⅱ. 3D 프린팅 기술 시장 현황 분석
<그림2-1> 전세계 시가 총액 TOP10 기업 중 플랫폼 기업 비중 현화
<그림2-2> 적층제조기술 활용 의족 및 의수 제작 사례
<그림2-3> 적층제조기술 활용 전자 의수 제작 사례-1
<그림2-4> 적층제조기술 활용 전자 의수 제작 사례-2
<그림2-5> 2016년 세계 맞춤형 치료물 시장규모
<그림2-6> Soft Exosuit : 골격없이 재활 및 보조에 필요한 힘을
전달해주는 새로운 매커니즘
<그림2-7> 개인맞춤형 3D 프린팅 의료기기 전략 캔버스
<그림2-8> 3D 프린팅 기술 적용 도메인
<그림2-9> 세계 3D 프린팅 시장 규모 및 전망(2014-2020)
<그림2-10> 3D 출력 데이터 기반 응용 SW 전략 캔버스
<그림2-11> 세계 3D 프린팅 분야 시장 규모 및 전망(2014-2020)
<그림2-12> 의료영상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클라우드 시스템 SW
전략 캔버스
<그림2-13> 사출성형과 3D 프린팅 기술의 가격구조 비교
<그림2-14> 인공조직의 제작 과정
<그림2-15> 사출성형과 3D 프린팅 기술의 가격구조 및 비교
<그림2-16> 3D 프린트용 금속분말소재 전략 캔버스
Ⅲ. 3D 프린팅 기술 활용
<그림3-1> 기술의 범위 도식화
<그림3-2> 다양한 바이오프린팅 기법1
<그림3-3> 다양한 바이오프린팅 기법2
<그림3-4> 3D 프린팅 의료기기 제작 및 적용 프로세스
<그림3-5> 3D 프린팅 의료기기 시생산 및 임상 실증 지원체계
<그림3-6> 포르쉐의 클래식 모델에 대한 예비용 교체부품
<그림3-7>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자동차 제작 시도
<그림3-8> 슈퍼카에 적용되는 고기능성 경량부품-1
<그림3-9> 슈퍼카에 적용되는 고기능성 경량부품-2
<그림3-10> 페라리가 3D 프린팅 기술로 개발하는
포뮬라1카 신형 엔진
<그림3-11> BMW의 3D 프린팅 기술응용 자동차 부품 개발사례
<그림3-12> 현대자동차에서 제작한 시제품
<그림3-13> Boeing과 3T RPD 3D 프린팅 기술 활용 사례
<그림3-14> GE가 855개의 개별 부품을 단 12개로 제작한 엔진(좌)
LEAP 엔진의 연료노즐(우)
<그림3-15> NASA가 개발한 로켓엔진 연료 분사장치(좌)와
러더퍼드 엔진(우)
<그림3-16> 성진테크윈이 KAI에 납품하는
전술정찰영상정보수집체계(좌)와 덕트부품(우)
<그림3-17> 서울교통공사, 캐리마, 메탈쓰리디, 유창정공이
제작하는 철도차량 부품
<그림3-18> 국내 1호 3D 프린팅 전문 안경 브리즘
<그림3-19> 2004-2023년 미국 반려동물산업 시장규모
<그림3-20> SLM 방식 장비의 모식도
<그림3-21> EBM방식 장비의 모식도
<그림3-22> 스캔 속도와 레이저 파워의 상관관계 분석 사례
<그림3-23> 스캔 경로 및 간격에 따른 분석 사례의 예
<그림3-24> 스캔간격 변화조건에서 온도변화 그래프
<그림3-25> 레이저 방향 차이에 따른 온도변화 그래프
<그림3-26> 스캔간격에 따른 다공성 및 기공크기 변화 연구사례
<그림3-27> 다양한 스캔간격 모드에서의 다공성 변화 연구사례
<그림3-28> 스캔간격에 따른 영율(좌), 강도(우) 변화 연구 사례
<그림3-29> 레이저 경로 경계에서의 금속 입자 스캔(좌),
레이저 경로 경계에 의한 큰 입자 겹침현상의 예(우)
<그림3-30> 수평 오버랩핑 모식도(좌),수직 오버랩핑 모식도(우)
'신간 기술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에너지산업의 시장 분석과 수열에너지 활용 관련 동향 (0) | 2020.07.14 |
---|---|
2020년 고효율·중대형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0) | 2020.07.13 |
미래 모빌리티의 혁명, 플라잉카ㆍ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발동향과 상용화 전망 (0) | 2020.06.30 |
원격교육과 에듀테크(EduTech) 기술 및 시장동향과 주요기업 사업 전략 (0) | 2020.06.30 |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기술동향 (비대면(UNTACT) 시대,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업무 방향) (0) | 2020.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