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 기술보고서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기술동향 (비대면(UNTACT) 시대, 디지털 혁신을 통한 미래 업무 방향)

by 테크포럼북스 2020. 6. 30.

도서구매: http://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900&goods_idx=25303

 

 

 

제조사: 하연

규격: 242쪽 (A4)

ISBN: 979-11-85497-22-8 (93560)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제1장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기술 개요 및 미래 업무 환경

 

 

 

1.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기술 개요

 

   1-1. 디지털 혁신과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개요

 

      1-1-1. 디지털화의 가속화 배경

 

       (1) 펜데믹(pandemic)으로 인한 환경 변화

 

       가. 개인 일상속 변화

 

       나. 기업 문화 변화

 

       (2) 코로나19(COVID-19)의 여파로 시작된 근무 유연화

 

      (3) 재택근무의 특징

 

      가. 장점

 

      나. 단점

 

1-1-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1) 디지털 기술

 

     (2) 디지털 혁신

 

1-1-3. 디지털 워크플레이스(digital workplace) 개요

 

     (1) 디지털 워크플레이스(digital workplace) 개념

 

     (2) 디지털 세대

 

     가. 밀레니얼·Z세대 특징

 

       ① 밀레니얼(Millenial)세대

 

       ② Z세대

 

     나. MZ(밀레니얼·Z세대)세대와 디지털 테크놀로지

 

     다. 워라벨(Work-life balance)

 

       ① 워라밸 개요

 

       ② 워라밸의 등장 배경

 

       ③ 워라밸 세대

 

       ④ 워라밸로 인한 변화

 

     (3) 리모트워크(Remote Work) 개요

 

     가. 유연근무제(flexible workplace)

 

         ① 유연근무제 개념

 

       ② 유연근무제 유형

 

         ㉠ 선택적 근로시간제(Alternative work schedule)

 

         ㉡ 시차출퇴근제(Flex-time work)

 

         ㉢ 재량근무제(Discretionary work)

 

         ㉣ 원격근무제(Smart work)

 

         ㉤ 재택근무제(work from home)

 

         ㉥ 탄력적 근로시간제

 

       ③ 유연근무제 도입

 

         ㉠ 유연근무제 도입 필요성

 

         ㉡ 유연근무제 도입 현황

 

         ㉢ 유연근무제 도입 절차

 

           ㉢-1. 1단계: 도입검토

 

           ㉢-2. 2단계: 제도 설계하기

 

           ㉢-3. 3단계: 실행하기

 

           ㉢-4. 4단계: 사후관리

 

         ㉣ 유연근무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나. 리모트워크(Remote Work) 개념

 

       다. 리모트워크(Remote Work)의 3가지 유형

 

         ① 사무실 근무를 기본으로 하는 부분적 리모트워크 방식

 

         ② 사무실 근무와 리모트워크를 병행하는 운영 방식

 

         ③ 리모트워크를 기본으로 운영하는 방식

 

       라. 리모트워크의 형태

 

          ① 재택근무(Work from Home)

 

        ②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와 긱 이코노미(Gig Economy)

 

          ㉠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 긱 이코노미(Gig Economy)

 

        ③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

 

      마. 리모트워크의 장단점

 

       ① 장점

 

       ② 단점

 

  1-2. 디지털 워크스페이스(Digital Workspace) 환경 구축

 

   1-2-1.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개요

 

     가. 디지털 업무공간의 필요성

 

     나. 디지털 워크플레이스(Digital Workplace) 업무 환경

 

   1-2-2.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요구사항

 

    (1)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2) 응용 프로그램 제공

 

    (3) 최신 장치 관리

 

    (4) 환경 및 보안 관리

 

     ① VPN 보안

 

     ②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5) 자동화(Automation)

 

     ① 자동화 개념

 

     ② 자동화 방식

 

     ③ 자동화 도입의 필요성

 

2.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환경 구축 솔루션

 

  2-1. 통합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2-2. 메신저

 

  2-3. 화상회의 솔루션

 

  2-4. AI 비서와 챗봇(Chatbot)

 

    2-4-1. 챗봇(Chatbot)의 개념

 

    2-4-2. 챗봇과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2-4-3. 챗봇의 진화

 

  2-5. 협업 프로세스

 

 

 

제2장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산업동향

 

1. 분야별 기술 동향

 

  1-1. 온라인 구매

 

  1-2. 은행, 금융서비스, 보험(BFSI)

 

  1-3.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1-4. 원격교육

 

  1-5. 원격의료

 

    1-5-1. 원격의료 개념

 

    1-5-2. 국내 원격의료 현황

 

    1-5-3. 해외 원격의료 현황

 

     (1) 미국

 

     (2) 일본

 

     (3) 중국

 

2. 협업 솔루션

 

  2-1. 협업 프로세스 개요

 

    2-1-1. 협업 전략

 

     (1) 시스템적 컴포넌트 정의

 

     (2) 목적에 맞는 도구 사용

 

     (3) UI팀, GUI팀의 공동 관리 라이브러리

 

   2-1-2. 협업 툴 트렌드

 

  2-2. 협업 툴

 

    2-2-1. 슬랙(Slack)

 

    2-2-2. 줌(Zoom)

 

    2-2-3. 팀즈(Teams)

 

    2-2-4. 구글 지스위트(G Suite)

 

    2-2-5. 트렐로(Trello)

 

    2-2-6. 깃헙(GitHub)

 

    2-2-7. 콜라비(collabee)

 

    2-2-8. 채널톡 ‘팀 메신저’

 

    2-2-9. 이스트소프트 ‘팀업(TeamUp)’

 

    2-2-10. NHN ‘토스트 워크플레이스 두레이(TOAST Workplace Dooray)’

 

    2-2-11. 토스랩 ‘잔디(JANDI)’

 

    2-2-12. 네이버 ‘라인웍스(Line Works)’

 

 

 

그림목차

 

[그림 1] 뉴노멀 2.0 시대의 정보기술 융합 서비스

 

[그림 2] 원격근무의 변화

 

[그림 3] 원격근무를 하면서 겪었던 문제

 

[그림 4] 2019년 디지털 혁신 트렌드

 

[그림 5]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

 

[그림 6] 디지털 워크플레이스의 개념

 

[그림 7] 2018년 Z세대의 비중

 

[그림 8] 밀레니얼·Z세대 등 주력 소비 세대의 부상과 라이프 트렌드 변화

 

[그림 9] 세대별 사무실에 대한 개요

 

[그림 10] 워라밸(Work-life balance) Review

 

[그림 11] Z세대의 여가시간 활용도

 

[그림 12] 퇴근 후 개인시간

 

[그림 13] 도입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유형

 

[그림 14] 원격근무 환경을 위한 팔로알토네트웍스 솔루션

 

[그림 15]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이 일·생활 균형제도에 미친 영향

 

[그림 16] 근로시간 단축 대비안 마련 현황(인쿠르트 기업 회원 273개사 대상 설문조사)

 

[그림 17] 유연근무제 선호도

 

[그림 18] 성공적인 리모트 워커(Remote Worker)

 

[그림 19] 디지털 기반의 업무 환경

 

[그림 20] 리모트워크의 단계

 

[그림 21] 디지털 노동 플랫폼의 개념

 

[그림 22] 코워킹스페이스(Coworking Space)

 

[그림 23] 미래 디지털 업무 공간

 

[그림 24] IT환경의 변화와 대응을 위한 기술 요소

 

[그림 25] 디지털 작업공간을 위한 요구 사항

 

[그림 26] UX Workflow

 

[그림 27]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그림 28] SSL VPN 방식

 

[그림 29] SDP 사용 사례

 

[그림 30] RPA 도입 효과

 

[그림 31]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로 구동되는 디지털 비즈니스

 

[그림 32] RPA 기술의 고도화

 

[그림 33] RPA 자동화 단계

 

[그림 34] UCAAS 또는 온-프레미스(On-Premise) UC 솔루션 도입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

 

[그림 35] 일반적인 챗봇 플로우

 

[그림 36] 챗봇 서비스 구조

 

[그림 37] AI의 진화 단계와 적용 사례

 

[그림 38] The Digital Transformation Cycle

 

[그림 39]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그림 40] 디지털 혁신으로 진화하는 금융산업

 

[그림 41] 원격 교육의 구성 요소

 

[그림 42] 일반적인 원격진료 시스템

 

[그림 43] SK텔레콤의 ‘누구 케어 콜’ 서비스 개념도

 

[그림 44] 미국 원격의료 서비스 시장 규모 및 전망

 

[그림 45] 다계층의 협업 전략

 

[그림 46] SP Digital Workplace 솔루션

 

 

 

표목차

 

[표 1] WHO 전염병 경보 등급

 

[표 2]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비교

 

[표 3] 스마트워크 사례

 

[표 4] 재택근무의 장단점

 

[표 5] 세대별 특징

 

[표 6] 디지털 워크플레이스의 업무 환경

 

[표 7] 밀레니얼과 Z세대 유년기/성장기 비교

 

[표 8] 유연근무제의 유형

 

[표 9] 다양한 유연근무제 형태

 

[표 10] 선택적 근로시간제 비교

 

[표 11] 시차출퇴근제의 유형

 

[표 12] 재량근무제 대상업무

 

[표 13] 원격근무제 유형

 

[표 14] 재택근무 측면의 스마트워크 요소기술

 

[표 15] 탄력적 근로시간제

 

[표 16] 유연근무제의 긍정적 효과

 

[표 17] 유연근무제 도입 프로세스

 

[표 18] 업종별 홈코노미 관련 비즈니스 전개 동향

 

[표 19]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행중인 국내 재택근무 사례

 

[표 20] 리모트워크 사전 준비

 

[표 21] 비즈니스 활동을 위한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솔루션

 

[표 22] 주요 서비스 관리 항목 개요

 

[표 23] Digital Workplace 변환

 

[표 24]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모델 이행 방식 및 아키텍처(Architecture)

 

[표 25] 대표적 RPA 도입 업무 사례

 

[표 26]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DaaS의 대표적인 장점

 

[표 27] 주요 인터넷·모바일 금융 플랫폼 현황

 

[표 28] 주요 국내 은행 비대면 강화 위한 디지털 조직 전략

 

[표 29] 2020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 투자 계획

 

[표 30] 원격수업의 유형별 운영 형태

 

[표 31] 자기주도적 5단계 비대면 학습 절차

 

[표 32] 원격의료 추진 일지

 

[표 33] 원격의료 서비스 국내외 비교

 

[표 34] 원격의료 4가지 유형

 

[표 35] 미국 NSA가 평가한 화상회의 서비스 안정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