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 기술보고서

국내외 시스템 반도체 및 반도체 소재ㆍ부품ㆍ장비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하)

by 테크포럼북스 2020. 3. 24.

 

 

 

도서구매: http://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J00&goods_idx=25241

 

 

제조사: 산업경제리서치

규격: 519쪽 (A4)

ISBN: 979-11-85508-20-7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반도체 장비산업은 2018년 645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19년은 메모리 반도체 투자 축소로 4년만에 555억 달러에 머물며 역성장할 전망이다.

 

 

한국 장비시장은 17.1억 달러(27%)로 2년 연속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했으며 다음으로 중국 131.1억 달러(20%), 대만 101.7억 달러(16%), 일본 94.7억 달러(15%) 순이다.

 

 

2019년 국내 장비 투자액은 전년대비 20~3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국내 장비 기업의 실적도 20% 이상 하락하나 고객다변화 등에 따라 실적은 차별화될 전망이다.

 

 

반도체 소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실리콘 웨이퍼는 2018년 세계 시장규모가 100억 달러를 돌파하여 113억 8000만 달러(약12조 7300억 원)에서 2019년 123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170억 달러가 예상되고 있다.

 

 

국내 실리콘 웨이퍼의 수입(‘18)은 16.1억 달러, 수출은 7.5억 달러로 무역수지 8.6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반도체 CMP 장비 및 부품 분야 세계 시장의 경우 크게 북미시장, 유럽시장 및 아시아 시장으로 구분되며, 전체 시장 규모는 2017년 1,130백만 달러 규모로 연평균 성장률 7.56%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1,750백만 달러 규모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고성능 반도체 패턴용 공정 소재 세계시장은 2018년 약 490억 달러에서 연평균 10.2% 성장하여 2023년 798억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전망이다.

 

 

세계 포토마스크 시장규모는 2017년 기준 3,890백만 달러 규모로, 2023년까지 2.75%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하여 4,580백만 달러 규모까지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YOL 자료에 따르면, 전력반도체(Power IC)는 전체 반도체 산업의 전반적인 상황에 따라 2018~2023년 3.6%의 복합 연성장률로 2023년 22,700백만 달러에 이르며, 여러 주요 엔드 마켓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증착, 열처리 장비의 기술수준은 해외 선도기업 대비 90%로 높지만 식각, 세정, CMP의 기술력은 75~85% 수준이며 노광과 이온주입은 10~20%로 낮다.

 

 

본 보고서에는 각 분야별 시스템 반도체 시장을 종합분석 했으며,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에 걸쳐 (상), (하)권으로 2권에 나눠 발간하게 됐다. 각권을 따로도 판매하지만 두권 합본으로 구매하면 많은 디스카운트가 적용되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끝으로 본 보고서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Ⅰ. 반도체  장비ㆍ소재 산업동향

 

 

1. 반도체 장비 분야

  1) 산업 범위 및 특징

  2) 산업규모 및 경쟁구도

 

 

2. 반도체 소재 분야

  1) 산업 범위 및 특징

  2) 산업현황 및 전망

 

 

3. 국내 반도체 장비⋅소재 산업분석

  1) 산업구조 및 경쟁력

  2) 기업 실적 및 전망

  3) 결론 및 시사점

 

 

4. 미국 반도체 장비산업 및 기업 분석

  1) 반도체 산업 및 장비산업 성장 과정

    (1) 반도체 산업의 시작

    (2) 주요 반도체 장비 기업의 성장

  2) 미국 반도체 장비산업 육성이 주는 교훈

 

 

Ⅱ. 반도체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 및 시장분석

 

 

1.반도체 CMP 장비 및 부품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2. 고성능 반도체 패턴용 공정소재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3. 반도체 증착 장비 및 부품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4. 반도체 노광 공정 및 장치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5. 반도체 식각공정 부품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6. 전력 반도체(Power IC) 및 관련 소자산업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7. 반도체 측정⋅분석⋅검사 장비 및 부품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8. 반도체 설비공정 모니터링 장비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9. 반도체 패키징 장비 및 부품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10. 반도체용 특수가스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11. 실리콘 웨이퍼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12. 반도체 세정 장비 및 부품 분야

  1) 개념정의 및 분류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Ⅲ. 주요 소재⦁부품 국산화 분석 및 향후 과제

 

 

1. 주요 소재・부품 국산화 현황 분석

  1) 주요 소재・부품 국산화 분석

  2) 2차전지 핵심소재 분석

  3) MLCC 분석

  4) 카메라모듈 분석

  5) 스마트폰 소재・부품 분석

 

 

2. 4차 산업혁명시대 유망 소재와 발전전략

  1) 개요

  2) 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와 소재 산업

  3)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망소재와 국내 대응

    (1) 미래형 이동체

    (2) 스마트 디바이스

    (3) 에너지신산업

    (4) 스마트 생산기반

  4) 첨단소재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과 정책과제

    (1) 과소투자 문제 해소 위한 전략적 투자 

    (2) 투자 효율성 증진을 위한 사업화 연계 강화

    (3) 지역혁신역량 강화

    (4) 지능정보 기반 구축 확대

 

 

3. 소재 분야 10대 유망기술 

  1) 선정 배경

  2) 선정절차 및 세부내용

    (1) 선정절차

    (2) 후보군 도출 - (1) 정성적 후보군

    (3) 후보군 도출 - (2) 정량적 후보군

  3) 선정 결과 및 심층분석

    (1) 선정결과

    (2) 심층 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4. 한국 소재⋅부품산업의 현황과 과제

  1) 소재・부품의 범위

  2) 체질 개선된 국내 소재・부품 산업 현황

  3) 글로벌 시장에서의 국내 소재・부품산업 현황

  4) 소재・부품산업의 정책 동향과 대내외 기술 흐름

 

 

5. 국가 비상시 소재확보 전략

  1) 비상시 대응을 위한 소재 비축

    (1) 국내 광물자원 비축 현황

    (2) 국내 희소금속 비축 적정성 평가 기준

    (3) 에너지전환 관련 소재광물의 비축

      가. 메탈실리콘의 비축

      나. 리튬 및 코발트의 비축

      다. 비축목표량 및 방출기준의 검토가 필요

  2) 도시광산

    (1) 국내외 도시광산 현황

    (2) 재활용을 위한 사용 후 제품의 관리체계 구축

  3) 소재광물 개발을 위한 금융, 세제 등 재정적 지원 수단

 

 

  4) 결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