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https://smartstore.naver.com/techforum/
신정부 ‘재생에너지 대전환’에 대응하는’ 2026년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유망 분야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전략 -태양광, 풍력(해상풍력), 바이오연료 중심-
제조사: 데이코인텔리전스
규격: 669쪽 (A4, 서적, PDF)
ISBN: 9791190816250
발간일: 2025-09-23
▶자세히보기
https://mkt.shopping.naver.com/link/68d29098713c156d9f530e19
[ 보고서 소개 ]
국내외 에너지시장 특히,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트럼프 2.0’ 시대를 맞이한 미국과 신정부가 등장한 국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석유 시대’로의 회귀를 선언한 미국 트럼프 2기 정부는 풍력발전에 부정적인 반면, 태양광발전에 대해서는 우호적인 평가를 하는 등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을 국정과제로 제시하며, 재생에너지 보급과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시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6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3조 8,778억 원으로 편성하며,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 이행 등 글로벌 국가와의 보급격차를 해소하고, 에너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2026년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을 올해 2025년 8,973억 원 대비 3,730억 원(+42%) 증가된 1조 2,703억 원으로 편성했다. 지난 7월의, 추경 편성에 이어 2026년 예산도 대폭 확대됨으로써 재생에너지 분야 설비투자와 첨단기술의 연구개발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사업’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사업’에 총 8,501억 원을 편성했으며, 금융지원사업은 RE100산단, 영농형 태양광, 햇빛·바람연금, 해상풍력 확대 등 정책과제 이행 지원을 위해 전년 대비 약 2배이자, 역대 최대 금액인 6,480억 원으로 증액했고, 보급지원사업도 대폭 확대해 자가용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도 늘려 나가기로 하였다.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 사업도 역대 최대 규모인 3,358억 원으로 편성해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한계효율 29%→44%), 20MW 이상의 대형 풍력 블레이드 등 태양광·풍력 분야의 미래 첨단 기술력 확보를 지원하며, ‘차세대 재생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 고도화 혁신지원사업’ 또한 전년 대비 180% 증가한 56억 원으로 편성해 글로벌 경쟁을 위한 신속한 기술기준을 마련하고 표준화도 지원하기로 하였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첨단산업 육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전국 산업거점과 에너지를 연결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과 지역 단위의 촘촘한 소규모 전력망을 구축하는 차세대 분산전력망 사업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계통제약 등을 보완하기 위해 배전망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하여 AI 기술로 전력 수급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차세대 분산전력망 구축사업을 신규로 추진함으로써 전력의 지산지소를 실현하고 계통제약 해소를 통한 재생에너지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당사에서는 2026년의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시장과 특히 신재생에너지시장의 사업 환경을 조망하고, 성장이 기대되는 태양광, 풍력, 바이오연료 등 신재생에너지 유망분야에 대하여 시장전망과 국내외 정책 동향, 기술 개발 동향과 전략 등을 종합 분석하여,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본서를 발행하게 되었으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 목차 ]
Ⅰ. 국내외 전력, 에너지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 국내외 전력, 에너지산업 기술, 시장 이슈와 최근 동향
1-1. 국내 전력, 에너지산업 기술, 시장 이슈와 최근 동향
1) 신정부의 에너지산업 정책 방향과 전망
(1)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2)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본격화
2) AI를 활용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 정책방향
(1) 개요
(2) 세부 과제별 추진 전략
(3) 3대 시범사업 추진방향
3) K-그리드 글로벌 진출 전략
(1) 개요
(2) 추진전략
(3) 세부 추진과제
(4) 과제별 추진일정
1-2.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이슈와 대응 동향
1) 글로벌 탄소중립 및 에너지안보 동향
(1) 에너지안보와 에너지 전환
(2) 글로벌 에너지 시장 트렌드 및 주요국 대응 현황
(3) 국내 탄소중립 및 에너지안보 관련 정책
2) 탄소중립 및 에너지안보 분야 주요 이슈
(1)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2)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위한 지원
1-3. 분산에너지, 스마트그리드, EMS 기술과 시장 동향
1) 분산에너지 개요와 동향
(1) 분산에너지 정의와 부상 배경
(2)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략의 주요 기술과 사업 모델
(3)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
2) 스마트(마이크로) 그리드 개요와 동향
(1) 스마트그리드 개요
(2)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구성요소
(3) 마이크로그리드 개요 및 동향
3) EMS(에너지 관리 시스템)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개요
(2)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밸류체인
(3) 글로벌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시장 전망
1-4. 전력, 에너지 분야 AI와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1) IEA, 에너지 전반에 AI 활용 가속화 전망
(1) 에너지 공급 측면에서 AI 활용
(2) 에너지 수요 측면에서 AI 활용
2) 인공지능(AI) 기술의 에너지 분야 적용과 향후 과제
(1) 개요
(2) 에너지 부문 AI 활용 시 우려 사항
(3) 에너지 부문 AI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과제
3) 디지털트윈 기술의 에너지 분야 적용 사례와 동향
(1) 개요
(2) 디지털트윈 에너지 분야 적용 사례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산, 보급 실태와 정책 동향
2-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생산, 발전, 설비 용량 현황
(1)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추이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추이
(3)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추이
2) 국내 지역별 태양광, 풍력 발전 현황
(1) 지역별 태양광, 풍력 발전 현황
(2) 지역별 태양광, 풍력 발전용량 현황
2-2.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주요 통계
1) 신재생에너지(종합)
2) 태양에너지
(1) 태양열
(2) 태양광
3) 풍력
4) 수력
5) 해양
6) 지열
7) 수열
8) 바이오에너지
(1) 바이오가스
(2) 매립지가스(LFG)
(3) 바이오디젤
(4) 우드칩
(5) 성형탄
(6) 임산 연료
(7) 목재펠릿
(8) 폐목재
(9) 흑액
(10)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11) Bio-SRF
(12) 바이오 중유
9) 폐기물
(1) 폐가스
(2) 산업폐기물
(3) 생활폐기물
(4) 시멘트 킬른 보조연료
(5) SRF
(6) 정제 연료유
10) 연료전지
11) IGCC
3.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4∼2038)
3-1. 국내 전력 수급 현황과 전망
1) 전력수급 현황
(1) 전력수요
(2) 전력공급
2) 전력수요 전망
(1) 기준수요
(2) 목표수요
3) 수요관리 목표
(1) 최대전력 절감계획
(2) 전력소비량 절감계획
4) 전원구성 전망
(1) 정격용량 기준
(2) 실효용량 기준
3-2. 국내 발전 설비 현황과 향후 계획
1) 공급물량 제외설비 현황
2) 노후 화력발전 설비 현황
3) 집단에너지 현황 및 설비계획
4) 신재생에너지 설비 및 발전량 전망
(1)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전망(2024∼2038)
(2)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전망(2024∼2038)
5) 주요 해상풍력 설비계획
6) 에너지저장장치(ESS) 현황 및 계획
7) 발전설비 건설계획표
Ⅱ. 유망 신재생 에너지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 국내외 태양광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1. 태양광 발전산업 개요
1) 태양광 발전산업 개념
(1) 태양광 발전의 개요
(2) 태양광 발전 Value Chain
(3) 태양광 발전 특징
(4) 태양광 발전 적용 유형
2) 태양전지 개요
(1) 태양전지 정의
(2) 태양전지의 작동원리와 종류
(3) 태양전지의 중요성 및 의의
(4) 태양전지 분류
1-2. 국내외 태양광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 및 생산용량 현황
(2) 글로벌 에너지 설비 투자 동향과 태양광 설치량 전망
2) 국내 태양광산업 동향과 전망
(1) 국내 태양광 설치 시장 동향과 전망
(2) 국내 태양광 관련 제품 수출입 동향
3) 국내외 주요국 태양광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태양광 정책 동향
(2) 국내 주요 태양광 정책 동향
1-3. 태양광 밸류체인별 가격 및 수급 동향
1) 폴리실리콘, 웨이퍼
(1) 가격동향
(2) 생산 및 공급동향
2) 태양전지 및 모듈, 인버터
(1) 가격동향
(2) 생산 및 공급 동향
3) 주요 태양광 기업 2025년 실적
1-4. 국내외 태양광 기술개발 동향
1)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 동향
(1) 태양전지 p형에서 n형으로 점유율 이동
(2) 차세대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기술개발
2) 태양광 발전 표준 및 기술개발 동향
(1) 국제표준 IEC 63092-1(건물형 태양광) 파트 2: BIPV 제품(시스템)분류기준
(2) 부유식 수상 태양광발전 가이드라인(Floating PV; Best Practice Guidelines)
(3)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 핸드북
(4) 차체일체형 태양광(VIPV) 기술
(5) 재생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성
(6) 태양광 시스템 성능 저하 대응
(7) 태양광 발전의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출
3) 국내 태양광 기술개발 동향
(1) 태양광 기술개발 주요 경과
(2) 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1-5. 주요국 태양광 시장 동향과 전망
1) 미국
(1) 미국 태양광 발전 시장 동향
(2) 미국, 태양광 공급망 강화와 무역 제재 시행
(3) 미국 태양광 발전 전망
2) 중국
(1) 중국 태양광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2) 중국 태양전지용 웨이퍼 시장 동향과 전망
(3) 중국 태양광패널용 강화유리 시장 동향과 전망
(4) 중국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시장 동향과 전망
(5) 중국 태양광발전 산업 전망
3) 일본
(1) 일본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 일본,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개발 동향
2. 국내외 풍력(해상풍력)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1. 국내외 풍력(해상풍력) 시장 동향과 전망
1) 풍력발전 개요와 특징
(1) 정의와 분류
(2) 특징과 장단점
2) 글로벌 풍력(해상풍력)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1) 전 세계 풍력 신규 설치용량 전망
(2) 전 세계 해상풍력 신규 설치용량 전망
(3) 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신규 설치용량 전망
3) 국내외 풍력(해상풍력)발전 정책 동향
(1) 해외 풍력(해상풍력)발전 정책 동향
(2) 국내 풍력(해상풍력)발전 정책 동향
2-2. 국내외 풍력(해상풍력) 기술개발 동향
1) 국외 풍력(해상풍력) 기술개발 동향
(1) 초대형 해상풍력터빈 상용화 개발 경쟁
(2)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 활성화
(3) 에너지원 사이버 공격 위협 대응
(4) 풍력발전기의 디지털화, 자동화
(5) 풍력발전기의 현장 유지보수 기술
2) 국내 풍력(해상풍력) 기술개발 동향
(1) 8∼10MW급 국산 해상풍력터빈 개발 동향
(2) 실규모 블레이드 공인 인증 시험 설비
(3) 해상풍력 발전을 위한 설치선
(4) 해상풍력단지 드론 탐지·무력화 및 사이버보안 기술
(5) 풍력발전기 유지보수 기술
2-3.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동향과 전망
2)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을 위한 고려 사항
(1) 항구의 수용능력
(2) 운영 및 유지보수
(3) 표준화
(4) 에너지 저장
3) 부유식 해상풍력과 수소 생산, 양식업 결합 모델
(1) 수소 생산을 위한 해상풍력의 활용
(2) 해상풍력 단지 이용 해양 양식업
2-4. 주요국 풍력(해상풍력)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1) 중국
(1) 중국 풍력발전 개요
(2) 중국 풍력발전 정책 동향
(3) 중국 풍력발전 시장 동향
(4) 중국 주요 풍력기업, 제품 동향
(5)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전망
2) 영국
(1) 영국 풍력발전 지원 정책 동향
(2) 영국 풍력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3) 독일
(1) 독일 풍력발전 지원 정책 동향
(2) 독일 풍력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4) 일본
(1) 일본 풍력발전 지원 정책 동향
(2) 일본 풍력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3. 바이오매스․에너지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1. 바이오매스, 바이오에너지 기술 개요
1) 바이오매스(Biomass) 개요
(1) 바이오매스 정의 및 분류
(2) 바이오매스 전처리 기술
(3) 바이오매스 효소 당화 기술
2) 바이오매스 기반 전기에너지 생산 기술
(1) 간접적 형태의 바이오매스 이용 전기에너지 생산
(2) 직접적 형태의 바이오매스 이용 전기에너지 생산
3-2. 바이오 연료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 바이오 연료 개요
(1) 바이오 연료 정의와 부상
(2) 바이오 연료 분류 및 특징
2) 글로벌 바이오 연료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바이오 연료 산업 현황
(2) 지역/국가별 바이오 연료 시장 동향
(3) 글로벌 바이오 연료 시장 과제와 전망
3-3. 바이오기반 수송용연료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 지속가능 항공유(SAF) 개요와 동향
(1) 지속가능 항공유(SAF) 정의 및 도입 배경
(2) 지속가능 항공유(SAF) 특징과 분류
(3) 지속가능 항공유(SAF) 개발 효과
(4) 지속가능 항공유(SAF) 기술 현황
2) 국내·외 지속가능 항공유(SAF) 산업 동향과 전망
(1) 항공산업 탈탄소 방안
(2) 항공업계 지속가능 항공유(SAF) 대응 동향
(3) 국내외 지속가능 항공유(SAF) 산업 동향
3) 국내외 바이오 선박유 시장 동향 동향과 전망
(1) 선박유 분야 바이오 연료 유형 및 혼합물
(2) 바이오 선박유 시장 핵심 요소
(3) 바이오 선박유의 과제와 전망
Ⅲ. 태양광, 풍력 기술개발계획과 로드맵(2024-2033)
1. 태양광에너지 4대 전략과제 핵심기술 개발 전략과 로드맵
1-1.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및 모듈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6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6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고효율 대면적 탠덤 태양전지 기술개발
(2) [핵심기술 2] 셀·모듈 양산기술 고도화를 통한 상용화 기술 개발
(3) [핵심기술 3] 고효율·장수명 탠덤 모듈 제품 기술개발
(4) [핵심기술 4] 제조단가 저감을 위한 소재 국산화 기술개발
(5) [핵심기술 5] 탠덤 전지/모듈 시험·평가 기술개발
(6) [핵심기술 6] 차세대 태양전지 생산을 위한 핵심제조장비 개발
1-2. 사용처 다변화 태양광 시스템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5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5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설비 이용률 제고 위한 용도별(지붕·입면·창호) 건물형 태양광 기술개발
(2) [핵심기술 2] 건물형 태양광의 건축 안전성 및 수명 강화 기술개발
(3) [핵심기술 3] 농지법 개정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 표준모델 개발
(4) [핵심기술 4] 수상형 태양광의 단가저감 및 안전성 확보 기술개발
(5) [핵심기술 5] 차체일체형(VIPV) 수송형 태양광 기술개발
1-3. 디지털 기반 태양광 O&M 표준연계 기술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핵심기술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태양광 전주기 디지털 O&M을 위한 표준화 연계 기술개발
1-4. 태양광 전주기 탄소배출 최소화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2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2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저탄소 모듈 및 시스템 전주기 탄소발자국 검증 기술개발
(2) [핵심기술 2] 계통접속 완화를 위한 태양광 발전소 리파워링 기준 기술개발
2. 풍력에너지 4대 전략과제 핵심기술 개발 전략과 로드맵
2-1. 해상풍력 시스템 제조 경쟁력 강화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3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3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해상풍력터빈 대형화 기술개발
(2) [핵심기술 2] 해상풍력터빈 공급망 강화 기술개발
(3) [핵심기술 3] 시험·인증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2-2. 부유식 해상풍력 상용화 및 국산화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2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2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부유식 해상풍력 핵심부품 국산화 및 단가저감
(2) [핵심기술 2] 부유식 해상풍력 부유체 시스템 다변화 기술개발
2-3. 해상풍력 단지개발 기반구축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3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3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해양엔지니어링 기술 고도화
(2) [핵심기술 2] 해상풍력단지 인증제도 설계 및 발전단지 안보·보안 체계 고도화
(3) [핵심기술 3] 해상풍력 설치 인프라 혁신 기술개발
2-4. 단지운영기술 고도화
1) 전략과제 개요와 기대효과
(1) 2대 전략 핵심기술
(2) 단기, 중기 기대효과
2) 2대 핵심기술별 개발내용
(1) [핵심기술 1] 해상풍력발전 단지제어 최적화 기술개발
(2) [핵심기술 2] 해상풍력단지 지능형 운영 및 유지보수 기술
Ⅳ.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 연구테마
1. 신재생 기술 분야 연구테마
1-1. 신재생에너지(태양광) 기술
1) 은(Ag) 사용량 저감을 위한 고출력 제로버스바(0BB) 모듈 개발 및 실증
2)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옥외노출 준안정성 확보를 위한
열화성능 개선
3) 태양광 재활용/재사용 체계구축을 위한 Al 기반 전주기 태양광 전력변환장치 이력
관리 기술개발
4) 심미성과 안전성이 개선된 고출력 발코니 플러그인 모듈 시스템 및 수명주기 운영·유지
보수(O&M) 기술개발
5)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 모듈 장기안정성/내구성 향상 및 평가 기술개발
6) CIGS계 박막기반 초경량 고신뢰성 사용처다변형 다중접합 태양전지 기술
7) 차세대 혁신 소재 기반 한계돌파형 다중접합 태양전지 원천기술 개발
8) 차세대 고내구성 무기화합물 박막 태양전지 원천기술 개발
9) 탠덤 모듈과 HJT 모듈의 출력향상을 위한 자외선 다운 컨버전 봉지재 필름 개발
10)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모듈 성능 및 장기신뢰성 시험방법 개발 및
체계구축
11)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친환경 재활용 기술개발
1-2. 신재생에너지(풍력) 기술
1) 국내 설치 환경을 고려한 초격차 형 20MW+급 해상풍력터빈 기본설계
2) 초대형 해상풍력시스템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설계 연구
3) 풍력 블레이드 생산성 및 재활용성이 향상된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개발
4) 부유식 해상풍력 허브 설계 및 타당성 검토
5) 풍력발전기 구조 연결 볼트 및 베어링 현장 검사 시스템 개발
6) 풍력발전 블레이드 손상 검출용 복합검사시스템 개발
7) 가상 풍력발전기 기반 지능형 운영 지원 솔루션 개발
8) 해상풍력단지 지반조사 성능기준 표준화 및 기반기술 개발
9) 해상풍력 해상보증조사(MWS) 기술지침서 국내 표준화 개발
10) 초대형 풍력발전기용 변압기 개발
11) 풍력 지지구조물 제조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제작 기술개발
12) 해상풍력 단지인증 평가기법 및 안보적 대응 핵심기술 개발
13) 초대형 부유식 수직축 해상풍력 초기설계 및 성능평가 기술 개발
14) 육상풍력용 6MW급 풍력터빈 개발 및 실증
15) 풍력발전용 10MW급 SST 기반 전력변환장치 개발
2. 기타 에너지(수요관리, 배전망, ESS) 기술
2-1. 에너지 수요관리 기반 기술
1) 차세대 전기형 공동주택 제로에너지화 기술 개발 및 실증
2) 실시간 전력시장 대응 온디바이스 AI 기반 상시제어장치 및 집합 수요자원화 기술
개발 및 실증
3) 효율관리제도 연계 전기차 충전기 대기전력 관리와 디지털 유지보수 기술 개발 및
통합 플랫폼 기반 실증
4) 수요맞춤형 물관리 시설 수요자원화 기술개발 및 실증
5) 전기 기반 제조설비의 능동형 수요반응 기술 개발 및 전력망 연동 실증
2-2. 에너지 수요관리 효율 혁신 기술
1) 반도체 공정 질소 가변 공급 진공시스템 통합 기술개발
2) 웨이퍼 가열공정 고효율 전기화 기술개발 및 실증
3) 초저습 드라이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실증
4) 탄소중립 건물용 초고효율 냉난방/급탕 히트펌프 기술 개발
5) 분산형 차세대 집단냉난방시스템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실증
6) 산업용 고청정 설비 초고효율화 기술개발 및 실증
2-3. 기타 에너지(배전망, ESS) 기술
1)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 기술 개발
2)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해석 고도화 기술 개발
3) 직류 송배전시스템 확대 대응 전력계통 안정도 감시시스템 적용 기술 개발
4) AC/DC Hybrid 배전망 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운용
5) 극한환경 대응 차세대 BESS 고신뢰성 검증 및 안전기술 개발/실증
6) 폐지 석탄화력 활용을 위한 장주기 카르노 배터리 기술개발
▶자세히보기
https://mkt.shopping.naver.com/link/68d29098713c156d9f530e19
신정부 ‘재생에너지 대전환’에 대응하는’ 2026년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유망 분야 기술, 시장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풀령, 해상풍력, 바이오연료, 북몰, 서점, 도서, 보고서, 리포트, 서적, 데이코인텔리전스, 데이코, 테크포럼, 테크포럼몰, 테크포럼북스
mkt.shopping.naver.com
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https://smartstore.naver.com/techforum/
'신간 기술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이차전지 및 배터리산업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Ⅰ, Ⅱ 세트) (0) | 2025.09.18 |
---|---|
피지컬AI로 주목 받는, 2026년 AI·로보틱스 융합 지능형 로봇 기술, 시장 실태와 장래전망 (0) | 2025.09.09 |
신정부의 K-AI 글로벌 도약을 위한 소버린 AI 생태계 구축과 R&D전략 (0) | 2025.09.09 |
新정부의 AI 대전환으로 주목받는, AI 반도체 트렌드와 차세대 반도체 유망 분야별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 전략 (0) | 2025.09.01 |
2025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Ⅰ,Ⅱ, Ⅲ, Ⅳ, Ⅴ, 특별판 세트) (0) | 2025.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