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 기술보고서

물질순환 미래 핵심기술 R&D 전략 -플라스틱 폐기물/유가금속/재제조-

by 테크포럼북스 2024. 1. 2.


도서구매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800&goods_idx=28291

 

물질순환 미래 핵심기술 R&D 전략 -플라스틱 폐기물/유가금속/재제조-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2050탄소중립이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대두되었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서 제품의 전 주기에 걸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www.techforum.co.kr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22쪽 (A4)
ISBN: 9791158622480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2050탄소중립이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대두되었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서 제품의 전 주기에 걸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순환경제가 국제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다.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는 폐기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0억 톤의 도시고형폐기물(주거, 상업 및 기관 폐기물)이 생성되고 있으며, 이를 처리 및 폐기하는 과정에서 16억 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되었다(2016년 기준). 이는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5%에 달하는 규모로 앞으로 더 이상의 진전이 없이 현 상태가 유지된다면 2050년에는 매년 26억 톤(CO2eq.)이 배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각국에서는 기존 선형경제(linear economy)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추진과 지원, 사회경제 구조 시스템 변화 유도 및 산업계와 협력하여 물질순환성 향상 기술 개발과 재정 투자가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계가 기존의 선형경제적 경제활동 개념에서 벗어나 순환경제 사회에 적합한 생산 활동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변화를 이끄는 규제 도입을 포함한 정책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변화에 필요한 사회적인 여건이 조성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순환경제를 위한 물질순환 기술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주요 선진국 현황과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여 「물질순환 미래 핵심기술 R&D 전략 -플라스틱 폐기물/유가금속/재제조」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1장에서는 순환경제 핵심 분야 및 폐기물 재활용처리시설 현황, 제2장에서는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동향, 제3장에서는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동향, 제4장에서는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연구개발 동향을 수록하였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1장 순환경제를 위한 물질순환 기술 동향
1. 순환경제의 주요 동향 및 핵심분야
1) 순환경제 정의 및 SWOT 분석
(1) 관련 용어 정의
가. 폐기물 정의
나. 재활용(recycling) 정의
다.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정의
(2) 순환경제의 중요성
가. 자원의 효율적
나. 탄소중립에 기여
다. 글로벌 新경쟁력 확보
라. 자원 안보 강화
(3) 우리 순환경제 진단
가. SWOT 분석
나. 분야별 분석
2) 폐기물 분류체계 및 발생 현황
(1) 국내 현황
(2) 해외 현황
3) 순환경제 기술 동향
(1) 분야별 주요 기술 동향
가. 폐플라스틱 재활용
나. 바이오플라스틱
다. 바이오 가스화
라. 친환경 설계
마. 원료 회수 기술
(2) 순환경제 관련 특허기술 동향 조사
가. 개요
나. 기술추세분석
다. 기술수준분석
4) 국내외 순환경제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가. EU 및 영국
나. 일본
다. 북미(미국, 캐나다)
(2) 국내 정책 동향
가. 자원순환 관련 법 동향
나. 관련 계획 및 제도
5) 국내외 순환경제 관련 투자 및 산업 동향
(1) 국내 R&D투자 동향
(2) 산업 동향
가. 국내 관련산업 동향
나. 폐자원 분야별 글로벌 시장 동향
6) 순환경제를 이끌 핵심분야
(1) 플라스틱
가.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필요성
나. 국내외 정책 동향
다. 국내외 기술 동향
라. 국내외 시장 전망
마. 관련 기업 동향
(2) 배터리(이차전지)
가. 배터리(이차전지)에 대한 이해
나. 배터리 순환경제의 필요성
다. 국내외 정책 동향
라. 기술 동향
마. 국내외 시장 전망
바. 관련 기업 동향
2. 폐기물 재활용 관련 법・제도 및 처리시설 현황
1) 폐기물 재활용 관련 법・제도
(1) 폐기물과 재활용 가능 자원의 관계
(2) 재활용 관련 법적 정의, 개념
(3)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경우 그 원칙 및 준수사항 등
(4) 폐기물 재활용시설 설치
(5) 폐기물의 재활용 시 환경성평가
(6) 폐기물 종류별 재활용 관련 법령
가. 생활폐기물의 재활용
나.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활용
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라. 사업장폐기물의 재활용
(7) 폐기물 재활용처리시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8) 각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 재활용 관련 조례 현황
2) 폐기물 재활용처리시설 현황 및 분석
(1) 폐기물 재활용처리산업의 현황
가. 폐기물 재활용처리업의 허가와 신고
나. 폐기물 재활용업체의 현황
다. 지역별 폐기물 재활용처리시설 현황
(2) 폐기물재활용처리산업의 미래
(3) 재활용 대상 폐기물의 종류와 단계에 따른 문제점
가. 생활폐기물
나. 건설폐기물
3. 물질순환 미래 핵심기술 개발 현황 및 전략
1) 물질순환 분야 산업 현황
(1) 플라스틱 재활용
(2) 유가금속 회수
(3) 재제조
2) 물질순환 기술개발 현황
(1) 세부기술 정의 및 국내 기술개발 동향
가. 플라스틱 자원화
나. 유가금속 재자원화
다. 재제조
(2) 세부기술별 해외 연구개발 현황
가. 플라스틱 자원화
나. 유가금속 재자원화
다. 재제조
(3) 국내 연구개발 현황
(4) 국내외 특허출원 현황
(5) 순환경제 기술개발을 위한 재정투자 전망
3) 물질순환 기술 중장기 기술개발 전략
(1)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개발 전략
가. 순환경제를 위한 플라스틱 자원화 산업 미래전망
나. 순환경제를 위한 플라스틱 자원화 미래 기술 개발 방향
다. 기술 혁신에 따른 신산업 등장 및 기존 산업의 전환
(2)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개발 전략
가. 순환경제를 위한 유가금속 재자원화 산업 미래전망
나. 순환경제를 위한 유가금속 재자원화 미래 기술 개발 방향
다. 기술 혁신에 따른 신산업 등장 및 기존 산업의 전환
(3) 재제조 기술개발 전략
가. 순환경제를 위한 재제조 산업 미래전망
나. 순환경제를 위한 재제조 미래 기술 개발 방향
다. 기술 혁신에 따른 신산업 등장 및 기존 산업의 전환

제 2장 플라스틱 자원화・저감 기술
1.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 현황과 순환경제 미래전략
1) 국내외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 현황과 국내 대응
(1) 글로벌 동향
가. 플라스틱 폐기물 현황
나.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EU의 정책
다. 제5차 유엔환경총회 결의안; 플라스틱 오염 종식
(2) 국내 동향
2) 국제사회의 플라스틱 규제 현황
(1) 배경
(2) 국제사회의 플라스틱 규제 현황
가. 다자협력
나. 주요국 대응
(3) 평가 및 시사점
3) 플라스틱 순환경제 시나리오와 미래전략
(1) 플라스틱 순환경제 시나리오
가. 시나리오-전략-영향의 연계성
나. 지표 중심 2050 시나리오 구분
(2) 플라스틱 순환경제 환경영향
가. 온실가스 배출량
나. 천연자원 고갈 영향
다. 대기오염(PM2.5) 영향
라. 환경영향 분석 결과의 함의
(3)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개발 현황
가. 국내 R&D 현황(2012~2021년)
나. 국내외 플라스틱 재자원화 관련 기술 특허출원 현황
다. 플라스틱 재자원화 세부 기술 분석 결과    
라. 피인용 기준 기술 중심성(전체 특허수 대비 피인용수 또는 피인용 국가수) 분석 결과
(4) 플라스틱 순환경제 미래전략
가.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환에서의 취약영역 및 기회영역
나. 기술・산업 혁신 미래 전략
다. 정책제언
2.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동향과 전략 수립 방향
1)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1) 세부기술 정의
가. 개요
나. 탄소저감을 위한 폐플라스틱 자원화 방법
(2) 국내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현황
가. 기술개발 방향 전반(정책방향 및 투자계획) 
나. 특허 분석
다.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의 특성 
라.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사업 동향    
마. 추가적인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R&D 보도자료
(3) 해외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현황
가. 기계적(물질) 재활용 기술
나. 화학적 재활용 기술
다. 생물학적 재활용 기술
라. 요약 및 시사점
2)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개발과 방향
(1) 플라스틱의 기계적 재활용 기술 개발과 방향
가. 플라스틱 선별 고도화 기술 개발 
나. 고품질 플라스틱 재생원료 생산 기술 개발 
(2) 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기술 개발과 방향
가. PET 해중합 기술 개발
나. 플라스틱 열분해 기술 개발
(3) 바이오 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 개발과 방향
가. 바이오 플라스틱 선별 기술 개발
나. 바이오 플라스틱 생물학적 재활용 기술 개발
(4) 플라스틱 자원화 핵심 기술 개발
3) 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전략과 로드맵
(1) 석유계 플라스틱의 물질순환 기술 전략
가. (전략 1) 물질재활용의 고도화와 자동화(~2035년)    
나. (전략 2) PET 화학적 재활용 실증화 및 상용화(~2040년)
다. (전략 3) 열분해/가스화 기술 활용한 재활용 원료 생산 구축(~2045년)
(2) 바이오 플라스틱의 물질순환 기술 전략
가. (전략 1) 바이오 플라스틱의 생분해성, 독성 평가 및 처리 구축(~2040년)
나. (전략 2) 바이오 플라스틱의 미생물 분해 기술 개발(~2045년)
다. (전략 3) 바이오 플라스틱의 퇴비화 기술과 영향 인자 평가(~2045년)
3.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시장 및 기술 동향
1)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1) 기술 개요
가. 정의
나. 폐기물 발생단계에 따른 구분
(2) 국내외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3) 플라스틱 재활용 분야의 국내외 최신 산업 동향
가. 물리적 재활용 산업 동향
나. 화학적/열적 재활용 산업 동향
다. 스타트업 동향
라. 국내 연구개발 및 정책 동향
마. 국내외 협력 추진 현황
바. 해외 플라스틱 제품 규제 확대
2)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기술
(1) 산업 생태계 분석
가. 정의
나. 구조 및 특징
(2) 핵심기술 및 개발 동향    
가. 핵심요소기술
나. 발전방향 및 개발 트렌드
(3) 산업 전망과 시장규모
가. 산업 트렌드 및 성장 전망
나. 국내외 시장규모
(4) 국내외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
(1) 폐플라스틱 열분해 개념
가. 화학적 재활용 및 열분해 기술
나.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
(2) 국내 폐플라스틱 열분해 관련 주요 현황
가. 열분해 관련 정부 R&D 동향
나. 폐플라스틱 열분해시설 현황
다. 폐플라스틱 열분해 관련 정책 현황
(3) 해외 폐플라스틱 열분해 관련 시설 및 연구사례
가. 폐플라스틱 열분해 관련 시설 현황
나. 폐플라스틱 열분해 관련 연구사례
4. 미세플라스틱 관련 기술 및 저감 방안
1) 미세플라스틱 관련 정책 및 기술 동향
(1) 미세플라스틱 정의
(2) 미세플라스틱 오염 현황
(3) 미세플라스틱의 환경 및 건강 영향
가. 환경 영향
나. 인체 영향
(4) 국내외 미세플라스틱 관리 및 정책 현황
가. 해외 정책 현황
나. 국내 정책 현황
(5) 미세플라스틱 기술 동향
가. (미세)플라스틱 대체물질・소재
나.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모니터링
다. 미세플라스틱 위해성 평가
라. (미세)플라스틱 저감
2) 1차 미세플라스틱의 저감 방안
(1) 1차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발생원
가. 주요 발생원
나. 발생원으로서 개별 제품군 특성
(2) 1차 미세플라스틱의 대체물질과 기술 개발 현황
가. 대체기술 적용 주요 사례
나.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3) 발생원별 정책 제언: 주요 제품군별 저감 방안
가. 정책・관리 우선순위 분석 설계
나. 우선순위 분석 결과
다. 주요 제품군별 저감 방안
5. 플라스틱 대체재 관련 시장 및 기술 동향
1) 대체물질로서 바이오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역할
2)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및 기술 동향
(1) 개요
가. 정의 및 기술적 특성
나. 중요성
다. 분류 
(2)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동향
가. 세계적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성장
나. 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
다. 바이오플라스틱 효과 및 분석
(3)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4)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기술 동향
가. 종류별 기술개발 동향
나.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동향
(5)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정책 동향
가. 해외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3) 셀룰로오스 플라스틱 시장 및 기술 동향
(1) 개요
가. 정의
나. 중요성
다. 가치사슬
라. 분류
(2) 셀룰로오스 플라스틱 관련 산업 동향
(3) 국내외 셀룰로오스 플라스틱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4) 국내외 셀룰로오스 플라스틱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이슈
나. 관련 연구개발 추진 사례
다.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동향
4) 천연 나노섬유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및 기술 동향
(1) 개요
(2) 천연 나노섬유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동향
(3) 천연 나노섬유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기술 동향
(4) 천연 나노섬유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기업 현황

제 3장 유가・희유금속 재자원화 기술
1.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동향과 전략 수립 방향
1)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
(1) 세부기술 정의
가. 정보통신 디지털과 재생에너지 제품의 생산・소비 급격한 증가
나. 미래 폐자원의 발생과 자원순환의 필요성
다. 미래 폐자원의 기술 정의 및 범위
라.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마.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2) 국내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현황
가.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기술
나.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다.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라. 추가적인 유가금속 물질순환 R&D 보도자료
(3) 해외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 연구개발 현황
가.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기술
나.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다.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4) 요약 및 시사점
가. 미래 폐자원의 자원순환 필요성 
나. 기술
2) 유가금속 물질순환 산업 동향
(1) 국내외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 산업 규모 
가. 국내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산업    
나. 해외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산업    
(2)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산업 규모
가. 국내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산업
나. 해외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산업
(3) 국내외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규모
가.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나. 해외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3) 유가금속의 재자원화 전략
(1) 전기차 폐배터리의 유가물질 회수 기술 개발과 방향
가. 전기차 배터리의 재사용 기술 개발
나. 전기차 배터리의 물질순환 기술 개발
(2) 폐전기전자제품의 유가물질 재자원화 기술 개발과 방향
가. 폐전기전자제품의 물질순환 기술 개발
나. 드론, 3D 프린터, 반도체 장비 등 물질 순환 기술 개발
(3) 태양광 폐패널의 유가물질 재자원화 기술 개발과 방향
(4) 유가금속의 재자원화 핵심 기술 개발
4) 유가금속 재자원화 기술 전략과 로드맵
(1) 개요
(2) 유가금속 물질순환 기술 전략
가. (전략 1) 전기차 폐배터리의 재사용과 재활용을 통한 유가물질 회수와 물질 순환(~2050년)
나. (전략 2)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을 통한 유가물질 회수와 물질 순환 구축(~2040년)
다. (전략 3) 태양광 폐패널로부터 유가물질 회수와 물질순환 구축(2050년)
2. 희유금속 회수 및 재활용 기술 동향
1) 희유금속과 도시광산 산업 동향
(1) 희유금속 산업 동향
가. 정의 및 중요성
나. 각국 동향
다. 주요 희유금속 시장 동향
라. 희유금속 원재료 수급분석
(2) 도시광산 기술 및 산업 동향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도시광산 산업의 주요 이슈
다. 도시광산 핵심 요소기술
라. 도시광산 산업 동향 전망
마. 도시광산 산업의 주요 플레이어 분석
2) 희토류 회수 및 재활용 기술 동향
(1) 정의 및 범위
가. 희토류 정의 및 공급망 현황
나.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해외 주요국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3) 국내외 산업 동향
가. 글로벌 산업 동향
나. 국내 산업 동향
(4) 국내외 정책 동향
가.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5) 국내외 R&D 투자 동향
가. 주요국 R&D 투자 동향
나. 국내 R&D 투자 동향
3. 유가・희유금속 회수 및 재활용 연구 동향    
1) 건식 공정을 통한 리튬이차전지의 재활용 연구 동향
(1) 서론
(2) 리튬이차전지의 구조와 성분
(3) 건식제련 공정
가. 전처리 공정(Pretreatment process)
나. 배소 공정(roasting process)
다. 제련 공정(smelting process)
(4) 리튬 회수를 위한 추가 공정
가. 염화 배소(chlorination roasting)
나. 탄산수 침출(carbonated water leaching)
다. In-situ 환원 배소
(5) 결론
2) 습식공정에 의한 폐리튬이온전지(LIB) 재활용 기술 현황 및 전망
(1) 개요
(2) 습식 공정 분류
가. 침출(Leaching)공정
나. 정제(purification) 및 회수(Recovery) 공정
(3) 분리・회수 공정 분석
가. 단일 성분 추출 공정
나. 다성분 공추출(Co-extraction) 공정
다. Pre-loading 용매추출 공정
라. 불순물 제거 후 공침(Co-precipitation)에 의한 회수 공정
(4) 결론 및 전망
3) 백금족 금속의 제련과 폐촉매의 리사이클링
(1) 서론
(2) 백금족 금속의 생산량과 리사이클링
(3) 백금족 금속의 제련
가. 황화광으로부터 백금족 금속의 추출
나. 비철금속 제련공정에서의 백금족 금속 회수
(4) 백금족 금속의 리사이클링 기술
가. 건식법에 의한 백금족 금속의 농축
나. 백금족 금속의 침출과 환원
다. 백금족 금속의 분리와 정제
라. 폐촉매의 리사이클링
(5) 종합
4) 코발트의 제련과 리사이클링
(1) 서론
(2) 코발트의 생산량과 용도
(3) 코발트 제련
가. 코발트 자원과 제련 개요
나. 구리 광석 중 코발트 회수
다. 전 광석 침출법(Whole Ore Leaching, WOL)
라. 니켈 광석 중 코발트 회수
마. 코발트 침출액의 정제
(4) 코발트의 리사이클링
가. Li 이온 배터리의 리사이클링
나. 폐촉매의 리사이클링
다. 합금 스크랩의 리사이클링
(5) 종합

제 4장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1.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연구개발 동향과 전략 수립 방향
1)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1) 세부기술 정의
(2) 국내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연구개발 현황
가. 국내 재제조산업 현황
나. 국내 재제조산업 기술개발 현황
다. 추가적인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R&D 보도자료
(3) 해외 재제조 물질순환 기술 현황
가. 미국, 유럽, 일본
나. 글로벌 재제조 산업 방향 - 고부가 가치화
(4) 요약 및 시사점
가. 재제조 기술 필요성
나. 기술 현황
2) 재제조의 제품 순환 전략과 기술
(1) 순환경제를 위한 재제조 미래 산업의 분야와 성장 잠재력
(2) 순환경제를 위한 재제조 미래 산업의 전망과 장애요인
가. 재제조 산업의 미래 추이와 전망
나. 재제조 산업의 영향 인자
다. 재제조 산업의 10대 장애 요소
(3) 순환경제를 위한 재제조 산업의 성과 지표
3) 재제조를 통한 제품 순환 기술 전략과 로드맵
(1) 개요
(2) 재제조를 통한 제품순환 기술 전략
가. (전략 1) 전기전자제품의 재제조 산업 활성화 구축(~2040년)
나. (전략 2) 의료 장비 제품의 재제조 산업 활성화 구축(~2045년)
다. (전략 3) 기계 장비 산업의 재제조 산업 활성화 구축(~2050년)
2. 자동차 및 산업기계 재제조 부품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필요성
(3) 가치사슬
(4) 분류
가. 기술별 분류
나. 재제조 공정 분류
2) 자동차 재제조 부품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1) 산업 동향 분석
가. 재제조 부품 산업
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
다. 재제조제품에 대한 공공기관 사용 확대가 필요
(2) 국내외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3) 국내외 자동차 및 산업기계 재제조 부품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재제조 부품 평가기술
나. 성능 복원을 위한 기술개발
다.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상생
(2)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다. 국내 중소・중견기업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자동차 및 산업기계 재제조 부품 분야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동향
가. 특허 증가율
나. 특허 점유율
다. 특허 영향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 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도표(그림) 목차

 

 

 

 

물질순환 미래 핵심기술 R&D 전략 -플라스틱 폐기물/유가금속/재제조-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2050탄소중립이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대두되었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서 제품의 전 주기에 걸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www.techforum.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