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 기술보고서

헬스케어 4.0 시대 국내외 의료산업 패러다임과 신개념 의료기기 트렌드

by 테크포럼북스 2018. 8. 1.



http://shoppinghub.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129676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774쪽 (A4)
ISBN: 979-11-5862-075-2 (93500)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기계학습, 로봇공학, 나노기술, 3D Printing, 유전학 및 생명공학기술 등 서로 단절되어 있던 분야들이 경계를 넘어 융⋅복합을 통해 발전해 나가는 ‘기술혁신(Technological Innovation)’의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헬스케어 4.0 시대, 의료산업에도 발전된 IT 기술과 의료기술과의 융합으로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병원 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지능화, 고도화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등 경계와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헬스케어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헬스케어와 빅데이터’의 결합,  ‘헬스케어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밀의학, 유전체 분석, 유전자 진단 등이 가능해지며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 의료 서비스 패러다임이 변화했다. 의료기기 산업 또한 의약품과 의료기기가 융합된 combination product의 등장, IT와 BT가 결합된 신개념 의료기기가 등장하는 등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이 이뤄지며 지속적인 변화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의료산업의 티핑포인트를 되짚어 보고, 이를 통해 미래 의료산업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글로벌 헬스케어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고자 「헬스케어 4.0 시대 국내외 의료산업 패러다임과 신개념 의료기기 트렌드」을 발간하였다. 본서Ⅰ편에서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글로벌 헬스케어산업동향 및 3D 프린팅・ICT 기반・로봇・신소재 의료기기 등 신개념 의료기기를 소개하였으며, 2편에서는 ICT 융합 의료산업과 헬스케어 AI, 헬스케어 빅데이터 등 헬스케어 4.0 시대를 이끌 핵심 패러다임을 분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헬스케어 산업
제 1장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헬스케어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헬스케어
1) 4차 산업혁명과 의료산업의 미래
(1) 4차 산업혁명이 의료산업에 미친 영향
가. 자동화
나. 정밀화
다. 일상화
라. R&D 효율화
(2) 4차 산업혁명이 바꿀 융복합 의료산업의 미래
가.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
(a) 치료 방식의 종합적 변화
(b) 미래 헬스케어 산업에 가져올 변화
나. 의료기기의 미래
(a) ICT 기반 의료기기
(b)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c) 로봇의료기기
다. 의료업과 4차 산업혁명 사례
2) 의료산업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끈 티핑포인트
(1) 사물인터넷(The Internet of and for Things)
(2) 웨어러블 인터넷(Wearable Internet)
(3) 이식기술(Implantable Technologies)
(4) 새로운 시각 인터페이스(Vision as the New Interface)
(5) 주머니 속의 슈퍼컴퓨터(A Supercomputer in Your Pocket)
(6)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7) 커넥티드 홈(The Connected Home)
(8) 의사결정에 빅데이터 활용(Big Data for Decisions)
(9) 인공지능과 의사결정(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10) 로봇과 서비스(Robotics and Services)
(11) 3D 프린팅과 제조(3D Printing and Manufacturing)
(12) 3D프린팅과 인간의 건강(3D Printing and Human Health)
3) 4차 산업혁명이 이끈 헬스케어 산업의 주요 변화
(1) 정밀의학 (Precision medicine)
(2) NGS; 인간 유전체 분석- 노바섹(NovaSeq)
(3) 유전자진단- 왓슨 (Watson for oncology)
4)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진단
(1) 한국 헬스케어산업의 약점
가. 기술
나. 특허등록
다. 투자
(a) 정부
(b) 기업
라. 인력
마. 법․제도
(2) 국내 산업의 경쟁력 수준
가. 의료‧건강서비스 : 플랫폼 경쟁력 취약
나. 의약품 : 자본력과 기술력 부족
다. 의료기기 : 기술격차 심화
(3)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회요인 : 데이터, 인력, IT
가. 세계 최고의 바이오 데이터 확보
나. 풍부한 우수 인력 보유
다. 우수 ICT 기술 및 의료 한류
(4) 극복 과제 : 데이터 활용, 규제, 기술력, 산업 생태계
가. 의료·건강서비스 : 데이터 활용 및 비즈니스 모델 미흡, 규제
(a) 보유한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
(b) 다양한 기업의 협력을 통한 혁신 서비스 부재
(c) 기술발전과 괴리된 규제
나. 의약품 : 혁신적 신약개발 역량 부족, 벤처 지원 미흡
(a) 글로벌 수준의 신약 개발 역량 부족
(b) 창의적‧혁신적 기술의 원천인 벤처에 대한 투자 미흡
다. 의료기기 : 제품 경쟁력 부족, 시장진입 장벽
(a) 낮은 제품 경쟁력과 R&D 사업화 부진
(B) 국내외 시장진입 장벽
(5)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 전략
가. 바이오 빅데이터 활용 촉진 및 비즈니스 창출
(a)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b) 빅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창출
나. 혁신 서비스 개발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 해소
(a) 旣 파악 규제 해소
(b) 바이오 규제개선 옴부즈만 운영
(c) 바이오 신산업 분야 네거티브 규제 도입
다.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역량 강화
(a)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집중 투자
(b)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신약개발 기반 조성
(c) 맞춤형 신약개발 전문서비스 기업 육성
라. 산업경쟁력 확충을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
(a) 창업 활성화를 통한 혁신 공급 지속
(b)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생태계 구축 지원
(c) 바이오시밀러 등 현재 보유한 강점 강화
마.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기반 의료기기 개발
(a)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융합형 신개념 의료기기
(b) 병원 수요 연계 및 다부처 공동R&D 협력
(c) 거점기관별 지원인프라 활용 사업화 촉진
바. 의료기기, 국내외 시장진입 지원 강화
(a) 국산 의료기기 성능‧신뢰성 확보 지원
(b) 글로벌 시장 맞춤형 인허가 지원
(5) 시사점
5) Appendix
(1) 글로벌 주요 헬스케어 기업
(2) 의료산업의 티핑포인트
(3) 의료산업의 미래 직업
2.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1)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개요
(1) 헬스케어의 정의
(2) 범위 및 분류
가. 범위
나. 분류
2) 4차 산업혁명과 국내외 주요 정책동향
(1)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으로 4차 산업혁명 본격 시동
가. 4차 산업혁명 주도를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주요 내용
(a) 서비스-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규제 해소
(b) 의약품-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및 혁신 생태계 조성
(c) 의료기기- 융합 의료기기 개발 및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
나. 부처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추진 현황
(a) 미래부-국방부, 60만 장병 의료정보 빅데이터 공동연구 추진
(2) 모바일 헬스케어 연구개발 착수
(3) 스마트 헬스케어 활성화 방안
(4) 바이오 헬스 7대 강국 도약
(5) 세계보건기구 국가 e-헬스전략 툴킷 가이드라인 발표
(6) 일본 정부, 「미래투자전략 2017」 - 건강수명연장
가. 데이터 이용・활용기반 구축
나. 보험자・경영자에 의한 ‘개인의 행동변용 본격화’
다. 원격진료, AI개발・실용화
라. 자립지원으로 향한 과학적 개호의 실현
마.  혁신적인 재생의료 등 제품 등의 창출 촉진, 의료・개호 국제전개 추진
(7) ICT 융합 신산업정책
가. 일본
나. 미국
다. 스웨덴
(8) 스타트업 활성화
가. 미국
나. 영국
(9) 의료정보 활용 촉진
가. 미국
나. 일본
다. 영국
(10) 의료정보 보호체제 개선
(11) 해외 진출 지원
3) 바이오헬스 산업 이슈 및 동향
(1) 현황
가. 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 및 전망
(a) 의료‧건강서비스
(b) 의약품
(c) 의료기기
나.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바이오헬스 산업 변화의 특징
(a) 데이터 기반 제품‧서비스
(b) 개인 맞춤형 제품‧서비스
(c) 다양한 기업 참여
(2) 산업이슈
가. 의료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나. 인구의 고령화와 만성질환자 증가로 인한 사회적 니즈 발생
다. 헬스케어 디바이스 발전
라.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플랫폼
(3) 국내외 산업 동향
가. 의료‧건강서비스 :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
(a) 서비스 플랫폼 구축
(b) AI 활용 진단보조
(c) 다양한 건강관리서비스
나. 의약품 : 개인 맞춤 신약 개발
(a) 유전정보 기반 신약개발
(b) 맞춤 의약품 추천(B2C)
(c) 신약개발 지원 서비스(B2B)
다. 의료기기 : 새로운 의료서비스를 창출하는 新의료기기 개발
(a) 지능형 의료기기 출시
(b) 환자 맞춤형 인공장기 연구
(c) 첨단기술 융합 가속화
(4) 핵심 플레이어 동향
가.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 동향
나. 헬스케어 디바이스 업계 동향
다. 헬스케어 서비스 동향
(5) ‘Forward’로 보는 미래 병원의 모습
가. 최신 기술 활용을 통해 현장 진단 효율성 개선
나. 토탈 케어 솔루션 제공
4) 4차 산업혁명 의료부문 특허 동향
(1) AI(인공지능) 적용 주요 의료 기술
가. 주요 플레이어 분석
나. 주요 출원인의 제품/서비스 시나리오
(a) Google
(b) Siemens
다. 시사점
(2) 헬스케어 IoT 주요 특허동향
가. IoT 센싱 디바이스
(a) 의료용
(b) 일반용
나. IoT 데이터 전송
(a) 데이터 보안
(b) 데이터 인증
다. IoT 데이터 저장/분석/가공
(a) 데이터 저장
(b) 데이터 저장
(c) 데이터 활용
라. IoT 응용 서비스
(a) 의료 서비스 제공모델
(b) 개인웰니스 서비스 제공모델
(c)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모델
(d) 의료/의약 서비스 제공자 정보관리
(e) 의료/의약 서비스 사용자 정보관리
제 2장 차세대 신개념 의료기기
1. 3D 프린팅 의료기기
1) 개요
(1) 정의 및 기술 개요
가. 정의
나. 기술 개요
(2) 개념 및 원리
가. 개념
나. 원리
2) 국내・외 3D 프린팅 시장 현황 및 활용사례
(1) 국내・외 3D 프린팅 의료기기 시장
(2) 국내・외 기술 현황
가. 3D 프린팅 주요 기술 및 소재
(a) 기술
(b) 소재
(c) 기술수준평가
(3) 3D 프린팅 의료기기 활용 사례
가. 해외 활용 사례
나. 국내 활용 사례
(a)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국내 허가 현황
(b)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국내 신고 현황
3) 특허 및 임상, 논문 현황
(1) 특허 현황
가. 국내・외 3D 프린팅 특허 현황
(2) 특허 사례
(a) 해외 특허 사례
(b) 국내 특허 사례
(3) 임상 현황
가. 국내・외 3D 프린팅 임상 현황
나. 국내・외 임상 활용 사례
(4) 논문 현황
가. 국내・외 3D 프린팅 관련 논문 현황
4) 기술 개발 동향
(1) 새로운 변화
가. 공정시간 단축
나. 소재의 변화
다. 치료 방식의 변화
(2) 국제 규격 표준화 동향
가. ISO TC261-Additive Manufacturing
나. 표준 제정 현황
다. SASAM 프로젝트
라. IEEE Industry Standard Technology Org. Printer Working Group(이하 PWG)
마. DICOM
바. 3D PDF Consortium
(3) 3D 프린팅 의료기기 개발 전망
(4) 3D 바이오 프린터 개발 현황
가. RegenHU(스위스) - 3DDiscovery, Bio factory
나. 3D Bioprinting Solution(러시아) - FABICON
다. Aspect Biosystem(캐나다) - Lab-on-a-printer
5) 인공조직·장기 제조를 위한 3D 바이오 프린팅 시스템
(1) 인공지지체 기반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2) 3D 세포 프린팅 기술
가. Organovo
나. Cyfuse Biomedical
6) 인공조직·장기 제작기술
(1) 인공 피부
(2) 인공 간
(3) 인공 심근
(4) 인공 근육
(5) 인공 뼈
(6) 인공 혈관
2. ICT 기반 의료기기
1) ICT 기반 의료기기 개요
(1) 개요
가. 국내 다양한 ICT 기반 의료기기 설명
(a) 삼성경제연구소
(b) 대외경제정책연구원
(c) 식품의약품안전처
나. 분류
2) ICT융합 헬스케어 현황
(1) 시장현황
가. 전통의료 기술 및 시장의 쇠퇴
나. ICT융합 건강의료 서비스 요구
(a) 환경적 요인
(b) 경제적 요인
(c) 기술적 요인
(2) 국내외 ICT융합 헬스케어 현황
가. 국내사례
(a) 보건복지부(지역사회 1차의료 시범사업)
(b) LG CNS(의료 포털 IT서비스)
(c) 삼성(심밴드와 SAMI)
나. 해외사례
(a) 미국(IBM’s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활용 Watson)
(b) 독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간 수술)
(c) 영국 (콜체스터 종합병원 M2M 시스템)
(3) U-헬스케어 현황
가. u-Health 서비스
나. 웨어러블 헬스케어
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융합 헬스케어
3) 국내・외 의료기기 시장 현황
(1) 국내・외 시장 규모
(2) ICT 기반 의료기기 국내・외 정책 동향
가. 해외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다. ICT 기반 의료기기 관련 지원 과제 현황
3) 국내・외 기술 현황 및 활용 사례
(1) 기술현황
가. ICT 기반 의료기기 기술
나. ICT 기반 의료기기 기술 동향
(a) 해외 동향
(b) 국내 동향
(2) ICT 기반 의료기기 활용사례
가. 해외 활용 사례
나. 국내 활용 사례
(3) 기술 개발 동향
가. ICT 기반 의료기기 핵심기술
나. 국제 규격 표준화 동향
(8) ICT 의료기기 기술 개발 전망
4) 특허 및 임상 현황
(1) 특허 현황
가.  표준화 관련 항목 대상 특허 현황
나. ICT 기반 의료기기 특허 출원 동향
(2) 임상 현황
3. 로봇 의료기기
1) 로봇 의료기기 개요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다. 수술로봇의 변천사
라. 수술로봇의 구성요소
마. 수술로봇의 분류
(2) 국내・외 로봇 의료기기 시장
가. 국내・외 시장 규모
나. 국내・외 정책 동향
(a) 해외 정책 동향
(b) 국내 정책 동향
(3) 국내・외 기술 현황
가. 로봇 의료기기 주요 기술
(a) 로봇 메커니즘 설계기술
(b) 제어 및 운용기술
(c) 시뮬레이션기술
(d) 수술용 로봇 관련 기술
(e) 의료용 내비게이션기술
(f) 재활 및 기타 의료로봇 관련 기술
(g) 기술 수준 평가
(4) 로봇 의료기기 활용 사례
가. 해외 활용 사례
나. 국내 활용 사례
(5) 특허 및 임상 현황
가. 특허 현황
(a) 로봇 의료기기 특허 현황
(b) 수술용 로봇 의료기기 특허 동향
나. 임상 현황
(a) 해외 임상 현황
(b) 해외 임상 사례
(c) 국내 임상 현황
(6) 기술 개발 동향
가. 로봇 의료기기 개발 기술
(a) 자율 수술 로봇
(b) 마이크로 혈관 치료 로봇
(c) 박테리아 기반 의료 로봇
(d) 원격 상담 로봇
(e) 높은 수술 안정성을 갖는 척추융합 수술 로봇
(f) 3D 프린터와 로봇 의료기기 융합
(g) 뇌졸중 환자 맞춤형 재활 로봇
(h) 환자 맞춤형 재활 치료 로봇
나. 국제 규격 표준화 동향
(a) 국제 규격 표준화 단계
(b) 의료·수술·재활로봇 표준
(c) 국제적 연구동향을 통해 파악된 시사점
(d)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수술로봇 연구개발 동향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e) 의료로봇분야 국내 기술수준 (KISTEP, 2015)
(f) 신 시장 개척을 위하여 요구되는 신기술
(7) 로봇 의료기기 개발 전망
4. 신소재 의료기기
1) 개요
(1) 신소재 의료기기의 개념 및 정의
가. 개념
나. 생체재료의 정의 및 소재
(a) 생체재료
(b) 소재
(c) 적용분야
2) 신소재 의료기기 시장
(1) 생체소재 시장규모 및 전망
(2) 생체재료용 고분자 시장규모 및 전망
(3) 생체분해성 고분자 시장규모 및 전망
3) 신소재 의료기기 활용 사례
(1) 생분해성 봉합사
(2) 생분해성 이식형 배터리
(3) 생체 흡수성 마그네슘 합금 개발 연구
(4) 체내에서 녹는 의료기기 개발 임상시험 승인
(5) 생분해성 관상동맥 스텐트
(6)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한 이식용 메쉬
(7) 기타 활용 사례
4) 특허 및 임상 현황
(1) 특허 현황
가. 국내・외 신소재의료기기 특허 현황
나. 특허 사례
(a) 해외 특허
(b) 국내 특허 사례
(2) 임상 현황
가. 국내외 신소재의료기기 임상 현황
나. 임상 사례
(a) Internal Fixation Of Lateral Humeral Condyle Fractures With Absorbable Screws In Children(중국, NCT02733666)
(b) A Comparison of Metallic Staples Versus Absorbable Staples After a Cesarean Section(C-Section), (NCT01198691)
(c) Rapidly Absorbable Versus Non-absorbable Sutures for Mohs Surgery Repair on the Face: a Randomized Controlled Split-scar Study (RAVNAS)(영국, NCT01932359)
(d) Evaluation of Dermal Closure With an Absorbable Barbed Suture 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Absorbable Suture(미국, NCT00959374)
(e) Use of Insorb Absorbable Vicryl Staples in Skin Closure for Cesarean Section(미국, NCT01446627)
(f) AbsorbaTack Evaluation of Postoperative Pain Following Laparoscopic Hernia Repair(미국, NCT00749268)
(g) Absorbable Suture Versus Tissue Glue to Repair Defects Following Mohs Surgery(미국, NCT01298167)
5) 기술 개발 동향
(1) 신소재 의료기기 핵심 기술
가. 생체고분자 표면 처리기술
나. 생분해성 금속 제작 및 부식 제어 기술
다. 생분해성 소재의 성형 및 가공 기술
라. 혈액 적합성을 위한 표면 처리 기술
마. 의료용 투과막의 제작 기술
(2) 국제 규격 표준화 동향
6) 신소재 의료기기 개발 전망 및 시사점
(1) 국내현황
가. 개발전망
나. 미비점
다. 시사점
(a) 3D 프린팅 산업
(b) ICT 기반 의료기기
(c) 로못 의료기기
(d) 신소재 의료기기
제 3장 글로벌 헬스케어 동향
1. ’18년도 생명‧의료 분야 정부 R&D 투자방향
1) 투자현황
2) 주요정책 및 사업
(1) 주요정책목표
(2) 주요사업
3) 투자성과 및 평가
(1) 성과
가. 과학적 성과
나. 기술적 성과
다. 경제적 성과
(2) 평가
가. 민간투자 부족
나. 부처협력 미흡
다. 인‧허가 만족도 저조
4) 기술동향 및 미래전망
(1) 각 분야별 기술동향
가. 신약
나. 의료기기
다. 뇌과학
라. 유전체
마. 줄기세포
바. 바이오융·복합
사. 임상‧보건
5) ’18년도 투자방향
(1) 각 분야별 투자방향
가. 신약
나. 의료기기
다. 뇌과학
라. 유전체
마. 줄기세포
바. 바이오융 복합
사. 임상·보건
6) 정부-민간 역할분담
(1) 바이오의약품(신약 분야)
가. 정부 R&D 역할 모델 : 기술 공급자 + 시장 조성자
(a) 시장창출시기 : 장기
(b) 민간 R&D 역량 : 낮음
나. 정부-민간 역할분담을 고려한 정부 R&D 지원전략
(a) 기본방향
(b) 초기단계 및 융합분야 투자 강화
(c) 민간투자 여건조성
(2) 융복합 진단·의료기기(의료기기 분야)
가. 정부 R&D 역할 모델 : 기술 공급
(a) 시장창출시기 : 단기
(b) 민간 R&D 역량 : 낮음
나. 정부-민간 역할분담을 고려한 정부 R&D 지원전략
(a) 기본방향
(b) 핵심특허 확보
(c) 국제표준 대응 강화
7) 투자효율화 방향
(1) 다부처사업
(2) 부처간/사업간 연계
(3) 상향식 과제 발굴
2. 글로벌 보건의료 시장동향
1) ‘17년도 상반기 글로벌 보건의료 R&D 정책동향
(1) 미국 국립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가. 예산 집행 현황 및 향후 계획
나. 새로운 연구 지원체계
다. 효율적인 임상시험 승인 절차를 위한 새로운 계획서 양식 발표
라. DNA 인자 백과사전(Encyclopedia of DNA Elements) 프로젝트 확대
마. NIH 주요 연구 진행상황
(2) 미국 국립과학재단 생물과학국
가.  생물학적 지식을 발전 및 과학 분야의 독창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 제공
나.  국립보건원과 미 농무부 공동 감염성 질환 생태학 및 진화프로그램 지원
다.  CyVerse 프로젝트
라.  신경과학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NeuroNex) 진행
마.  식물 게놈 연구 프로그램(Plant Genome Research Program) 개요
(3) 미국 빌 앤 멜린다게이츠 재단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가.  오픈 액세스 정책이 적용됨에 따라 주요 저널지의 재단 지원 연구논문 열람 허용
나.  보건지표 및 평가 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다.  2017년 10월, 워싱턴 D.C에서 제 13차 그랜드 챌린지 회의 개최
라.  BMGF 2017년 하반기 빌 앤 멜린다게이츠 의학연구소 설립 추진
(4) 캐나다 보건연구원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가.  마약 및 약물 전략 국가 전략 발표(2016.12)
나. 2016년 9월 국제 평가 전문가 패널 구성
(5) 유럽위원회 (Europe Commission)
가.  보건의료 분야 디지털화 촉진 이니셔티브 수립
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유럽의 단일 보건의료시행계획
다.  항생제 내성 연합 프로그램 이니셔티브 수립
라.  2018∼2020년 보건의료 R&D 지원 분야 우선순위 선정
마.  2017년 3월 한국, 감염병 대응 국제 연구협력 회의 개최
바.  파리, 제 3차 희귀질환연구 국제협력 컨소시엄회의 공동 개최(2017.02)
사.  제 6차 환경 보건 장관회의 개최(2017.06)
(6) 영국 의학 연구회(Medical Research Council)
가.  치매 치료 분야 400명 이상의 연구 커뮤니티 기반 마련
나.  영국 보건 데이터 연구소(Health Data Research UK) 설립
다.  MRC와 AMED가 의료연구 및 개발 분야 연구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 체결
라.  2018년 4월, 영국연구혁신청(UK Research and Innvation) 설립 예정
마.  케터폴트 센터(Catapult center) 신약개발 케터폴트 센터와 통합
(7) 영국 웰컴 트러스트 (Wellcome Trust)
가.  웰컴 트러스트, EU 회원국의 지속적인 협력강조 메시지를 전달
나.  공중보건 비상사태 데이터 공유 시행계획 수립
다.  코호트 연구 지원 전략 수립
라.  웰컴 공개연구(Open Research) 플랫폼 발표
마.  과학 발견 및 보건 관련 혜택을 극대화를 위한 공개연구 TF 팀 조직(2017.02)
(8) 프랑스 국립 건강의학연구소
가.  INSERM 윤리위원회, CRISPR/Cas9 윤리문제 관련 회의 소집
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유럽 공동대응 현황
다.  보건의료 데이터시스템 접근성 법규 개정
라.  3개의 공동 주관기구 및 12개 회원국이 협력하는 글로벌 보건 위기 TF팀 구성
마.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조치 업데이트
바.  2017년 2월 신흥감염에 대한 백신-글로벌 예방책 컨퍼런스 공동 개최
(9)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Pasteur Institute)
가. 기술 서비스 유닛으로 대체된 파스퇴르연구소의 기술 플랫폼 재편 검증
나.  모기로 전염되는 질병에 대항하기 위한 1억 유로 규모 프로젝트 공식 승인
다.  타기관과의 파트너쉽 및 연구 네트워크 강화
(10) 독일연구재단 (Deutche Forschungsgemeinchaft)
가. 독일 우수성 전략(Excellence Strategy) 개요
나. 연구의 재현성에 대한 성명서 발표
다. 연구와 전문의학교육의 더 나은 균형 모색에 대한 성명서 발표
라. 독일 대학의학에 대한 공동 전문가 토론회 개최
마. 과학의 행진 시위 활동 후원
(11) 스웨덴 연구협의회 (Vetenskapsradet-Medicine)
가. 스웨덴 연구협의회 2017년 예산 현황
나. 지식을 위한 협업-사회의 도전과 경쟁력 강화 연구정책 법안 의회 제출
다. 스웨덴 내 임상연구 평가 진행
라. 과학 협의회를 위한 전략적 계획 수립
마. 단백질 연구, 연구방법 개발 및 생물제제 생산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개요
바. 고령화 및 보건 분야 연구 지원
사. 항생제 내성에 대한 합동 프로그램 이니셔티브
아. EU 및 ASEAN 공동 기금 설립
(12)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
가. 희귀질환 및 미진단 질병 이니셔티브(IRUD) 및 중앙 IRB(CIRB) 업데이트 현황
나. 임상연구를 위한 ICT 인프라 개발
다. 임상연구 권한강화를 위한 주기적 혁신 개요
라. 만성질환에 대한 국제연합(Global Alliance for Chronic Dseases) 참여
마. 인간 첨단과학 프로그램(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 소개
바. 미국-일본 의료과학 프로그램 지원 요청
사. AMED와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 협력양해각서 체결
아. 치매연구 분야 2개 국제 협력 프로젝트 지원
자. 2017년 2월 세 번째 AMED 런던 지사 설립
(13) 중국 의학과학원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
가. 2016년 중국 의학과학원 보건의료 혁신 기금 수립
나. 중국 의학과학원 보건의료 혁신 기금 전략 1년차 성과평가 완료
다. 해외대학 및 연구소와 국제 연구협력 전략 구축
라. 중선전(Shenzen)시와 중국 의학과학원, 암병원, 종합 임상 암 연구센터 설립
(14)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가. A*STAR, R&D 투자·고용 창출·보건의료 사업 및 펀딩기관 파트너십 구축 등
나. A*STAR 내의 바이오 의학 연구위원회 전략 목표 제시
다. 공공부문에서의 신약개발
라. 싱가포르 보건의료 R&D 연구 우선순위로 5가지 질병 지정
(15) 인도 의학연구위원회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가. ICMR 5개년 신규 보건연구전략(New Health Research Strategy) 수립
나. 노르웨이 연구위원회, NIH, 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
다. ICMR–인도 당뇨연구(ICMR-INDIAB) 연구 현황
라. 국내 및 국제기관과의 협력 통해 인도 결핵연구 컨소시엄 설립 이니셔티브 창안
마. 뎅기열 대응 연구 협력 위해 ICMR과 호주 Monash 대학 간 양해각서 체결
라. ICMR의 국립영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Nutrition), 개정된 식품성분표 발표
마. 인도, 아프리카 간 보건의료 분야 협력 토대 마련
바. 인도-아프리카 보건과학 회의 개최
(16) 뉴질랜드 건강연구위원회 (Health Research Council of New zealand)
가. 연구지원 성공률 증가
나. 국제 연구협력 체결
(17) 호주 국립 건강 의료 심의회
가. NHMRC의 새로운 연구보조금 지원 구조 발표
나. 국립 연구 인프라 로드맵 설립
다. 부정행위 지침 및 윤리규정 제정
(18) 남아프리카 의학 연구 위원회 (South African Medical Research Council)
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역 결핵 관찰 연구(RePORT-SA) 조직
나. 남아프리카 과학 기술부, 노바티스(Novartis)와 SAMRC 양해각서 체결
다. SAMRC와 베이징 유전체학 연구소(Beijing Genome Institute) 양해각서 체결
라. 다양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형성
(19) 아프리카 과학발전촉진연합 (Africa Academy of Sciences)
가. AESA 프로그램 개요
나. 국제 파트너십 구축
3. 국가별 과학기술·ICT 주요 동향
1) 미국
(1) 과학기술・ICT 정책동향
가. 연방정부 지원 R&D의 지역경제 발전 위한 영향력 극대화
나. 미 연방정부 대학 R&D 지원금 2015년까지 4년 연속 감소
다. 기술 격차 감소로 첨단 제조 발전과 연간 1,000억 달러 비용 절감 가능
(2) 과학기술∙ICT 연구동향
가. 미국 기업 R&D 인력 고용 현황
나. 미 국립보건연구원(NIH)의 전염병 추적을 위한 빅데이터 이용 노력 효과
다. 휴대폰에 남은 분자 분석으로 모든 개인 생활 확인 가능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 이민 정책 실리콘밸리 벤처기업 위협
나. 스탠포드, MIT 졸업생 스타트업 창업 및 투자 유치 실적 선두
다. 세계은행그룹 기후 기업 혁신 네트워크 출범
2) EU·벨기에
(1) 과학기술·ICT 정책 동향
가. EC의 공동농업정책(CAP)과 디지털단일시장
나. 미국 트럼프 당선이 EU 과학기술정책에 미칠 영향 전망
(a) 국방R&D
(b) 기후변화
(b) 기술사업
(2) 과학기술∙ICT 연구동향
가. EU, 생체촉매를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화학제품 제조법 발견
나. EU, 가상현실(VR)를 활용한 뇌졸중 환자 재활치료법 개발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가. 세계 최초의 3D 프린터기 요리 레스토랑, 런던 개업
나. 네이버,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첫걸음으로 프랑스 벤처캐피털에 1억 유로 투자
다. EIF, EC와 공동으로 벤처캐피털 섹터 강화 계획 ‘Fund of Funds’ 발표
(a) ‘Fund of Funds’ 프로그램 개요
3) 스웨덴(Sweden)
(1) 과학기술∙ICT 정책동향
가. 심혈관계 질환 사망자 증가 - 의학 연구 투자로 해결해야
나. 스웨덴 정부, 의학/생명과학 연구에 추가 지원
다. 2016년 Nobel Week 주요 일정
(2) 과학기술∙ICT 연구동향
가. 피부 박테리아의 피부질환 예방 기능 발견
나. 웁살라대, EU 주요 대학들과 새로운 연구 협력 네트워크 ‘The Guild’ 결성
(a) The Guild 네트워크의 9가지 협력 원칙
다. 스웨덴 우주 분야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인큐베이터 ESA BIC 설립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가. 스웨덴 부동산 업체, 가상현실을 이용한 주택 전시 늘리기로
나. 스웨덴의 결제대행사 Klarna, 실패한 독일 핀테크 기업 Cookies 인수
다. 스웨덴 왕립공대(KTH) 산-학 협력 지원 (KTH Business Liaison)
4) 러시아 (Russia)
(1) 과학기술∙ICT 정책동향
가. 대통령 산하 경제현대화 및 혁신발전 이사회, 러시아 지역 혁신 발전 승인
나.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기업활동 향상을 위한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 추진
다. 러시아 교육과학부, 프랑스와 과학 협력 방안에 관해 논의
(2) 과학기술∙ICT 연구동향
가. 나노 약품컨테이너의 암 치료 효과 제고
나. <에네르기야>사, 2031년 달에 첫 러시아인 정착 계획 공표
다. Yandex사 신경망에 근거한 검색엔진 출시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가. 러시아 기술기반 기업의 발전 가능성 모색
나. 러시아 연방 피부은행 설립
다. 러시아기술공사, 시속 30km로 움직일 수 있는 외골격 구조기술 개발
5) 중국 (China)
(1) 과학기술∙ICT 정책동향
가. 100만 명의 DNA와 건강정보 분석, 생명과학 강국으로 도약
(a) 세계의 DNA 시퀀싱 공장
(b) 중국 유전자 분석의 최첨단을 이끌고 있는 아이카본엑스
나. 티엔마오 쌍11 글로벌창업지혜생태정상 회담
다. T100 신기술·신제품 혁신행동’ 발표회, 블랙 테크놀로지(Black Technology)’ 백강(百强) 명단 발표
(a) 신기술·신제품 TOP100의 특이점
(2) 과학기술∙ICT 연구동향
가. 중국 첫 번째 AIS 상업용 위성, 2017년 상반기에 발사 예정
나. Ka고속‧대용량 위성의 도움으로 ‘일대일로’의 통신서비스 빠르고 넓게 확산
다. 태평양 서안경계류 연구에서 중요한 진전을 얻어.. 네이처에 발표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가. 쌍11 쇼핑데이 징동(京东) 무인기 시리즈 처음으로 나타나
나. 중국이 독자 개발한 중국 첫 우주펜, 많은 특허 받아
다. K스타트업, 중국 자본 앞에 서다
6) 일본 (Japan)
(1) 과학기술∙ICT 정책동향
가. 국립대학 이학부장 회의 성명서 - 기초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 요청
나. JSPS 과연비 연구비 지급 및 탄력적 운영
다. 국립대학진흥의원연맹 제안 - 국·공립대학 관계 예산 확충
(2) 과학기술∙ICT 연구동향
가. iPS : 인공지능(AI)으로 품질관리 - 교토대학과 이화학연구소가 공동연구
나. 이화학(연) : 게놈 편집의 신기술 개발 - 비 분열 세포에 효과적인 유전자 Gene knockin 법 “HITI”
다. IT·정보통신 동향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가. KDDI 벤처기업 육성 : 무겐라보 사업
나. 특허청 : 사물인터넷(IoT) 특허 신속 검색
다. 인공지능(AI) 활용을 통한 재난 피해 경감 - 정보통신연구기구: D-SUMM 활용
4. 분야별 헬스케어 산업 트렌드 및 전망
1) 제약/바이오 분야(Pharmaceuticals and Biotechnology)
(1) 2016년 제약/바이오 분야 주요 트렌드
가. 뇌과학 분야 투자 증가
나. 유전자 편집기술의 상업적 연구
다. 약가 규제에 대한 미국 정부의 관심 증대
라. 유전자치료제 미국시장 출시 임박
마. 의약품 부족현상 지속
바. 보험약제관리기업(PBM) 통합 추세
(2) 2016년 제약/바이오 분야 시장 현황
2) 의료기기 분야(Medical Device)
(1) 2016년 의료기기/기술 분야 주요 트렌드
가. 3D 프린팅 통한 맞춤형 임플란트
나. 드론을 이용한 의약품 전달
다. 치료결정 지원과 예측분석의 통합
라. 제공기관의 사이버 보안 요구
마. 로봇 치료의 부상
(2) 2016년 의료기기 분야 시장 현황
3) 환자 모니터링 분야(Patient Monitoring)
(1) 2016년 환자 모니터링 분야 주요 트렌드
가. 건강한 삶을 위한 웨어러블 공급
나. 모바일헬스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
다. 저렴한 일회용 웨어러블 모니터링
라. 환자 데이터 소유권 논쟁
(2) 2016년 환자 모니터링 분야 시장 현황
4) 의료영상장비 분야(Medical Imaging Equipment)
(1) 2016년 의료영상장비 분야 주요 트렌드
가.  리퍼프 장비 대신 Replace-in-Place 증가
나.  양적 이미지 요구 증가
다.  3차원 이미징 다양화
라.  상위 버전의 신규 이미지 시스템 향상
(2) 2016년 의료영상장비 분야 시장 현황
5) 체외진단 분야(In Vitro Diagnostics, IVD)
(1) 2016년 체외진단 분야 주요 트렌드
가. 임상병리연구기관의 투명한 가격 책정
나. 디지털 전략으로의 투자 기대
다. 현장케어(POC)로의 진료 패러다임 전환
라. NGS의 초고속 성장 예상
마. 멀티플렉스 플렛폼 선호
(2) 2016년 체외진단 분야 시장 현황
6) 헬스케어 IT 분야(Healthcare IT)
(1) 2016년 헬스케어 IT 분야 주요 트렌드
가.  병원의 가정용 어플 개발기능 향상
나.  가상 진료/원격진료 모니터링 증가
다.  밀레니얼(디지털세대) 유도 전략 개발
라.  비용 조절을 위한 IT/BI 솔루션 사용
마.  판매자의 상호운용성 요구
(2) 2016년 헬스케어 IT 분야 시장 현황

 

 

 

제 Ⅱ편  헬스케어 4.0 시대를 이끌 핵심 패러다임
제 1장 ICT 융합 의료산업
1. 스마트 헬스케어 개요 및 주요 분야
1) 개요
2) 주요분야
(1) 데이터 생성
(2) 빅데이터 구축, 분석 및 활용
3)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동향
(1)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발전 동향
(2)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동향
가. 홈 헬스케어
나. 웨어러블 헬스케어
다. 생체이식 헬스케어
(3)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동향
가. 분야별 헬스케어 시장성장추이
나.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성장 추이
(4) IoT 기반 헬스케어 제품 및 플랫폼 동향
가. IoT 헬스케어
나.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
다. 인공지능 헬스케어
(4) 투자 동향
4) u헬스케어 의료기기 시스템 분야 서비스 구현 및 스마트헬스 사례
(1) 적용대상 및 서비스 구현
가.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구현
(a) 소비자 주권 강화
(b) 정보 상호 연결
(c) 맞춤형 건강관리형태
(2) 스마트헬스 사례
가. RFID/USN 구현
나. 환자감시장치 구현
(a) Philips Healthcare
(b) GE Healthcare
(c) Mindray Medical International Limited
다. 모바일 외래환자 심장측정
라. 국제병원의 환자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3) 시사점
5)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심전도 의료기기 기술 동향과 분석
(1) 개요
(2) 관련 연구
가.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발전 요소와 관련 규정
(a) 스마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의료법 제정, 발령
나. 심전도 측정과 기기 기술
(3) 국내외 심전도 기기 기술 동향과 전망
가. 국내기술 동향
(a) 웰니스 기기(단일채널)
(b) 웰니스 기기(3채널)
(c) 개인용 심전도 측정 기기
(d) 심전도 측정 기기와 리포트(의료기기)
나. 해외기술 동향
(a) 의사 처방에 의한 개인용 심전도 기기
(b) 의사 처방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 심전도 기기
(c) 다기능 센서의 의료기기
(d) 다양한 모형의 측정기기
(4) 시사점
6) 이슈사항
(1) 규제 정비 미비
가. 원격의료 허용
나. 개인정보보호법과의 상충
(2) 인공지능 헬스케어에 대한 우려
(3) '스마트 병원'의 IoT 기기를 통한 보안위협 시나리오
가. ENISA, '스마트 병원'의 보안위협을 다룬 보고서 공개
나. 의료 분야에서 IoT 기기를 통해 겪을 수 있는 4가지 보안위협
다. 스마트병원에 대한 랜섬웨어, DDoS 공격 시나리오
2. SW/HW 관점에서의 디지털 헬스케어
1) SW관점에서의 의료 인공지능
(1) 의료 데이터의 폭발과 의료 인공지능의 부상
가. 인공지능, 의료영상 판독에 활용하는 연구 활발
나. 인공지능 영상진단을 위한 다양한 스타트업
(2) 대표적인 의료 인공지능: IBM의 왓슨
가. 왓슨 혈당 관리 시스템 개발에 활용
(3) 의료 인공지능의 핵심
가. 의료 데이터
나. 딥 러닝
(a) 딥러닝, 의료 인공지능의 학습도구
(b) 딥러닝의 장점
(c) 전문의 수준까지 향상된 딥러닝 기반 진단의 정확도
다. 전문의와 의료 인공지능의 시너지
(a)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상용화를 위해서 개선이 필요
(b) 전문의와 의료 인공지능의 시너지효과
(4)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
가. 심리 치료분야
(a) 가장 오래된 VR의 활용분야, 심리치료
(b) 심리치료 기업
나. 환자 경험분야
(a) 고통감소와 식이장애, 재활 등에 활용되는 VR
(b) 환자경험 기업
다. 의사 교육분야
(a) 새로운 의사교육으로써의 가능성
(b) 의료교육 기업
2) HW 관점에서의 디지털 헬스케어 동향
(1) 의료용 로봇
가. 시장규모와 경쟁현황
나. 의료로봇시장의 74%를 차지하는 수술용 로봇의 장단점
다. 수술로봇의 이용 분야
(2) 수술 로봇의 경쟁환경
가. 의료용 로봇시장의 64%를 점유하고 있는 독보적 경쟁력, Intuitive Surgical
나. 의료용 로봇의 신규 진입자
(3) 국내 수술 로봇 업체 현황
가. 고영
(a) 수술보조로봇: Xeno-guide
(b) 고영 시스템의 적용분야,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c) Xeno-Guide의 차별성
나. 미래컴퍼니
다. 큐렉소
(4) 웨어러블 기기
가. 의료 데이터의 60%는 외생데이터
나. 웨어러블 기기의 한계
다. 웨어러블 기기 대표 기업
(a) 덱스컴
(b) 얼라이브코어
(a) 국내기업 인바디
(5) 3D프린팅
3)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기업
(1) SW관련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가. 루닛(Lunit)
나. 뷰노 코리아(Vuno)
다. 제이케이엘인스펙션(JKL Inspection)
라. 오비에스코리아(OBS Korea)
마. 딥 바이오(Deep Bio)
바. 헬스케어챗봇(Healthcare Chatbot)
사. 스탠다임(Standigm)
아. 셀바스헬스케어(Selvas Healthcare)
(2) HW관련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가. 네오팩트
나. 토모큐브
다. 스페클립스
제 2장 헬스케어 AI
1.  인공지능의 의료혁신
1)  헬스케어에서의 인공지능
(1) 개요
가 헬스케어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정의
나. 기술 적용 사례 기반 인공지능 정의
(a) 스마트 헬스케어
(b) 처방·치료
(c) 고령자 케어 서비스
다. 인공지능 응용분야 및 생태계
(3) 시장동향 및 예측
가. AI 기술의 잠재가치 부상
나. AI 기술의 산업규모와 위상
(4) 국내외 시장 경쟁상황
가. 대기업
(a) IBM
(b) 구글-알파벳
(c) 애플
나. 기타 유망 스타트업
(a) 뷰노(Vuno)코리아
(b) 루닛(Lunit)
(c) 스탠다임(Standigm)
(d) 디오텍(Diotrk)
2) 미래의사 IBM 왓슨(Watson)
(1) 인지 컴퓨팅 기술발전에 따른 의료패러다임 변화
가. IBM왓슨헬스(IBM Watson Health)
나. IBM Watson은 의료기기인가
(a) 국내 인공지능 의료서비스 현황
(2) 왓슨 도입한 길병원
가.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 도입 배경
(a) 빅5’ 병원의 환자 쏠림 현상 완화
나. 길병원의 왓슨 활용방식
(a)  인공지능 ‘다학제’ 진료
3) 헬스케어 AI 기술·비즈니스 동향
(1) 헬스케어 AI 스타트업 투자 동향
(2) 주목할 만한 헬스케어 AI 사례
가. 아터리스(Arterys) 의료 영상 분석 시스템 4D 플로우(Flow)
나. 뉘앙스커뮤니케이션즈(Nuance Communications) 음성인식 기술 헬스케어 솔루션
다. 신약개발 돕는 인공지능 시스템
(a) 투사(twoXAR)
(b) 버그(BERG) 리커전(Recursion Pharmaceuticals)
(c) 기타
라. 헬스케어 챗봇
(a) 헬스탭(HealthTap)
(b) 오스카(Oscar)
(c) 센스리(Sense.ly)
(d) 기타
(3) 헬스케어 AI 시장 전망 및 시사점
가. 헬스케어 AI 혁신 전망
(a) 접근성
(b) 품질
(c) 비용
나. 헬스케어 AI 응용 전망
(a) 개인맞춤치료
(b) 건강정보관리
(c) 응용사례 (심부전을 앓고 있는 65세 환자 사례)
다. 헬스케어 AI 기술의 이점
(a) 진단 및 수술의 품질 개선
(b) 환자 방문 횟수와 비용 절감
(c) 병원 행정 및 의료 프로세스 개선
라. 국내 헬스케어 AI 관련 한계점
(a) 의료 정보 활용 제약
(b) 원격의료 제약
3) “왓슨” 도입한 길병원
(1)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 도입 배경
가. 빅5’ 병원의 환자 쏠림 현상 완화
(2) 길병원의 왓슨 활용방식
가. 인공지능 ‘다학제’ 진료
2. 보건의료와 AI의 만남
1) 미충족 의료수요 (Unmet Medical Needs)
(1) 진단‧치료의 어려움 : 의료데이터의 복잡성 증가
(2) 오진율 증가
(3) 의료서비스의 질, 의료비용 불만 가중 : 국민의 삶의 질 요구 증대
가. 가용성(availability)의 문제
나. 접근성의 문제
다. 수용성의 문제
2) 보건의료와 AI 접목의 가치
(1) 기술적 가치
가. 딥러닝(Deep Learning)의 이해
(a) 배경
(b) 개념
(c) 특징
(d) 장점
(e) 원동력
(2) 경제적 가치
(3) 사회적 가치
3) 보건의료 AI 실현의 가능성
(1) ICT 인프라
(2) 의료장비 보유수준
(3) 풍부한 의료 데이터
(4) 세계적 수준의 AI 영상인식 기술력
3) 의료 AI 기술의 사례
(1) 특허분석을 통해 본 활용사례
가. 질병 진단 인공지능 보조 의사 시스템
(a) 기술
(b) 적용
(c) 장점
나.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료 시스템
(a) 기술
(b) 적용
(c) 장점
다. 인공지능 기반 진단치료·재활치료 시스템
(a) 기술
(b) 적용
(c) 장점
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 시스템
(a) 기술
(b) 적용
(c) 장점
마. 신약 임상시험용 환자 모델링 시스템
(a) 기술
(b) 적용
(c) 장점
바. 빅데이터 기반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a) 기술
(b) 적용
(c) 장점
(2) 언론보도를 통해 본 활용사례
4) 결론 및 시사점(당면과제)
(1) 기술적 측면
가. AI 스타트업 투자 강화
나. 차별화된 R&D 방향설정
(2) 산업적 측면
가. 의료데이터 표준화
나. 관련규정 및 가이드라인 보완
다. AI 의료기기 허가심사
(3) 사회적 측면
가. AI 의료사고 대비
나. 의료불평등 해소 노력
다. 사회적 수용성 제고
3. 인공지능과 영상의학
1) 인공지능, 의료 미래의 혁신
(1) 의료 인공지능, 어디까지 왔나
가.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a) 치료 법 권고
(b) 의료 데이터 해석 및 판독
(c) 예방, 예측 의료
(2) 의사는 인공지능으로 대체 가능한가
가. ‘인간’ 의사의 역할
(a) 최종 의사 결정
(3) 의과대학 교육의 변화
2) 머신러닝, 딥러닝의 기초
(1) 인공지능의 영상의학적용: 서울대학교병원
가. 영상의학과 딥러닝 (deep learning)
나. 원발성 뇌종양과 딥러닝
다. 뇌전이암과 딥러닝
3) 인공지능, 빅데이터-연구방법론: 어떻게 임상연구를 기획, 수행할 것인가?
(1) 영상의학자의 연구참여 필요성
(2) 연구주제의 방향 설정
가. 바드대학-메사추세츠 종합병원(Havard-MGH) Keith Dreyer 박사
나. 시카고대학 Paul Chang 박사
(3) 연구진행
가. 데이터
(a) 데이터 확보
(b) 데이터 활용
(c) 딥러닝 학습
(d) 공동연구자
4. 의료서비스에서 인공지능 로보틱스 분야의 개인정보 보호
1) 개요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의 목적
나. 연구의 필요성
다. 개인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기준 현황
(a) EU
(b) 미국
(c) 국내
라.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의 발전
마.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의 부작용
(2) 연구의 범위
가.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분야의 국내외 관련 현황․자료 조사
나.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를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 현황 및 문제점 분석
다.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분야의 개인정보보호 고려사항
(3) 연구 내용
가. 인공지능과 로보틱스의 도입으로 인한 개인정보보호 이슈와 요구사항
(4) 결론 및 향후 과제
2) 인공지능·로보틱스 기술 및 산업·서비스 현황
(1) 인공지능·로보틱스 기술 개요 및 산업동향
가.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개요
(a) 딥러닝
나.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a) 인공지능 기술의 산업 응용분야 및 서비스 적용 사례
(2) 인공지능·로보틱스 분야의 응용서비스 현황
가. 관련 기술현황
(a) 딥러닝(Deep Learning)
(b) 자연어 처리
(c) 이미지 처리
(d) 음성 인식
나. 의료서비스 분야 응용 서비스 및 제품 현황
(a) IBM '왓슨'을 활용한 국내 응용서비스 사례
(b) 인공지능 헬스케어 보조 시스템 5
3)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관련 개인정보보호 법제화 현황
(1) 국외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화 현황 및 정책 동향
가. EU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주요 내용
(a) GDPR의 주요 목적
(b) GDPR의 범위
(c) 요구 사항에 대한 통지
(d) 동의에 의한 정보 수집
(e) 데이터 관리자의 의무
나. GDPR의 주요 이슈 사항
(a) 일반적 금지
(b) 적절한 관할
(c) 표준 데이터 보호 조항(Standard Data Protection Clauses)
(d) 구속력 있는 기업 규칙(Binding Corporate Rules)
(e) 예외
다. GDPR에서 나타난 알고리즘 규제의 주요 내용
(a) GDPR의 알고리즘 규제
라. 정책 동향 및 관련 주요 프로젝트
(a) ICDPPC의 관련 논의사항
(b) ETHICBOTS 프로젝트
(c) RoboLaw 프로젝트
(d) PbD(Privacy by Design)
(2)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화 현황
가. 가명 익명처리에 관한 국내 논의 현황
나.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주요내용 및 시사점
(a) 주요내용
(b) 시사점
4) 응용 서비스분야별 개인정보 처리현황 및 법제화 이슈
(1) 개발·활용 단계의 개인정보 처리현황 및 개인정보 위협사례
가. 의료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처리현황 및 개인정보 위협사례
(a) 개인정보 처리 현황
(b) 개인정보 위협사례
(2) 의료서비스에서 응용서비스별 개인정보 관련 법제화 이슈
가. 인공지능 도입 후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에 대비 재검토가 필요한 의료법 조항
(a) 「의료법」 제34조 “원격의료”
(b) 「의료법」제20조 “태아 성 감별 행위 등의 금지”
(c) 「의료법」제21조 “기록 열람 등”
(d) 「의료법」 제23조 “전자의무기록”
나. 인공지능 보건의료 분야의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관련 규제 사항
(a) 의료기기 복합인증 및 신증인증에 대한 「의료기기법」제2조 “정의”
(b) 「의료기기법」제6조 “제조업의 허가 등”
(c) 「의료기기법」제15조 ”수입업허가 등”
다. 응용서비스별 개인정보 관련 법제화 이슈
(a) 병원정보 전달 (의료법 제20조, 제21조, 제23조, 시행규칙 제16조)
(b) 신속인증 (의료기기법 제2조, 제6조, 제15조, 제16조, 시행규칙 제24조의2)
(c) 개인화 의료 분류 (국민건강보험법 제4조)
5)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분야 개인정보보호 시사점과 고려사항
(1)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시사점
가. 의료서비스에서 개인정보보호 시사점
(a) 입력정보와 잠재적 출력정보를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의 문제점
(2)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확산 대응을 위한 고려사항
가.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산업 확산을 위한 고려사항
나. 의료서비스에서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확산 대응을 위한 고려사항
(a) 의료 진단에 필요한 정보 수집 시
(b) 의료서비스 분야의 개인정보 관련 일부 법·제도 검토
(c) 의료 개인 빅데이터의 활용 시
(d) 의료서비스 연구단계 시 개인정보 고려사항
(e) 의료서비스 활용단계 시 개인정보 고려사항
다. 의료 분야별 고려사항
(a) 의료진단 분야
(b) 헬스케어 분야
6) 결론 및 향후 과제
(1) 의료서비스 분야
(2) 시사점
7) 부록
(1) 로봇 윤리 헌장
가. 로봇윤리현장 초안 요약본
(a) 1장, 목표
(b) 2장, 인간, 로봇의 공동원칙
(c) 3장, 인간 윤리
(d) 4장, 로봇 윤리
(e) 5장, 제조자 윤리
(f) 6장, 사용자 윤리
(g) 7장, 실행의 약속
나. 로봇윤리헌장 초안 요약본에 대한 로봇윤리규범
(a) 공동원칙
(b) 인간의 윤리
(c) 로봇의 윤리
(d) 로봇 제조자의 윤리
(e) 로봇 사용자의 윤리
(2) 미국 HIPAA의 개인정보보호 규칙 주요내용
(3) 빅데이터 개인정보 관련 주요국 규정 현황
가. 주요국 익명처리 가이드라인
(a) 미국
(b) 영국
(c) EU GDPR(유럽 연합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
(d) 호주
(e) 익명처리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4) 인공지능의 법적문제에 대한 책임 주체
(5) PbD 사용 사례
가. EU
나. 미국
다. OECD
라. 일본
(7) RoboLaw 프로젝트
가. EU의 로봇법 및 로봇규제 가이드라인 주요한 내용 및 특징
(a) 규제 일반론을 제시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기능주의적 접근법에 입각
(b) 투명한 규제 환경이 로봇 시장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정책철학
(c) 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견인하는 학제적 접근에 입각
(d) 기술적 규제 모색
(e) 기본권을 보호하고 지향하는 로봇법 및 로봇 규제의 대원칙 제시
(F) 잠재적 위험에 대한 법적 책임 원칙
제 3장 헬스케어 빅데이터
1.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산업
1) 개요
(1)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혁신의 움직임
(2) 보건의료 외부의 변화 및 특징
가. 참여자의 다양성 증가
(a) 보건의료 외부에서 시도되는 새로운 의학 연구 모델
(b)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나. 신기술의 도입
(a) 디지털 센서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b) 클라우드 컴퓨팅
(c)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d) 유전분석기술
다. 정부와 민간의 대규모 자금 유입
2) 헬스케어 데이터 구분과 활용 사례
(1) 헬스케어 데이터 구분
가. 의료기관 중심의 전자의무기록(EMR)
나. 공공기관 중심의 국민건강정보
다. 개인 중심의 개인건강정보(PHR, Personal Health Record)
라. 기관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는 개인유전정보
(2) 헬스케어 데이터 생성, 통합, 분석, 활용 사례
가. 관리 주체에 따른 헬스케어 데이터 구분
(a) 의료기관 중심의 전자의무기록(EMR)
(b) 공공기관 중심의 국민건강정보
(c) 개인 중심의 개인건강정보(PHR)
(d) 유전정보
나. 헬스케어 데이터 생성, 통합, 분석, 활용 사례
(a) 1종류 내의 데이터 통합 : 플랫폼을 이용한 PHR 간의 통합
(b) 2종류 내의 데이터 통합
3)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혁신에 대한 주요국의 접근방식
(1) 방법론
(2) 국가별 접근방식
가. 미국
(a) 보건의료제도
(b) 지불시스템
(c)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데이터 주요 정책
(d) 시사점
나. 영국
(a) 보건의료제도
(b) 지불시스템
(c)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데이터 주요정책
(d) 시사점
다. 한국
(a) 보건의료제도
(b) 지불시스템
(c)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데이터 주요정책
(d) 헬스케어 기술 수준
(e) 시사점
4)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혁신의 쟁점과 전략
(1) 헬스케어 데이터의 사회적 쟁점 : 거버넌스
가. 데이터의 단계별 개방(openness)
나. 헬스케어 데이터 통합 방식의 방향성
(a) 미국
(b) 한국
다.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책임성
(2) 헬스케어 데이터의 사회적 쟁점 : 재정구조
가. 데이터 소유권(ownership)과 관리권(stewardship)
나. 헬스케어 데이터 유통과 데이터 브로커
(3) 헬스케어 데이터의 기술적 쟁점 : 데이터
가. 헬스케어 데이터의 질(quality)
(a) 의료정보
(b) 개인건강정보
(c) 공통
나. 데이터 활용을 위한 상호운용성
다. 헬스케어 데이터 생성, 통합, 분석, 활용의 역동성
라. 데이터 보안을 위한 요구사항
5)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를 위한 고려사항
(1)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가. 헬스케어 데이터 거버넌스
나. 기반 인프라 확대 및 지속성 추구를 위한 재정구조 마련
(a) 임계규모(critical mass) 이상의 인프라 구축으로 혁신성 확대
(3) 헬스케어 데이터 활용을 위한 two-track 연계 방안
가. 주요 특징 분석을 위한 수평적 데이터 연계
(a) 한국의 특이성 분석
(b) 초기 질환 및 건강관리 연구
나. 전 주기적 변화 분석을 위한 수직적 데이터 연계
2. 헬스케어 애널리틱스
1) 의료 빅데이터 생태계 현황
(1) 개요
2) 성장과정과 발전방향
(1) 애널리틱스의 발전과 빅데이터의 등장
가. 1940~1960년대
나. 1970년대
다. 1980~1990년대
라. 1990~2000년대
마. 2010년
바. 2020년대
(2) 데이터 애널리틱스의 역사
(3) 의료 빅데이터 분석의 기대효과
3) 산업적 특성
(1) 데이터 중심의 산업구조
가. 데이터 공급자
나. 애널리틱스 서비스 제공자
다. 애널리틱스 플랫폼 제공자
(2)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성공요인
(3) 기존기업 vs. SW기업 경쟁 심화
(4)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방식
4) 국내 시장 현황 분석
가. 미래부-국방부, 60만 장병 의료정보 빅데이터 공동연구 추진
(a) 추진내용
나. 국내 헬스케어 애널리틱스 전문 기업 사례
5) 시사점
(1) 생태계별 대응전략
가. 병원
나. 기업
다. 공공기관
라. 정부
통계(도표)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