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 기술보고서

빅데이터 관련 산업별 정책/기술동향과 5G 융합서비스 장비·부품/보안기술현황

by 테크포럼북스 2019. 8. 20.



도서구매: http://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800&goods_idx=21553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22쪽 (A4)

ISBN: 979-11-5862-117-9 (93500)



빅데이터(big data)는 ‘21세기 원유(crude oil)’로 불릴 만큼 향후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 저장과 처리 기술로는 다양한 형식의 대규모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데이터 분산저장과 분산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식의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빅데이터도 원유처럼 경제 전반의 혁신, 경쟁, 생산성을 새롭게 제고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클라우드 저장, 소셜 미디어,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등으로부터 생산·저장되는 공개출처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빅데이터는 상업, 산업, 학계 등 민간부문에서부터 공공부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통신 산업은 이동통신 사업자와, 단말기·장비·부품 제조업체를 축으로, 통신 산업의 생태계 안에서 발전해 왔다. 하지만 5G 시대가 본격 개막되면, 기존에는 볼 수 없던 새로운 모습의 제품과 서비스를 다방면의 산업에서 탄생시키게 된다. 글로벌 여러 기업인들과 정책입안자가 전망하듯이, 5G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생태계의 지평을 가속도를 내며 넓히는 융합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진화할 것이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아직 유스케이스가 등장하지 않고 있어 5G의 거대한 영향력을 체감할 수 없다는 한계가 동시에 존재한다. 앞으로 5G로 창출될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와 기회 영역을 위해 기술의 특징과 산업에 미칠 파급력을 분석하고, 산업과 시장, 생태계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데 노력해야 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빅데이터/5G 산업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빅데이터 관련 산업별 정책/기술동향과 5G 융합서비스 장비·부품/보안기술현황」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빅데이터 및 5G 산업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빅데이터 산업


제 1장 빅데이터 산업과 정책현황


1. 빅데이터 산업과 R&D 투자 동향

1) 국내외 산업동향

(1) 해외 산업동향

(2) 국내 산업동향

2) 빅데이터 생태계 분석

(1)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가치사슬 분석

(3) 주요 이슈

가. 데이터 경제의 급부상

나. 기술 인프라 현황

3) 빅데이터 R&D투자 동향

(1) 해외 R&D투자 동향

(2) 국내 R&D 투자동향

2. 빅데이터 산업 활용 현황

1) 국내 빅데이터 산업 현황

(1) 영역별 시장 규모

(2) 국내 빅데이터 활용 현황

(3) 빅데이터 시장 인력 현황

(4) 국내외 빅데이터 기술수준 비교

2)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현황과 전망

(1) 빅데이터 분석 활용 사례

가. 해외 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 사례

⒜ 고객 관계관리/경험의 변화

⒝ 내부 프로세스/효율성 개선

⒞ 신규 Value Proposition 창출

나.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 사례

⒜ 고객 관계관리/경험의 변화

⒝ 내부 프로세스/효율성 개선

⒞ 신규 Value Proposition 창출

(2) 국내 빅데이터 분석 활성화를 위한 해결과제

가. 문제점 진단

나. 해결과제

3) 공공부문 빅데이터 활용 사례 분석

(1) 사업 단계별 현황

(2) 사업 분야별 현황

(3) 공공부문 빅데이터 활용 사례 분석

가. 분석개요

나. 연도별·활용주체별 활용 사례

다. 분야별 활용 사례

3. 빅데이터 주요 정책 현황

1) 국내외 정책동향

(1) 해외 정책동향

(2) 국내 정책동향

2) 빅데이터 정부 정책

(1) 정책 수요

가. 빅데이터 사업 수행 시 애로사항

나. 빅데이터 사업 추진 관련 필요한 정책적 지원

다. 빅데이터 산업활성화 정책 요구사항

라. 빅데이터 산업 데이터 유통활성화 요구사항

마. 빅데이터 인력 양성 정책수요

바. 빅데이터 지원 정책 요구사항

사. 해외 빅데이터 산업활성화 정책

(2) 문재인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

가. 지난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

⒜ 이명박정부 정책

⒝ 박근혜정부 빅데이터 정책

나. 문재인정부의 빅데이터 정책 방향

⒜ 빅데이터 산업에 대한 인식과 방향

⒝ 혁신성장을 위한 빅데이터

⒞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빅데이터

(3) 국가 및 지자체의 빅데이터사업

가. 빅데이터 관련 정부 추진현황

나. 지자체 현황

제 2장 빅데이터 기술과 보안현황

1. 빅데이터 기술분석과 특허 현황

1)  빅데이터 기술환경 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2) 기술동향

가. 플랫폼기술

나. 분석기술

다. 활용기술

(3) 기술패러다임으로서 빅데이터 쟁점과 과제

가. 쟁점

⒜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가능성과 한계

⒝ 빅데이터를 활용한 문제해결 가능성

⒞ 빅데이터의 인식론적 한계

⒟ 빅데이터와 기술종속의 문제

⒠ 공공부문의 비효율성과 빅데이터

⒡ 데이터 개방전략과 빅데이터 정책

나. 과제

⒜ 프라이버시

⒝ 보안

⒞ 빅데이터

2) 빅데이터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3) 빅데이터 기술인프라 현황

(1) 국내 사례

(2) 해외 사례

2. 빅데이터 특허와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빅데이터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4) 주요출원인 분석

(5) 국내 출원인 동향

2) 빅데이터 중소기업 핵심기술

(1)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2) 요소기술 도출

(3) 핵심기술 선정

3) 빅데이터 기술로드맵 기획

(1) 빅데이터 기반 SW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3. 빅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분석

1) 빅데이터와 정보활동 현황

(1) 정보기관과 빅데이터의 관계

(2) 미국 정보공동체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가. 미국 정보공동체와 학계의 동향

나. CIA

다. NSA

2) 빅데이터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방법 분석

(1) 빅데이터 분석 환경에서 비식별 처리 시 고려사항

가. 데이터 처리 과정

⒜ 빅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데이터 생명주기

⒝ 빅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비식별 처리

나. 데이터 처리에 대한 역할과 책임

⒜ 데이터 관리자

⒝ 데이터 처리자

⒞ 개인 데이터 주체

다. 데이터 활용 방법

⒜ 공개적 데이터 활용 모델

⒝ 비공개적 데이터 활용 모델

⒞ 반공개적 데이터 활용 모델

라. 데이터 형태와 비식별 수준

(2) 비식별 처리 방법의 분류와 특성

가. 데이터 중심의 처리 방법

⒜ 데이터 유용성 우선 비식별 처리

⒝ 프라이버시 우선 비식별 처리

나. 역할 중심의 처리 방법

⒜ 중앙 집중형 비식별 처리

⒝ 지역형 비식별 처리

⒞ 협력형 비식별 처리

제 3장 산업별 빅데이터 활용사례

1. 의료 융·복합 빅데이터 활용사례 현황

1) 의료정보 융・복합 빅데이터 글로벌 현황

(1) 국가별 현황 분석

가. 영국

나. 미국

다. 싱가폴

(2)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현황

(3) 미래 의료 빅데이터 트랜드 분석

2) 의료정보 융・복합 빅데이터 관련 기술 및 성공사례

(1) 의료 빅데이터 관련된 최신 기술동향

가.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기술

나. 유전체 분석 정밀의료 진단 기술

다.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융합 기술

라. IoT 융합의 모바일 헬스

(2) 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외 성공사례

가. 헬스케어

나. 웰리스

다. 영국 의료데이터 서비스

2. 농업 빅데이터 활용사례 현황

1) 선진 농업의 키워드, 빅데이터

(1) 미국 : 클라이밋 코퍼레이션

(2) 유럽 : IoF2020

(3) 네덜란드 : 와게닝겐 대학

(4) 이스라엘 : 프로스페라

(5) 오스트리아 : 스막텍

(6) 아마존 : 아마존 고

(7) IBM : 셰프 왓슨

2) 농업과 빅데이터의 결합이 주는 시사점

(1) 체계적 준비 필요

(2) 시스템 정비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

3. 제조업 빅데이터 도입/활용 사례 현황

1) 한국제조업의 현실

(1) 2016년도 정부 업무보고

(2)제조업

(3) 신성장 동력

2) 빅데이터 도입 움직임

(1) 관련 산업 동향

(2) 빅데이터의 부상

가. 빅데이터의 부상 배경

나. 제조업의 빅데이터 도입의 당위성

(3) 국내외 서비스 현황

가. 국외 관련 서비스 현황

나. 해외 도입사례

다. 국내 도입사례

(4) 주요국의 빅데이터 활용현황

가. 미국 국토보안

나. 영국

다. 싱가포르

라. 호주

4. 스마트시티 공간 빅데이터 활용 사례 현황

1) 공간 빅데이터 이용 및 활성화 방안

(1) 빅데이터 역할

(2) 기반환경 구축

가. 대전 SDW의 기능 확대 및 이용 접근성 강화

나. 공간 데이터마트 기능의 확대

(3) 전문성 강화

가. 전담 조직으로서의 스마트도시기획관 신설

나.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

(4) 맞춤형 서비스 개발

가. 리빙랩 사업 활성화 및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구축

나. 과학적 정책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 및 활용 확대

다. 민간 빅데이터와 융합을 통한 대민 지원 서비스 확대

(5) 유연한 개인정보 보호 및 정보 보안 강화

가. 개인정보에 대한 맞춤형의 비식별 조치 강구

나. 빅데이터 플랫폼의 정보 보안 취약성 문제 극복

2) 관련 제도 정비 방안

5. 금융권/경제통계 빅데이터 활용 사례 현황

1) 금융권 빅데이터 활용 사례

(1) 국내외 빅데이터 활용 사례

(2)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현황

가. 활용 다각화 추진 중

나. 빅데이터 컨설팅 수익사업화 추진

다. 보험회사 상품 개발과 보험컨설팅에 빅데이터 활용

라. 시사점과 전망

2) 빅데이터의 경제통계 활용 현황 및 시사점

(1) 물가지표

가. 스캐너 데이터(scanner data)

나. 웹 스크래핑 데이터(web scraping data)

(2) 심리지표

가. 소셜미디어 데이터

나. 뉴스 및 신문기사

(3) GDP 관련 지표

(4) 기타

(5) 시사점 및 향후 과제

6. 교통 분야 빅데이터 활용 사례 현황

1) 국내외 교통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1) 해외에서는 통행패턴 분석 시 활발하게 활용

가. 미국 동부의 도시 간 장거리 통행패턴 분석

나. 이동통신데이터를 활용하여 통행을 분석하는 AirSage

다. 소셜 미디어 이용 기록을 지역 간 O/D 분석

라. 런던 교통부의 대중교통 운영 개선

마. 싱가포르 교통부의 교통운영 개선

(2) 국내 사례는 교통 운영 측면에서의 활용에 중점

가. SK텔레콤의 티맵(T map)

나.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 개발 및 검증

다. 택시 운행 데이터 분석

라. 통신자료 기반 수도권 O/D 추출

마. 장애인 콜택시 운영 분석

바. 카카오택시 운영 결과 분석

(3) 교통 부문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기대

2) 교통 부문에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1) 교통 관련 빅데이터들의 현황 검토

가. 가공자료로부터 원자료(Raw Data)의 특성 추정

나. 원자료별 세부내용 및 특성

⒜ 교통카드 기록

⒝ 포털지도 경로 검색 기록

⒞ 앱택시 요청 및 연결 자료

⒟ 대리운전 요청 및 연결 자료

⒠ 카드매출 기록

⒡ 통신사 기지국 접속 기록

⒢ 버스운영시스템(BMS) 데이터

⒣ 택시 운행 데이터

⒤ 상용차 운행 데이터

(2) 빅데이터 활용성

가. 개인정보 보호

나. 기업의 영업비밀


 


제 Ⅱ편  5G 산업

제 1장 5G 산업과 경제파급 분석

1. 5G 산업 변화와 파급효과

1) 5G 산업 개요

(1) 기술 진화 관점에서 5G의 변화

가. 이동통신 기술 세대 別 혁신 상관관계

나. 5G Use Case 예시 및 시사점

(2) 5G 폭발적인 데이터 생성·유통

(3) 5G 흡수·통일하는 one Connectivity

가. 네트워크 슬라이싱

나. 더 넓은 주파수와 초고주파 대역까지 사용

2) 5G 진행 현황과 관련 산업 파급 효과

(1) 글로벌 5G 준비 현황

가. 중국의 5G 준비 현황

나. 미국 이동 통신사들의 5G 준비 현황

다. 일본 통신사들의 5G 준비 현황

라. 유럽 통신사들의 5G 준비 현황

(2) 5G 전개 Roadmap

(3) 5G와 스마트폰 단말 시장

(4) 5G와 반도체 시장

(5) 5G와 디스플레이 시장

3) 시스템 관점에서 5G가 주는 의미

(1) 5G와 자동·자율화

(2) 5G와 4차 산업 혁명

4) 5G가 바꿀 세상의 변화들

(1) 5G 등장과 New Value Chain

(2) one Connectivity

가. 이동통신사업자

나. one Connectivity 기반 Telco의 사업 확대

(3) 데이터 생산·유통 확대

(4) Data 생산·유통 확산의 간접적 변화

(5) H/W의 공유화

2. 5G 경제 분석과 추진동향

1) 5G 경제효과 및 산업영향

(1) 주요 이슈

가. 핵심 타겟 고객

나. 시장 주도

(2) 글로벌 경제적 효과

(3) 5G와 산업의 변화

(4) 국내 통신장비산업에 미치는 영향

가. 낙관적 관점(明) : 수혜 기대

나. 비관적 관점(暗): 낙수효과 미미

(5) 경제적 파급효과

2) 5G 시장생태계 분석

(1)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가치사슬 분석

(3) 주요 이슈

3) 5G 주요국 추진 동향

(1) EU

(2) 영국

(3) 미국

(4) 중국

(5) 일본

3. 5G 기반 유망분야 현황

1) 5G로 부상할 유망분야

(1) 5G로 창조적 파괴를 거듭할 산업 생태계

(2) 5G로 창출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2) 5G의 초고속 기반 유망분야

(1) 초고화질 영상으로 신규 비즈니스 기회

가. 콘텐츠 소비 측면

나. 콘텐츠 제작 측면

다. 초고화질 영상 활성화와 제작 환경의 변화

(2) 실감형 콘텐츠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가. VRㆍARㆍMR 등 실감형 콘텐츠의 활성화

나. 5G 도입으로 부상하는 유망 실감형 콘텐츠

(3) FWA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가. FWA 서비스 등장

나. 통신 장비 및 인프라 시장

3) 5G의 초저지연 기반 유망분야

(1) 자율주행으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가. 주문형 자율주행 서비스

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부상

(2) 스마트팩토리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가. 디지털 트윈을 통한 제조혁신

나.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통한 모니터링

다. VRㆍAR, 인공지능을 활용한 원격 제어

라. 디지털 트윈으로 전환

(3) 디지털 헬스케어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가. 의료사물인터넷(IoMT)을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나. 의료와 정보통신 기술의 결합, 원격의료 서비스

4) 5G의 초연결 기반 유망분야

(1) 스마트홈ㆍ오피스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가. 코피티션(Coopetition)을 통한 신사업 발굴

나. 스마트 오피스 환경 구축

다. BMS를 통한 스마트 빌딩 관리

라. 스마트ㆍ지능화 센서

(2) 스마트시티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가. 도시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

나.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통해 고부가가치 사업

(3) 스마트 에너지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가. 구축 및 운영에 요구되는 5G의 역할

나. 에너지관리시스템의 부상

5) 5G 기업 대응 전략

(1) 리포지셔닝 및 자원 재배분

(2) 연결성에 기반한 투자

(3) 부상 섹터의 수익화

(4) 고객 중심적 가치 극대화

(5) 시장 선점 및 글로벌화

제 2장 5G 정책과 기술/보안 현황

1. 5G 정책 및 혁신성장 전략

1) 5G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동향

가. EU

나. 미국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정책동향

2) 5G 추진 방향 및 목표

3) 5G 중점 과제

(1) 공공 선도투자

가. 5G+ 핵심서비스 실증‧확산

나. 공공의 선도적 수요창출 지원

다. 5G 공공서비스 삶의 질 제고

라. 5G 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2) 민간투자 확대

가. 세제‧투자 지원 확대

나. 5G 시험·실증 인프라 구축

다. 중소기업의 5G 기술사업화 촉진

라. 5G 콘텐츠 시장 활성화 지원

마. 주력산업의 생산성 혁신 지원

(3) 제도 정비

가. 통신 요금제 및 제도 정비

나. 전파자원 확충 및 규제개선

다. 가장 안전한 5G 이용환경 구축

라. 5G 융합서비스 규제혁신

마.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이용자 보호

(4) 산업기반 조성

가.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나. 정보보안 산업 경쟁력 강화

다. ‘5G+ 한류’기반 구축

라. 5G 창업 촉진 및 인재양성

(5) 해외진출 지원

가. 5G 서비스 글로벌화 촉진

나. 글로벌 5G 표준화 선도

다. 국제협력과 연계한 해외진출 지원

4) 5G 추진체계 및 기대효과

(1) 추진체계

(2) 기대효과

2. 5G 기술 파급력 및 분석

1) 5G 기술의 특징과 분야별 파급력

(1) 5G 기술의 특징

가. 5G 기술의 특징

나. 5G 구현에 요구되는 기술 요소

(2) 5G 기술이 미칠 파급력

(3) 기존 플레이어의 5G 추진 동향

가. 신규 시장 기회 포착에 나선 통신사

나. 네트워크 인프라 영역의 기회

다. 네트워크 장비 업체의 5G 비즈니스 기회

라. 스마트폰 단말 및 칩셋 벤더

2) 국내외 5G 기술 분석

(1) 해외기술 동향

(2) 국내기술 동향

(3) 기술개발 시나리오

3. 5G 표준화와 보안 현황

1) 5G 이동통신 표준화 동향

(1) 국제 표준화 동향

가. IMT 표준 현황

나. 3GPP 표준 현황

2) 5G 무선 표준기술 동향

(1) Release 15 표준 동향

가. NR Release 15 표준기술

나. NR Release 15 표준 일정에 따른 특징

(2) Release 16 표준 동향

가. NR Release 16 표준기술

나. NR Release 16 주요 기술별 동향

⒜ Enhancement NR

⒝ 5G V2X with Sidelink

⒞ IIoT

⒟ IAB

⒠ NTN

⒡ NR-U

(3) Release 17 표준 동향

3) 사이버보안 법률 정비

(1) 미국 및 일본 입법례

(2) 국내 현황

4) 5G 정보보호 보안 분야

(1) 5G와 바이오인증

(2) 5G와 클라우드 보안

(3) 5G와 사물인터넷 보안

(4) 5G와 모바일 보안

(5) 5G와 스마트산업제어 보안

(6) 5G와 지능형자동차 보안

(7) 5G와 지능형 AI 보안

(8) 5G와 블록체인 기반 보안

(9) 5G와 양자암호화 보안

(10) 5G와 빅데이터 보안

제 3장 5G 서비스 및 장비/부품 현황

1. 5G 서비스 시장과 기술 동향

1) 5G 서비스가 성장하는 이유

(1) 스마트시티

(2) 스마트홈

(3) 스마트오피스

(4) 주요산업에 미치는 영향

가. 자동차산업: 자율주행차, MaaS

나. 제조업: 스마트 팩토리

다. 스마트그리드, ESS

라. 디지털헬스케어, 원격진료

마. 공공안전 및 공공서비스 산업

2) 5G 서비스와 장비 시장

(1) 5G 서비스 시장

(2) 5G 장비 시장

가. 네트워크 장비 시장

나. RF 장비 시장

다. 안테나

라. 스몰셀 장비

3) 5G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동향

(1) 5G 목표 성능 및 서비스 시나리오

(2) 5G 이동통신 표준화 동향

가. 3GPP NR

나. 3GPP NR 기술 특징

(3) 5G 이동통신 서비스 동향

가. 5G 이동통신 시범 서비스

나. 5G 이동통신 융합 서비스

4) 해외 5G 융합 서비스 개발 동향

(1) 일본

(2) 미국

(3) 중국

(4) 유럽

2. 5G 서비스 기업투자 및 전망

1) 5G서비스 상용화 현황

(1) 국내 통신3사 상용화

(2) 해외 통신사 상용화 서비스 경쟁

2) 5G 서비스 비전과 실상

(1) 인프라, 다양한 서비스 등장

(2) 다양한 융합서비스 등장 전망

(3) 몰입형 통신 서비스

(4) 초실시간 서비스

(5) 증강 현실 서비스

(6) 사물인터넷 서비스

3) 5G 통신서비스업 성장과 신용 전망

(1) 5G 통신서비스업 성장 전망

가. 무선통신 부문의 지속될 성장 전망

나. IPTV의 성장이 유·무선 실적을 보완

다. 5G 네트워크 투자부담 증가는 제한적 전망

라. 우수한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전망

(2) 5G 서비스 통신업체 신용 현황

가. 기업 현황

⒜ SK텔레콤(AAA/S)

⒝ KT(AAA/S)

⒞ LG 유플러스(AA/S)

⒟ SK브로드밴드(AA-/S)

나. 기업별 모니터링 포인트

⒜ 5G에서 각 사별 경쟁력과 향후 전략

⒝ 케이블 TV 사업자 인수 가능성과 재무부담 수준

⒞ SK텔레콤 재편 시 신용도에서 모니터링 포인트

4) 5G 서비스 Value chain 및 추천종목

(1) 5G 통신서비스 관련 투자전략

(2) 5G Value chain

(3) 5G 관련 기업

(4) 유망종목

3. 5G 장비/부품 산업과 기술 현황

1) 5G 시대 통신 장비 산업

(1) 5G투자와 통신장비

가. 5G 새로운 서비스 제공

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도래

다. NSA 방식의 투자 예상

(2) 통신장비 종류

가. 기지국

나. 중계기

다. RF장비

라. 안테나

2) 통신장비, 빅사이클의 시작

(1) 공급 업체 5G 준비현황

(2) 음영 지역 축소가 과제 

가. 스몰셀

나. 실내 스몰셀 및 인빌딩 중계기 활용도

3)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

(1) 통신장비 시장

(2) 글로벌 업체 소개

가. Huawei

나. Ericsson

다. Nokia

라. ZTE

마. 삼성전자

바. Cisco Systems

4) 통신 장비/부품 소재 기술 현황

(1) 통신 장비/부품 주가 동향

(2) 5G와 통신 장비/부품 현황

가. 음영 지역 축소와 트래픽 분산

나. 비용효율적인 스몰셀과 기술집약적인 RRH

다. Supply chain & Valuation

라. 투자 아이디어

제 4장 5G 융합서비스 분야별 현황

1. 5G 융합서비스 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기술전략

1) 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대표 서비스 현황

(1) 5G와의 관련성

가. 5G와 스마트시티

나. 5G와 스마트팩토리

다. 5G 와의 관련성 및 필요성

(2) 대표서비스 선정

가.  세부서비스별 분석 및 평가 방법론

나. 세부서비스별 분석

다. 대표 서비스 선정

(3) 대표서비스 동향

가. 서비스와 필요성 현황

⒜ 서비스 현황

⒝ 필요성

나. 서비스/무선/네트워크 요구사항 분석

2) 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5G 서비스 구현과 로드맵

(1) 영상기반 스마트도시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2) 서비스/플랫폼 기술

가. 콘텐츠

나. 서비스 1단계

다. 서비스 2 단계

(3) 5G 네트워크기술

(4) 표준/주파수

(5) 법제도/정책

(6) 통신사업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

(7) 서비스/기술로드맵

(8) 중소기업을 위한 새로운 사업모델 제언

3) 5G기반 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정책과 산업

(1) 5G 기반의 스마트시티와 주율주행의 가교

가. 5G 기반의 스마트시티

나. 스마트시티와 자율주행의 가교

(2) 5G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정책과 로드맵

가. 정책현황

나. 로드맵

⒜ 5G Roadmap

⒝ 5G—Smart Manufacturing Enabler

2. 5G 융합서비스 자율주행차 기술전략

1) 자율주행차 대표 서비스 기술현황

(1) 이동통신과 자율주행의 변화

가. 서비스 변화

나. 자율주행에서 통신의 역할

다. 자율 주행 위한 차량 통신

(2) 대표 서비스 선정

(3) 서비스/플랫폼/네트워크 기술현황

가. 서비스/플랫폼 기술

나. 네트워크 기술

(4) 시장과 서비스 현황

가. 시장현황

나. 서비스현황

(5) 기술현황

가. 5G Infra/Vehicle–to–Everything/정밀측위

⒜ 5G Infra

⒝ Vehicle–to–Everything

⒞ 정밀측위

나. 기술 로드맵과 업체별 관계

⒜ 자율주행 기술 발전 로드맵 및 전망

⒝ 업체별 자율주행 협력 관계

(6)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한 5G 기술

2) 자율주행차 세부 자율형 서비스

(1) 주문형 자율주행 교통 서비스

(2) 자율주행 차량 관리 서비스

(3) 5G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가. 5G Use Case 측면에서의 자율주행

나. 자율주행 승차공유(카셰어링) 서비스

다. 5G 기반의 지능형교통시스템

라. 5G 자율주행버스

마. 5G기반 자율주행차 원격제어

3) 자율주행차 대표 서비스 구현 전략 및 로드맵

(1) 통신사업자 서비스 제공 방안

가. 통신 기술 적용에 따른 서비스 진화

나. 5G기반 협력자율주행 서비스

다. 5G기반 원격주행(Remote Driving) 서비스

라. 5G기반 주문형 콘텐츠 서비스

마. 5G기반 자율자동차 데이터 분석 서비스

(2) 주요 로드맵과 법/정책

가. 서비스/기술로드맵(2017-2021, 2025, 2030)

나. 주파수

다. 법제도/정책

라. 새로운 사업모델 제언

3. 5G 융합서비스 재난안전 기술전략

1) 재난안전 대표 서비스 현황

(1) 대표서비스: 스마트 소방 서비스

가. 스마트 소방 서비스의 개념 및 필요성

나. 스마트 소방 서비스의 필요성

(2) 스마트 소방 서비스의 특징 및 기술적 한계

가. 스마트 소방 서비스의 특징

나. 스마트 소방 서비스의 기술적 한계

(3) 5G 네트워크의 연관성

가. 화재감지 센서기술과의 연관성

나. 소방활동 지원 통신기술과의 연관성

다. 웨어러블디바이스 기술과의 연관성

(4) 스마트 소방 서비스 시나리오 및 요구사항

가. 스마트 소방 서비스 시나리오

나. 스마트 소방 서비스 요구사항

2) 스마트 소방 서비스의 구현전략

(1) 서비스/플랫폼 기술

가. 스마트 소방 서비스 기술

나. 스마트 소방 서비스 플랫폼

(2) 네트워크 기술

가. RAN(Radio Access Network) 구간

나. Core Network 구간

(3) 표준 및 주파수

가. 표준

나. 주파수

(4) 법제도/정책

(5) 통신사업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

가. 산업생태계 조성 및 시장형성

나. 연구개발 투자 및 실증사업 추진

다. CPND 요소의 고도화 및 집약화

(6) 서비스/기술 로드맵

(7) 중소기업을 위한 새로운 사업모델 제언

가. 재난대응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나. 중소기업간 재난대응 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다. 스타트업 기업의 육성 및 지원 프로그램 제공

3) Mission-critical 서비스 관점의 Beyond 4G/5G 표준 기술

(1) Mission-critical 서비스 요구사항

(2) 5G 신규 서비스

(3) Mission-critical 특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가. LTE 기반 기술

나. 5G 기반 기술

4) 공공안전 버티컬 분야의 3GPP 국제 표준화 동향

(1) 3GPP 국제표준단체에서의 5G 표준화 현황

(2) 3GPP 국제 표준화 동향

가. 정부당국자 간 3GPP 국제 표준화 동향

나. 정부가 재난알림에 대한 3GPP 국제 표준화 동향

다. 해양 안전에 대한 3GPP 국제 표준화 동향

4. 5G 융합서비스 AR/VR 기술전략

1) AR/VR 대표 서비스 현황

(1) 기술과 서비스의 변화

가. 기술발전과 미디어 서비스의 변화

나. 실감 미디어 콘텐츠의 진화

다. 실감 미디어 서비스의 추진 방향

(2) 제공 서비스

가. 방송미디어 서비스

나. 개인미디어 서비스

다. 산업미디어 서비스

라. 주요 시장 플레이어 현황

마. 기존 서비스의 한계

2) AR/VR 서비스의 구현전략

(1) 서비스 기술

가. 콘텐츠 제작기술

나. 서비스 플랫폼 기술

다. 네트워크 기술

라. 디바이스 기술

(2) 표준 및 주파수 고려사항

가. 표준 추진 전략

나. 주파수 고려 사항

(3) 서비스/기술로드맵

가. 초기(~2019)

나. 중기(2020~2025)

다. 후기 (2025~2030)


통계(도표)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