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입처: http://shoppinghub.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129834
제조사: 산업정책분석원
규격: 542쪽 (A4)
ISBN: 979-11-85782-38-6 (93570)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제1편 섬유산업
제Ⅰ장 섬유산업 현황과 유망기술 분석
1. 섬유산업의 융복합 및 주요 현황
1) 섬유산업의 융합화
(1) 섬유산업의 융합화 현황과 분류
가. 섬유산업의 융합화 현황
나. 섬유산업 융합화 필요성
다. 섬유산업의 분류
라. 섬유산업의 발전단계
(2) 글로벌 패러다임 변화
가. 융복합화시대 도래
나. 섬유 기술혁신 가속화
다. 친환경 섬유기술 및 제품이 신성장동력으로 부상
2) 섬유산업 동향과 환경변화
(1) 국내 섬유산업의 현황과 구조적 특징
가. 정의 및 분류
나. 산업구조 및 특징
다. 무역구조 및 특징
(2) 국내외 섬유산업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3) 섬유산업의 환경변화
가. 정책․제도적 환경 변화
나. 경제적 환경 변화
다. 사회적 환경 변화
라. 기술적 환경 변화
3) 섬유·의류산업과 핵심이슈
(1) 섬유·의류산업 현황
가. 해외투자 현황
나. 수출입 현황
다 .품목별 수출입 현황
라. 국가별 수출입 현황
마. 지역별 수출입 현황
바. 내수시장 동향
(2) 섬유제조·패션 ISC 분야의 핵심이슈
가. 국내외 고부가가치제품 개발동향
나. e-commerce 시장 급성장
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동향
라. 국내외 FTA 추진 현황
2. 산업용 섬유 현황
1) 산업용 섬유산업 동향
(1) 산업용 섬유 개요
가. 산업용 섬유의 정의
나. 분류
(2) 산업용 섬유산업 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경쟁 환경
(3) 산업용 섬유의 용도전개와 기술개발 동향
가. 수송기계용 섬유
나. 건축ㆍ토목용 섬유
다. 의료ㆍ위생용 섬유
2) 고성능 섬유 현황
(1) 고성능/고기능성 섬유의 특성
가. 고성능/고기능성 섬유의 정의
나. 고성능/고기능 섬유의 요구 특성
다. 고성능 산업용 섬유의 특징과 용도
(2) 해외 고성능 고분자섬유재료의 연구 현황
가. 고성능 고분자재료의 물성 추구
나. 아라미드섬유 (전방향족 아라미드섬유)
다. 초분자량 폴리에틸렌섬유
라. 탄소섬유
3) 무기섬유 산업 기술과 응용
(1) 무기섬유의 특성과 분류
가. 특성
나. 분류
(2) 무기섬유의 용도
가. 세라믹 장섬유
나. 유리섬유
다. 실리카 섬유
라. 탄소섬유
마. 알루미나계 섬유 (Alumina-based fibers)
(3) SiC 섬유의 연구개발 현황
가. CVD SiC 섬유
나. Yajima type SiC fiber
다. Nicalon 섬유 (Si-C-O 계 섬유)
라. 초고온 나노결정형 SiC 섬유
라. SiC 섬유의 산업에서의 응용
(4) 무기섬유산업의 현황
가. 우주항공산업
나. 자동차, 환경 그리고 에너지산업
4) 섬유산업과 연관 소재산업 현황
(1) 소재산업의 개요
가. 소재산업의 정의 및 구분
나. 소재산업의 특징
다. 우리 소재산업의 위상과 중요성
(2) 분야별 유망 소재기술 개발동향 및 경쟁력 수준
가. 탄소섬유
나. 아라미드섬유
다. 폴리카보네이트 (PC)
라.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PS)
마. 전도성 섬유
(3) 세계 섬유 Filter 시장 현황 및 신기술 동향
가. 세계 Filter 소재시장
나. 세계 부직포 Filter 현황
다. 소재별 Filter 섬유
라. Filter 섬유 개발동향
3. 섬유제품의 유망기술과 중점 연구분야
1) 기술개요와 메가트랜드 분석
(1) 기술개요
(2) 메가트랜드 분석
가. 메가트렌드
나. LOHAS(Life 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대응 신소재
다. 기술융합 섬유 신소재
라. 섬유소재의 극한성능 구현
마. 녹색환경을 추구하는 신기능 섬유소재
2) 용도별 기술체계
(1) 의류팬션용 섬유
가. 기능성 섬유
나. IT 융합 섬유
다. LOHAS 섬유
라. 섬유패션 제품
(2) 생활용 섬유기술
가. 인테리어 섬유
나. 수면환경 섬유
다. 웰빙환경 섬유
라. 스포츠 레저용품
(3) 산업용 섬유기술
가. 고성능 구조보강 소재
나. 의료, 안전산업용 소재
다. 에너지 환경소재
라. NIT융합 공업용소재
(4) 융복합 섬유기술
가. 의료기능 융복합 섬유
나. 전자통신 융합형 섬유
제Ⅱ장 섬유소재 관련 산업 동향
1. 극한성능 섬유와 미래섬유 현황
1) 극한성능 섬유 현황
(1) 극한성능 섬유의 분류 및 특성
(2) 극한환경용 복합재료
가. 초고온용 섬유 강화 복합재료
나. 고내충격성 및 초경량성 섬유강화 복합재료
다. 극저온용 섬유 강화 복합재료
라. 기타
(3) 국내 극한성능 섬유소재의 기술수준 및 공급망 분석
가. 전기자동차 Body Frame용 탄소섬유
나. 고기능성 공중합 아라미드 섬유
다. 방호용 초고강도 PE UD sheet
라. 초내열성 벤즈옥사졸계 섬유
마. 고성능 폴리아조메틴섬유
바. 용융방사형 액정 폴리에스터 섬유
사. 방재용 고강력 PET 섬유
아. 에너지산업용 나노섬유소재
자. 해양용 고성능 섬유복합소재
차. 해양용 고성능 섬유복합소재
(4) 극한섬유 기술 동향
가. PPS 섬유
나. 아라미드 섬유
다.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5) 주요 섬유 기술 정보
가. 소재기술 섬유
나. 환경 및 기타 섬유
2) 자동차용 미래섬유 현황
(1) 자동차용 섬유소재
가. 고기능성 섬유
나. 친환경 섬유
(2) 자동차 부품별 섬유 소재
가. 시트커버 (Seat Cover)
나. 카펫류 (Car Mat, Carpet)
다. 타이어코드 (Tire Cord)
라. 에어백 (Airbag)
마. 기타 부품
3) 의료용 섬유 현황
(1) 산업 현황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현황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다. 기술환경 분석
(3) 기업 현황
가. 주요기업 비교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4) 기술개발 현황
(5) Medical Textile의 개발 동향
가. Medical Textile 개요
나. 의료용섬유 및 Textile의 전개
다. 유럽 및 미국의 의료용섬유 및 Textile 개발동향
2. 안전보호 섬유제품 현황
1) 안전보호 섬유소재 및 시장
(1) 안전보호 섬유제품 정의
(2) 안전보호용 섬유기술 분류
가. 열 및 극한 방호 소재
나. 화학·방사선 방호 소재
다. 전기/ 전자파 방호 소재
라. 고시인성 소재
마. 생물학적 위험에 대한 방호 소재
바. 물리적 충격 보호 소재
(3) 안전보호 섬유시장의 현황과 전망
2) 보호구의 분류
(1) 산업안전 보호구(PPE)의 정의
(2) PPE의 분류
가. 머리 보호구 (안전모)
나. 호흡용 보호구 (마스크)
다. 귀 보호구 (방음보호구)
라. 눈 보호구
마. 안면보호구
바. 손 및 발 보호구
아. 보호복
3) 안전보호 산업 시장 동향
(1) 세계 안전보호 산업 시장
(2) 국내 안전보호 산업 시장 동향
제2편 탄소/나노섬유
제Ⅰ장 탄소섬유의 산업 및 기술 동향
1. 탄소섬유 산업 현황
1) 탄소소재·부품의 개요
(1) 탄소소재의 개념
가. 탄소산업의 정의
나. 탄소소재의 정의
(2) 탄소복합재의 성형 가공
가. 사출 (Injection)
나. 프레스
다. 수적층법 (Hand lay-up)
라. 수지주입성형 (Resin transfer molding, RTM)
마. 필라멘트 와인딩 (Filament winding, FW)
바. 오토클레이브 (Autoclave)
2) 탄소소재·부품산업 동향
(1) 탄소섬유 및 복합재 산업/시장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2) 탄소섬유 및 복합재 기술개발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3) 인조흑연산업 동향
(1) 인조흑연 산업/시장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2) 인조흑연 기술개발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2. 탄소섬유소재의 특성과 응용기술
1) 탄소섬유의 용도와 적용 분야
(1) 탄소섬유의 개요
가. 탄소섬유의 정의
나. 탄소섬유의 종류와 분류
다.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라. 탄소섬유의 특성
마. 탄소섬유의 일반적인 용도
바. 활성탄소섬유
(2) 탄소섬유의 제조
가. PAN계 탄소섬유
나. 피치(Pitch)계 탄소섬유
다. 레이온계 탄소섬유
(3) 탄소섬유복합재료 현황
가. 기계부품 경량화를 위한 탄소섬유 소재
나. 탄소섬유 적용 분야
다. 탄소섬유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라. 시장동향
마. 탄소섬유와 CFRP 분야의 과제
2) 탄소섬유 부직포 현황
(1) 탄소섬유 부직포
가. 탄소섬유 부직포의 종류
나.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2) 탄소섬유 부직포의 용도전개
가. 보강재
나. 내화재 및 단열재
다. 필터 및 흡착재
라. 기타 제품
3) 탄소나노섬유의 특성과 응용
(1) 개요
(2) 전기방사 CNT
가. 전기방사
나. 전기방사 섬유의 구조 및 물리적 특성
(3) 응용 분야
가. 전극재료
나. 촉매지지체
다. 가스 흡착재
(4) 기상성장 탄소나노섬유 (VGCNFs)
가. 기상성장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나. VGCNFs
3. 탄소섬유의 기술 동향
1) PAN계 탄소섬유
(1) 용도 개발 동향
(2) 기술 개발 동향
가. 탄소 섬유의 성능 향상
나. 매트릭스 수지의 개발
다. CFRP 성형 기술의 진화
라. CFRP 제품의 용도 적용 향상
2) Pitch계 탄소섬유
(1) 성능 향상
(2) 용도의 다양화
가. 강성 지배 설계 용도
나. 저탄성의 이용 용도
다. 열특성 이용 용도
라. 진동 감쇠성 이용 용도
(3) 수요의 확대
3) 활성 탄소섬유
(1) 액상계 응용 (정수 관계)
(2) 기상계 응용
가. 공기의 청정화 (담배 냄새 제거)
나. 유기 용제 회수
다. NOx, SOx, 오존 제거
(3) 기타
가. 생리용품 응용
나. 제습
다. 방재(방독)용 마스크
라. 기타
4) 구조 재료용 및 내열 융삭(Ablation)용 탄소섬유
(1) 구조 재료용 탄소섬유
가. 자동차 분야
나. 항공 우주 기술 분야
다. 선박 분야
라. 시설 및 기타 분야
마. 화재 모델링
(2) 내열 융삭(Ablation)용 탄소섬유
제Ⅱ장 나노섬유의 산업 및 기술 동향
1. 나노소재 산업 분석
1) 나노탄소소재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환경 분석
가. 경쟁 환경
나. 전후방산업 환경
(3) 나노섬유 시장 전망
(4) 탄소나노튜브 시장
가. 개요
나. 시장동향
다. 기업 동향
3) 2020년도 소재‧나노 투자전략
(1) 투자현황
(2) 주요정책 및 사업
가. 소재분야
나. 나노분야
(3) 투자성과 및 평가
(4) 기술동향 및 미래전망
가. 소재분야
나. 나노분야
(5) 2020년도 투자방향
가. 소재분야
나. 나노분야
(6) 투자효율화 방향
2. 나노섬유 기술 현황
1) 나노섬유의 기술의 개요
(1) 나노섬유의 정의
(2)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가. 단성분 방사
나. 다성분 방사 (복합방사, top-down 방식)
다. 부직포 방사 (bottom-up 방식)
라. 에어제트 방사
마. 플래시 방사
(3) 전계방사 장치
(4) 나노섬유의 종류
가. 고분자 나노섬유
나. 탄소 나노섬유 (Carbon Nanofiber)
다. 기타 나노섬유
(5) 나노섬유의 특징
가. 나노사이즈
나. 초분자 배열
2) 나노섬유의 공업화
3) 전계방사 나노섬유의 응용
(1) 필터 소재
가. 공기필터
나. 정수필터
다. 연료필터
(2) 생체 및 조직공학용 소재
가. 상처 치료
나. 약물 수송 및 방출
(3) 에너지용 나노섬유
가. 전지용 나노섬유
나. 에너지 저장/변환용 나노섬유
(4) 기타 응용 소재
가. 방호기능 소재
나. 활성탄소 소재
다. 에너지 저장기능 소재
라. 항균성 나노섬유
마. 템플릿
바. 직물
사. 촉매
아. 전극
자. 센서
4) 고분자 나노 복합재료
(1) 나노탄소 고분자 복합재료
가. 나노탄소 충전 복합재료
나. 나노탄소 충전 FRP 복합재료
다. 나노탄소섬유 복합재료
(2) 고분자 나노 복합재료 시장
가. 개요
나. 시장 동향
다. 기업 동향
3. 기능성 및 그래핀계 나노소재 분석현황
1) 기능성 나노소재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3) 기술개발 현황
가. 기술개발 이슈
나. 기술환경 분석
2) 그래핀계 나노소재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개발 현황
가. 기술개발 이슈
나. 기술환경 분석
다. 주요 기업 동향
제Ⅲ장 섬유소재산업의 분석 현황
1. 주요 섬유산업 현황과 시장 분석
1) ICT 융합 섬유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2) 바이오 융합 섬유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3) 기능성 코팅 섬유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4) 초단열, 준불연 융복합 섬유 소재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5) 미세먼지 등 유해환경 차단 섬유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6) 친환경 고부가 섬유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다. 기술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2. 섬유관련 소재산업 및 시장 분석
1) 수송시스템용 첨단세라믹섬유 복합소재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2) 특수 기능성 화학 소재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주요기업 동향
'신간 기술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형 4대 유망 서비스 로봇산업 기술동향과 핵심 부품/SW 개발현황 (0) | 2019.06.20 |
---|---|
전기자동차 및 커넥티드 카와 자율 주행자동차 관련 스마트 카 동향 보고서 (0) | 2019.06.20 |
일본의 스마트시티(Smart City) 시장 실태와 추진 전략 (0) | 2019.06.20 |
2019 스마트홈&가전 시장 동향과 유망기술 개발 및 기업 (0) | 2019.06.20 |
합성생물학 기술동향 - 4차 산업혁명 시대 바이오경제의 핵심 프레임 (0) | 2019.06.20 |
댓글